-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에 있는 섬유 제품 제조업체. 1998년 11월 평안 섬유로 설립되었다. 2002년 법인 전환했으며, 2009년 파텍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파텍스는 업계 최초로 폴리에스테르 스페이스 다잉 얀(POLYESTER SPACE DYEING YARN)을 개발한 업체로서 창업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스페이스 다잉 패브릭(SPACE DYEING FABRIC)만을 생산...
-
경기도 포천시에서 서식하는 팔색조과의 희귀한 여름 철새. 세계적으로 약 23종이 분포하고 주로 동남아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서식하는 팔색조과의 여름철새이다. 여름이 되면 우리나라 전역에서 가끔 관찰되는 경우가 있는데, 제주도·전라남도 함평, 경상남도 거제도 등 남부 지방의 활엽수 숲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열대 지방으로 남하한다. 팔색조는 몸길이가 약 18㎝이고 선명한 색 머리 꼭대기는...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에 있는 석기 시대의 유물 산포지. 자일리 팔호 유적은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127번지에 위치한다. 근흥교를 건너기 전에 있는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팔호 마을에 있다. 팔호 마을에 팔호 상회라는 상가가 있으며, 상가를 중심으로 뒤쪽과 도로 건너편에서 유물을 발견하였다. 자일리 팔호 유적에서 찍개, 몸돌, 격지 등을 찾았다. 찍개[13.3×16×9.8㎝]의...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가구 부품 제조업체. 퍼맥스는 OA 시스템 가구와 생활 가구 부품 업체로서 소비자들에게 고품질,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7월에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에 해남 프라스틱을 설립하고, 1989년에 성동구 마장동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1997년에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으로 확장 이전하고, 2000년에 해남 퍼맥스로...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식물원. 평강 식물원(平康植物園)은 자생 식물의 기초 연구와 약용 및 원예 식물 연구, 희귀·멸종 위기 식물 보존 및 연구는 물론 생태 교육을 통한 자연 학습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의학 박사 이환용에 의해 2006년에 조성되었다. 1997년에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우물목 일대를 식물원 부지로 확정하였고, 1999년 8월 10일에...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양사언이 자신의 고향 집인 평망정을 소재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평망정(平望亭)」은 포천 출신의 문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이 평망정을 보고 자신의 고향 집을 찾아온 감회를 노래한 한시이다. 양사언의 자(字)는 응빙(應聘), 호(號)는 봉래, 해객(海客), 완구(完邱), 창해(滄海) 등이다. 본관은 청주(淸州)로 남사고(南師古)...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입던 옷.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사람들은 계절별로 직물의 소재와 종류를 다르게 선택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추운 겨울에는 솜옷이나 겹옷, 혹은 여름옷을 겹쳐 입기도 하였다. 더운 여름에는 삼베와 같은 시원한 소재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옷의 형태는 저고리와 치마 혹은 바지가 오랜 세월 계속되었으나, 20세기가 되면서 옷에 많은 변화...
-
경기도 포천시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 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2006년 4월부터 평생 교육 사업을 준비하여 2010년 1월 평생 교육의 총괄 기관인 포천시 평생 학습 센터가 포천 시립 소흘 도서관 3층에 개소하였다. 포천시 평생 학습 센터는 2010년 3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가 평생 학습 시설 인프라 확충[5개소], 일자리 연계형 프로그램 지원[3개...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 단계마다 행하는 의례. 평생 의례란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평생을 살면서 통과하게 되는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지내는 의례 행위이다.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영역의 하나가 의례(儀禮)이다. 의례란 일상생활과 달리 일정한 날에 특별한 의미를 부과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특별한 행사를 하거나, 특별한 음식을 먹거나, 특별...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고도가 낮고 평탄한 지대가 펼쳐진 땅. 경기도 포천시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평야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지역이다. 이는 포천시와 경기도의 고도 분포를 비교했을 때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경기도 지역의 100m 이하 고도 분포가 51.49%인데 비해 포천시는 100m 이하의 고도 분포가 시 전체의 8.43%에 불과하다. 즉, 경기도 평균에 비해 포천시는 고도가...
-
임팔급을 시조로 하고 임득의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평택 임씨(平澤林氏)의 시조 임팔급(林八及)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중국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있다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고려 말 세자 전객령 겸 연희궁 부사를 지낸 임세춘(林世春)을 일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는 전객령계와, 역시 고려 말에 삼중대광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이 된 임언수(林彦...
-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서 재배되는 포도. 포도는 포도나무과 포도나무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포천 지역에서 포도가 생산된 것은 오래전부터이지만 상품으로서의 포도를 재배한 시기는 약 20여 년 전으로 이때부터 포천 포도가 경쟁력 있는 특산물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포천 포도의 맛은 심한 기온 차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포천은 지역적으로 북쪽에 위치해 밤과 낮의 일교차가 크고, 계...
-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에 있는 금속 파이프 및 강판 제조업체. 1994년 4월 설립되었으며 1998년 11월 대기 철강 산업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9년 5월 현 공장 사업장으로 머플러(MUFFLER) 공장을 이전했으며, 2000년 9월 포우에스엠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포우에스엠은 파이프(PIPE), 슬리팅(SLITTING), 레벨링(LEVELLING), 및 미니 셰어 라인(M...
-
고려 시대에 포천 지역을 부르던 별칭. 고려 성종이 포주(抱州)의 별호를 청화(淸化)로 정하였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의 양광도 항목에는 “포주는 원래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명지(命旨)라고도 한다]인데 신라 경덕왕은 견성군(堅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지금 명칭으로 고쳤고, 성종 14년에는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목종(穆宗) 8년[1005]에 이를 없앴으며 현종 9...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포천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 고려 초 이후 중앙 집권 체제에 의한 통치권의 범위가 점차 지방으로 확대되면서 중앙의 관원을 파견하지 못하던 속군현(屬郡縣)과 향(鄕)·소(所)·부곡(部曲) 등 말단 지방 행정 단위에 1106년(예종 1)부터 현령보다 낮은 지방관인 감무(監務)를 파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감무를 현감으로 개칭할 때까...
-
고려 전기 포천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 983년(성종 2) 12목(牧) 체제의 지방 제도를 시행하던 고려가 995년(성종 5) 지방 세력의 통제와 국방력 강화를 위해 12주에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 도단련사(都團練使)·단련사(團練使)·자사(刺使)·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하였다. 당나라의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의 외관제 구축을 모방하여 설치한 것이다. 포주 단련사(抱州團練使)...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포천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 고려 초 이후 중앙 집권 체제에 의한 통치권의 범위가 점차 지방으로 확대되면서 중앙의 관원을 파견하지 못하던 속군현(屬郡縣)과 향(鄕)·소(所)·부곡(部曲) 등 말단 지방 행정 단위에 1106년(예종 1)부터 현령보다 낮은 지방관인 감무(監務)를 파견하였다.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감무를 현감으로 개칭할 때까...
-
고려 시대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고려 시대 포주(抱州)는 원래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견성군(堅城郡)이 되었다가 고려 초에 포주로 개칭된 행정 구역이다. 고려 현종 때 양주(楊州)에 소속되었다. 고려 시대 지방 제도의 정비는 982년(성종 즉위년) 6월에 최승로(崔承老)의 건의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983년 2월에 전...
-
고려 전기 포천 지역에 파견된 지방관. 983년(성종 2) 12목(牧) 체제의 지방 제도를 시행하던 고려가 995년(성종 5) 지방 세력의 통제와 국방력 강화를 위해 12주에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 도단련사(都團練使)·단련사(團練使)·자사(刺使)·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하였다. 당나라의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의 외관제 구축을 모방하여 설치한 것이다. 포주 단련사(抱州團練使)...
-
1597년 유몽인이 포천에서 지은 두 수의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抱川)」은 1597년(선조 30)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1559~1623]이 함경도 순무어사(巡撫御使)로 부임하면서 포천을 지나는 중에 지은 것으로 판단되는 두 수의 한시이다. 유몽인의 자(字)는 응문(應文), 호(號)는 어우당, 간재(艮齋), 묵호자(默好子) 등으로 사용했다. 본관은 흥양(興陽), 시...
-
1722년~1723년 사이 오원이 포천을 지나면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포천(抱川)」은 1722년(경종 2)부터 1723년(경종 3) 사이에 월곡(月谷) 오원(吳瑗)[1700~1740]이 늦가을 새벽녘에 포천을 지나면서 진퇴격(進退格)[두 개의 서로 비슷한 운부(韻部)를 가지고 한 구씩 건너뛰어 번갈아 운자를 놓는 방식]으로 지은 한시이다. 오원의 자(字)는 백옥(伯玉), 호...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 있는 북위 38도선을 표시하는 표지석. 포천 38도선 표지석은 한반도의 남북을 가르는 북위 38도선을 표시하는 표지석이다. 민족의 비극인 분단을 상징하고 평화 통일을 기리기 위해 설치한 조형물로 보통 커다란 자연석을 받침대 위에 세워놓은 형태이다. 자연석에는 3·8선이라 쓰고 영어로 ‘THE 38th PARALLEL’이라고 함께 적은 표지석도 있다....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에서 매년 4월 개최되는 하프 마라톤 대회. 2005년 11월 13일 지역 경제 활성화와 포천시를 가로지르는 38선의 상징성 및 안보 의식을 되새긴다는 목적으로 제1회 포천 38선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행사 시기는 변경되어 제2회 포천 38선 하프 마라톤 대회는 2006년 6월에 개최되었으며, 2007년 제3회 포천 38선 하프 마라톤 대회부터는...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조성된 경기 북부 최대의 가구 유통 단지. 서울 북부에 있는 상계동과 경기도 의정부시의 개발 압력에 밀려 1990년대 초중반 소흘읍 송우리 근방에 무허가 비닐하우스 가구 공장이 난립하였다가, 자연스럽게 국도변으로 판매처가 옮겨 가면서 가구 단지가 조성되었다. 이후 점차적으로 의정부시와의 경계인 축석 고갯마루부터 소흘읍 송우리까지 4㎞에 걸친 국도 43...
-
1967년 9월 5일 북한 간첩이 경기도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 초성리역 부근 철로를 폭파시킨 사건. 1967년 9월 5일 밤 10시 5분경, 서울 발 신탄리 행 311열차가 경기도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 경원선 초성리역을 500m 남겨 두고 선로가 폭파되면서 탈선하였다. 당시 열차 기관사는 사고 지점 30m 전방에서 폭음과 함께 빨간 불꽃이 튀는 것을 발견하고 급정거하였지만, 시속...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포천시 담당 치안 행정 기관. 포천 경찰서는 포천시 관내의 치안과 법 집행을 담당하고 있다. 포천 경찰서는 포천 시민들의 생명 및 재산 보호와 함께 범죄를 예방하고 형사 수사, 방범, 순찰, 교통질서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시민들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고 난 후 군내면 구읍리에 양주 헌병대 포천 분견소를 설치한...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애국인과 도덕인, 건강인, 창조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창의, 신념’이다. 1971년 1월 9일에 포천 여자 종합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해 3월 8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지석태 교장이 취임하였다. 1980년 11월 4일에 포천 여자 중학교와 포천 여자 종합 고등학교가 분리되었다. 1984년 3월...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산성. 포천 고모리 산성(抱川古毛里山城)이 있는 노고산[386m] 일대는 예로부터 서울에서 관북 지방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에 해당된다. 즉 의정부에서 축석령(祝石嶺)을 넘으면 동쪽과 서쪽으로 산맥이 연결되어 있고, 그 가운데 남북으로 길게 포천 평야가 자리 잡고 있는데, 노고산은 남쪽에서 포천 평야로 들어가는 입구 길목에...
-
1927년 11월 26일 포천 공립 보통 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동맹 휴학. 포천 공립 보통학교 동맹 휴학은 1927년 11월 경기도 포천군 서면 신읍리[현 포천시 신읍동]에 위치한 포천 공립 보통학교의 마쓰바라[松原] 교장이 수업료를 내지 못한 학생을 구타하면서 비롯되었다. 이에 분개한 4학년생 50여 명은 11월 26일 진정서를 제출하고 동맹 휴학에 돌입하였다. 진정서의 내용을...
-
경기도 포천시 신읍길에 있는 1927년 포천 공립 보통 학교 4학년생들이 동맹 휴학을 벌인 곳. 포천 공업 보통학교 동맹 휴학은 1927년 이 학교 4학년 학생들이 송원(宋原) 일본인 교장의 학생 구타에 집단 반발하여 동맹 휴학을 한 사건이다. 1927년 포천 공립 보통 학교 송원 일본인 교장이 수업료를 내지 않은 학생을 구타하자, 교장을 배척하고자 동맹 휴학을 하였다. 학생들이...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는 마라톤 대회. 2010년 6월 2일 유네스코 생물권 계획 국제 조정 이사회에서 포천 국립 수목원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선정되자, 이를 기념하여 포천 국립 수목원은 2010년 10월 31일 제1회 포천 광릉숲 마라톤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마라톤 코스에는 단풍나무와 왕벚나무, 쥐똥나무 등을 심어 가로 경관을 개선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 포천 교통은 경기도 포천시에 소재한 선진 그룹 버스 사업 부문 계열사로서 선진 시내버스와 함께 시민의 편리한 운송 수단이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 포천 교통은 1998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 9월에 영종 여객으로 양도되었다가 2004년 10월에 재출범 하였다.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319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 있던 경제 단체. 계는 농촌 주민의 필요에 따라 예로부터 자생적으로 발생, 유지된 집단으로 두레·품앗이보다 보편적이고 활발한 것이었다. 포천 구우계는 지역의 경제를 살리고 조선 총독부와 싸울 수 있었던 지역 경제 단체였다. 포천 구우계는 지역의 농가 소득과 경제 발전을 위해 조직되었다. 포천군 신읍 발전 기관인 번영회와 군내면, 서면, 신북면, 가산...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에 있는 국립 수목원. 포천 국립 수목원이 자리한 광릉(光陵) 숲은 조선 제7대 왕인 세조가 묻힌 광릉의 부속림 중 일부로 500여 년 이상 황실림으로 엄격하게 관리를 해오다 일제 강점기인 1911년 국유림 구분 조사 시에 능묘 부속지를 제외한 지역을 ‘갑종 요존 예정 임야’에 편입시켰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광릉 숲이 되었다. 1913년에는 광릉 숲...
-
1946년 조직된 대한 독립 촉성 국민회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대한 독립 촉성 국민회는 1946년 민족주의 정당들로 구성되었던 국민운동 추진 단체로 1946년 2월 8일 서울 인사동에서 이승만(李承晩)의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와 김구(金九)의 신탁 통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가 통합하여 발족하였다. 발족 당시 채택한 선언문에는 “단조(檀祖)의 성혈(聖血)이 얽히고 가갸의 문...
-
1984년과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편찬한 경기도 포천군의 향토지. 포천군은 조선 시대에 포천현(抱川縣)과 영평현(永平縣)으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1895년(고종 32) 영평현을 포천현에 병합하여 포천군으로 승격하였다. 1896년 포천군에서 영평을 분할하였다가 일제 강점기 초기인 1914년 영평을 포천군에 다시 병합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에 삼팔선을 경계로 창수...
-
경기도 포천시에서 전문 기술과 경영 능력을 갖추고 지역 농업을 이끌어 나갈 농업 선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개설한 강좌. 포천 환경 농업 대학은 단기 교육이 아닌 고급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해 전문 기술과 경영 능력을 갖춘 농업 선도자를 양성하여 지역 대표 작목을 육성하고 선도 품목의 전문 지식을 심어 주기 위하여 2005년에 문을 열었다. 포천 환경 농업 대학은 2개 학과[스마트 농업...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 설립된 금융 조합. 금융 조합은 1907년 칙령 제33호 「지방 금융 조합 규칙」의 발표와 더불어 전국 각지에 세워지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 이후에는 여러 차례의 조합령 개정이 있었고, 1918년의 조합령 개정 후로 예금 업무를 취급하였다. 포천 금융 조합은 농업에 필요한 자금 대부, 예금, 곡물 보관 등의 업무를 통해 지역 농민들을 경제적으로 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 5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경기 문화재 대관』-경기도 지정편에는 받침돌이 4개인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주민들에 의하면, 1970년대 초에 이곳을 지나던 사람이 “돌 하나가 트여 있으니 사람들이 말이 많겠다” 하여 마을 사람들이 남쪽으로 난 입구를 막아 버렸다고 한다. 그 뒤 1997년 8월에 지석묘의 원형을 되찾기 위하여...
-
1953년 경기도 포천 지역에 조직된 지역 언론 단체. 포천 기자단은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직후에 결성되었던 우익 청년 운동 단체인 대한 청년단의 사무실에서 조직되었다. 따라서 포천 기자단은 당시 우익 청년 단체인 대한 청년단과 같은 뜻을 가진 지역 언론인들로 조직된 것으로 보인다. 대한 청년단은 1948년 12월 19일 좌익계 청년 단체들의 통합체인 민주 청년 동맹(民主靑年同...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좌의리에 있는 가정 봉사원 파견 단체. 포천 나눔 노인 복지 센터는 보호가 필요한 노인을 위한 시설 인프라 확충과 시설 운영의 내실화를 통한 안정된 노후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가정 봉사원을 파견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이동 차량을 이용한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 노인 주간 보호 센터를 운영하여 치매·중풍 노인을 낮 시간 동안 보살핌으로써...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장애인 인권 보호 단체. 포천 나눔의 집 장애인 자립 생활 센터는 포천 지역의 장애인들이 지역 사회에서 당당한 주인으로서 자립 생활을 통해 스스로 삶의 주체가 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장애라는 비슷한 배경을 갖고 동등한 입장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동료 상담, 장애인 당사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 장애인의 권익을 옹호하는 사업, 자립 생활...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래 사회의 인재로서 창의와 지정을 갖춘 어린이[문화와의 어울림], 더불어 살아가는 힘을 기른 어린이[사람과의 어울림], 자연과 소통하는 건강한 어린이[자연과의 어울림]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64년 3월 3일에 이동 국민학교 노곡 분교[5학급]로 개교하였으며, 1967년 3월 1일에 포천노곡 국민학교로 승격하여 분리...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읍내에 설치한 야학. 1919년 3·1 운동 이후 1920년대 들어 전국적으로 야학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도 여러 곳에 야학이 세워져 많은 노동자, 농민들의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문맹퇴치에 공헌했으며 국권 회복을 위한 항일 운동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포천 노동 야학도 그중 하나이다. 포천 노동 야학은 경기도 포천 읍내 지역의 취학...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도축 업체. 1999년 9월 1일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서 설립되었다. 2005년 공동 대표 이사 규정 설정과 함께 공동 대표 이사로 허남영이 취임하였다. 포천 농축산은 소, 돼지, 닭 등 다양한 동물을 도축 판매하고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은 31억 원이며, 자산 총액은 64억 600만 원, 매출액은 106억 8200만 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농가 생산업자의 협동조합. 포천 농협은 농업인의 자주적 협동 조직을 통한 농업 생활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농업 협동조합으로 1971년 창립되었다. 포천시의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필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의 『포천 뉴스』에서 발행하는 포천 지역 인터넷 신문. 현대 사회에는 많은 양의 정보를 언론 기관이나 단체를 통해서 수집하며, 인터넷 공간을 통해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종이 신문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포천 지역 주민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 1월 13일 인터넷 신문인 『포천 뉴스...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장암리 동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불 좌상. 포천 동화사 목조불 좌상(抱川東和寺木造佛座像)은 1997년에 편찬된 『포천 군지』에 의하면 “동화사의 대불상은 목불로서 대청 순치(大淸 順治) 6년 세재(歲在) 황우(黃牛) 7월에 제작된 것”이라고 한다. 동화사 승려는 “본래 이 목불상은 이후락(李厚洛)이 소유하고 있던 것으로 동화사가 창건된 후 변희준(邊熙俊)...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에 있는 막걸리 제조업체. 1915년에 최초로 설립되었으며, 1945년에는 포천의 유명한 3개의 양조장[풍신, 포천, 영평]이 합동으로 포천 양조로 상표 등록하였다. 1989년 다시 4개의 양조장이 사업장을 통합하여 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신읍리 219-1번지로 신축 이전했으며, 1994년에는 현재의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234-6번지로 신축 이전하...
-
경기도 포천시에서 생산되는 한국의 전통 술. 막걸리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술로, 쌀과 누룩으로 빚어 그대로 막 걸러내어 만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막걸리는 대체로 쌀뜨물 같은 흰빛을 띠고 있는데, 지금처럼 규격화된 양조법으로 대량 생산되기 이전에는 집집마다 나름의 술 빚는 방법이 있어 난백, 유백, 황백, 회백 등 그 빛깔도 단순한 흰빛만은 아니었다. 막걸리의 명칭은 농주...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들노래로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동요. 「포천 메나리」는 논농사에서 두 번째 논매기를 하며 부르는 「김매기 소리」로 알려져 있는 농업 노동요이다. 포천 지역에서 구비 전승되는 민요는 노동요를 비롯해서 타령요·자장가·탄요 등 고르게 있으나 주류는 노동요이다. 이 지방의 향토색을 잘 반영하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메나리」[논매기 소리]·「자장가」·「밭...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막걸리 제조업체. 포천 명가는 과거 포천 막걸리의 명성을 다시 찾아 지역 경제의 활성화로 이어지게 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 12월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에서 포천 민속주로 설립되었으며, 2009년 5월에 포천 명가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전통적 제조 방법을 최대한 적용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2010년 경기도 전통술 품평회 최우수...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원로 유림 단체. 포천 명유회는 2004년 6월 유학의 진흥과 문화 발전 및 교육 사업을 주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초대 회장에는 제23, 24대 포천 향교 전교를 지낸 최종규 회장이 취임하였다. 매월 10일 월례회를 개최하여 회원들이 순회 강사가 되어 자유 주제로 연구한 내용을 발표 및 토론하는 등 지역 역사 문화 발전에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다. 포...
-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에서 회원의 작품을 모아 발간하는 연간 기관지. 1998년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포천시 지회 산하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가 창립되면서 기관지의 형태로 『포천 문학』 제1집을 발간하게 되었다. 판형은 A5[148×210㎜]이다.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 회원들이 창작한 시와 수필, 소설 이외에도 지역 명사들이 글을 기고하는 명사 초대석, 관심...
-
포천 문화원에서 발간하는 계간 향토 문화 잡지. 포천 시민에게 각종 문화 소식을 알리고 문화 활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당시 포천 문화원장 최종규와 회원들이 주축이 되어 2000년 3월 27일 『포천 문화 사랑』 제1호를 발간하였다. 판형은 사륙 배판이다. 올 컬러로 발간되며, 분량은 각 호당 30쪽 내외이다. 기본 구성은 권두 칼럼, 편집장 칼럼, 공모전 수상작, 문화 탐방,...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문화 예술 지원 기관. 포천 문화원은 지역 고유문화를 계발·보존·전승하며, 지역 문화에 대한 사회 교육 활동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12월 15일 발기인회를 개최했고[발기인 이협우·최종규·이재권·조건행], 12월 19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원장 및 임원을 선임하였다. 1986년 1월 10일 문화원 설립 허가 신청서를 제출했고, 7월 12일 사...
-
2003년 8월 7일 한국 대학 총학생회 연합 소속 대학생들이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평리에 있는 미8군 종합 사격장에 난입한 사건. 2003년 8월 7일 오후 5시경, 한국 대학 총학생회 연합[한총련] 소속 대학생 12명이 경기도 포천군 영중면 영평리 미8군 종합 사격장[로드리게즈, 일명 영평 사격장]에 진입하였다. 이 부대에서는 7월 31일 방한한 미국 신속 기동 여단 스트라이...
-
경기도 포천시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조직된 시민 단체. 건전한 시민 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600년 포천 역사의 자긍심을 살리고 환경적·문화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포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포천 시민을 위한 강연 사업, 공동체 발전 및 봉사 사업, 포천시의 경제 및 문화 발전을 위한 조사 연구 사업, 포천시의 지속 가능한...
-
1950년 인민군을 도운 부역 혐의자 및 그 가족이라는 이유로 경기도 포천군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 1950년 9·28 서울 수복 이후 1951년 1·4 후퇴 직전까지 포천 지역 주민들이 인민군을 도운 부역 혐의자 및 부역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경찰과 학도의용대 등에 집단 처형되었다. 희생자 대부분은 인민 위원회 간부거나, 인민 위원회 일을 도왔던 사람의 가족 또는 친척이었다. 이...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서 매년 개최되는 동호인 테니스 대회. 포천 반월산성배 전국 동호인 테니스 대회는 포천 종합 고등학교 출신의 선후배들이 모여 구성한 반월산성 테니스 동호회가 1997년 제1회 지역 대회를 개최한 것이 시초이다. 2000년 제4회 포천 반월산성배 전국 동호인 테니스 대회부터 전국 대회로 규모를 확장하였다. 2006년 제10회 포천 반월산성배 전국 동호인...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종합 공연 시설. 포천 지역의 문화 예술인들은 여러 역사적 상황 속에서 긴장감이 큰 지역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역의 문화 발전과 시민들의 정서 함양을 위하여 노력해 왔다. 포천 반월 아트홀이 개관된 이후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끊임없이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포천 지역 문화 예술 단체의 한 차원 높은 공연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가 축조한 성. 포천 반월성(抱川半月城)은 일반적으로 반월산성(半月山城)이라고 하는데, 해발 284.5m의 청성산(靑城山)에 축조된 반월형의 테뫼식 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1,080m이다. 전체적인 형상이 반달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서 반월산성이라고 불리는데, 포천 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에 있는 산성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 있는 1948년 6·25 전쟁 당시 38도선 부근에 설치한 진지. 포천 방어 벙커는 남과 북이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던 1948년에 북한군의 침공을 방어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당시 38도선 부근에 설치한 4개의 진지를 설치하여 북한군과 대치하고 있었다. 6·25 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기도 하다. 6·25 전쟁 후 4개의 진지 중 3개...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에 있는 버섯 개발 및 생산 회사. 포천 버섯 개발은 30여 년씩 버섯 농사를 해오던 농민들이 한 차원 높은 버섯 산업으로 발전시켜 버섯의 효능을 알리고자 설립하였다. 1981년 7월 종묘업 허가를 받았으며, 1997년 5월에 버섯 재배를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하였다. 2005년 본점을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761번지로 이전하였다. 포천 버섯 개발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에 세운 상인 단체. 번영회는 지역의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경제 단체이다. 기본적으로 회원들 상호간의 친목 도모 및 발전을 위한 상호 부조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지역 경제의 발전과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포천 번영회는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포천군 서면 신읍리 지역 상인들이 조직한 상인 단체이다....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에 2014년에 건립된 LNG 복합 화력 발전소. 포천 복합 화력 발전소는 경기 북부 지역과 포천시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송전 과정에서 발생되던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2010년 5월 지식경제부로부터 전원 개발 사업 실시 계획이 승인·고시되어, 2011년 9월 공사를 착공하여 2014년에 완공하였다. 포천 복합 화력 발전소는 민간 상업...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에 세운 청년 운동 단체. 포천 산업 청년회는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포천군 서면 신읍리에 살던 청년들이 모여 포천 지역의 농업 발전과 노동 야학, 지역 빈곤층 위문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 청년 운동 단체이다. 포천 산업 청년회는 농사 개량, 축산 진흥, 삼림 조성 등을 통한 농업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경기도 포천군 서면 신읍리의 무산 청년 15...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계를 경영할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생각과 행동이 올바른 어린이, 배움의 즐거움을 찾아 스스로 노력하는 어린이, 창의적인 생각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즐겁고 건강하게 생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생각은 깊게, 마음은 넓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1921년 4...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상공업자 단체. 포천 상공 회의소는 경기도 포천시 지역의 상공업계를 대표해 권익을 대변하고 기술 및 정보 등을 제공하여 회원들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높여 지역 상공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종합 경제 단체이다. 1952년 「상공 회의소법」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공익 법인으로 인가 받은 대한 상공 회의소[CCI] 산하 62개 지방 상공 회의소 중 경기 북부...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 포천 상운은 경기도 포천시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편리한 운송 수단이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25일에 설립되었다. 현재 종사하는 인원수는 약 40명 정도이다. 노선은 6번[돌목개-동남 고등학교], 53번[포천시청-대외산리], 55번[직두 2리-의정부 약국], 56번[포천시청-전곡 시외버스 터미널], 57번[...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계류리에 있는 석제품 제조업체. 포천 석재 산업사는 고객이 원하는 석제품을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조·공급하기 위하여 2009년 7월 1일에 설립되었다. 포천 석재 산업사는 석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국내의 우수한 자연석 화강암을 사용하여 보차도 포장용 판석, 건축용 판재, 교명주, 조형물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주요 취급 품목은 보도 판석, 경계석, 건축석, 조형...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 어룡리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 석불 입상. 포천 석조 여래 입상(抱川石造如來立像)은 포천시 자작동의 왕방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절터 북쪽에 세워져 있다. 이곳에는 절터임을 알 수 있는 석축이 남아 있다. 인적이 드문 산간에 위치하여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1995년 8월 7일 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보호각을 만들어 보...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천주교 성당. 1784년 이승훈에 의해 공식적으로 천주교가 전래된 후 천주교는 쇄국 정책에 따른 박해와 일제의 탄압을 겪게 된다. 그러나 천주교는 해방과 미군정을 겪으면서 대형 종교로 성장하게 되었다. 포천 지역의 천주교 전도는 포천 출신의 홍교만에 의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전래 초기에는 공소를 중심으로 천주교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포천 성당은...
-
2012년 경기도 포천시에서 개최된 세계 대학생 태권도 선수권 대회. 국제 스포츠 기구인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은 태권도를 연마하는 세계 대학생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스포츠 대회인 세계 대학 태권도 선수권 대회를 2년마다 개최한다. 2009년 터키에서 열린 제12회 2012 세계 대학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유치 투표에서 경기도 포천시가 확정되었다. 포천시는 포천 세계 대학 태권도 선...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 설립된 소년 계몽 운동 단체. 포천 소년회는 경기도 포천 지역 어린이들을 계몽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창립 당시 강령을 살펴보면, ‘참된 사람이 되자, 배우며 일하자, 선(善)을 위하여 일하자, 대중의 종이 되자’였다. 이를 통해 포천 소년회가 계몽 사업의 전개를 위해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28년 3월 10일 조무환(曹武煥)의 발기로 군청 간...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포천시 담당 소방 행정 기관. 포천 소방서는 경기도 소방 본부 산하의 소방서로서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포천시는 지역이 비교적 넓고, 관내에 산악이 많아 산불 및 산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소재하고 있는 공장이 많아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포천 소방서는 각종 화재의 예방, 진화 및 재난 발생 시...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1954년 미군이 중공군을 공격하여 포천 일대를 탈환한 것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6·25 전쟁 당시 포천 일대는 1950년 6월 25일부터 10월, 1951년 1~3월 두 차례 걸쳐 북한 점령 하에 있다가 1951년 3월 24일 유엔군의 반격 작전으로 1951년 3월 완전히 수복되었다. 중공군 공세에 미 제3사단은 호킨스 특수 임무 부대를 편...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우금리에 있는 건축용 보온 단열재 제조업체. 1997년 5월에 설립되었으며 2003년에 생산 설비를 자동화하였다. 포천 수지는 스티로폼, 판넬, 비드법 1종 단열판, 비드법 2종 단열판, 목형용 블럭, 드라이 비트, 우레탄 판넬 & 보드의 생산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98년 한국 산업 규격 표시 인증[KS M 3808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제...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시립 민속 문화 예술 단체. 포천 시립 민속 예술단은 포천의 민속 예술을 널리 알리려는 목적으로 창단되었다. 포천의 시 승격과 포천 반월 아트홀 개관에 맞추어 2004년 창단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포천 시립 민속 예술단은 포천시의 주요 행사 때마다 포천 시민과 외빈에게 공연을 통해 포천의 문화를 알리고 있다. 매년 포천 반월 아트홀에서 연...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포천 시립 소흘 도서관은 지역 주민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열린 공간으로 포천 시민의 독서 문화 진흥에 기여할 목적으로 2010년에 건립되었다. 2005년 8월 5일에 포천 시립 소흘 도서관 건축 계획을 수립하였고, 2007년 8월 13일에 도서관 건립 현상 설계를 공모하였다. 2008년 10월 6일에 착공하여, 2009년 1...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포천 시립 영중 꿈나무 도서관은 지역 내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료 및 쾌적한 학습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어린이들에게 도서관 이용의 생활화와 도서관의 필요성을 교육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3년 11월 12일 포천 시립 영중 꿈나무 도서관 건립이 확정되었고, 2005년 7월 13일 착공하였다. 2006년 9월 14일...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포천 시립 일동 도서관은 지역 주민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열린 공간으로서 포천 시민의 독서 문화 진흥에 기여할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2004년 5월 31일에 도서관 현상 설계가 공모되었고, 2004년 11월 3일에 실시 설계가 완료되었다. 2005년 3월 21일에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2005년 11월 30일에 준공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포천 시립 중앙 도서관은 지식 문화 발전을 선도하고, 포천 시민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건립되었다. 2005년 8월에 포천 시립 중앙 도서관 건립 계획이 수립되었고, 2010년 5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1년 6개월의 공사 끝에 2012년 3월 2일에 개관하였다. 포천 시립 중앙 도서관은 구 시민 회관을 현대적 건물로 신축하였다....
-
1930년 4월 19일 경기도 포천군 군민들의 화합과 발전을 위해 개최한 행사. 포천 시민 위안 대회는 포천 군민들을 위해 포천 번영회와 포천 청년단이 개최한 행사로, 1930년 4월 19일부터 4월 23일까지 5일간 진행되었다. 장소는 포천군 서면 신읍리[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시장이었으며, 후원 단체는 『동아 일보』와 『중외 일보』 포천 지부였다. 첫날인 4월 19일에는 오...
-
경기도 포천시를 연고지로 하는 챌린저스 리그 소속 시민 구단. 포천 시민 축구단은 풀뿌리 축구의 활성화와 발전, 유소년 축구의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포천 시민 축구단은 포천을 연고로 2008년 1월 18일 창설되었으며, 이후 2008년 8월 포천 시민 축구단 산하 포천 시민 축구단 유소년 클럽을 창설하였다. 포천 시민 축구단은 풀뿌리 축구의 활성화 및 유소년 클럽을 통...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호국로에 있는 포천 시민 축구단 산하 유소년 축구 클럽. 포천 시민 축구단 유소년 클럽은 유소년 축구의 저변 확대 및 축구를 통한 균형 잡힌 신체 발달과 건전한 여가 생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포천 시민 축구단 유소년 클럽은 2008년 1월에 설립된 포천 시민 축구단의 산하 유소년 클럽으로서 2008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2012년 현재 KFA...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포천 시외버스 터미널은 주로 수도권·강원권을 운행하는 경기 북부의 대표적인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어디서나 포천을 쉽게 찾아 올 수 있도록 환승 및 양방향 노선 검색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 북부 교통의 요지로서 포천을 오가는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1972년 5월 17일 개장하였다. 대합실 겸 매표소가 있는...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포천시 담당 행정 기관. 포천시청은 2016년 6월 30일 현재 15만 4715명의 인구로 구성된 포천시의 행정 및 민원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기초 자치 단체 행정 기관이다. 행정 구역은 1읍, 11면,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민 중심 행복 도시 포천’을 시정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포천시청은 중앙 정부 및 경기도 광역 자치 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의 포천 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신문. 포천시의 정치·경제·사회·교육·문화·체육·시사 관련 사항 및 시·군 내의 각종 행사와 유명 인사를 소개하고 주민 생활에 필요한 각종 생활 정보를 알리려는 목적에서 1990년 1월 15일 『포천 신문』을 창간하였다. 밝고 투명한 경기도 북부 지역 사회 건설을 위해 주인 의식(主人意識), 정론 직필(正論直筆), 문화...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리에 있는 골프장. 포천 아도니스 컨트리클럽은 1999년 4월 10일 골프 인구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회원제 골프장으로 개장하였다.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의 코스에 자연 지형과 산림을 그대로 보존, 설계하였다. 코스 규모는 36홀이다. 그중 27홀은 회원제로, 9홀은 퍼블릭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부대시설로는 클럽 하우스, 그늘 집, 레스토랑,...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 일대에 있는 베개 용암 지형. 베개 용암(Pillow Lava)은 물속에서 뿜어져 나오는 용암이 물과 만나 냉각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둥글둥글한 베개 모양으로 굳은 형태를 말한다.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은 영평천과 한탄강의 물이 아우러지는 곳에 자리하고 있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은 신생대 제4기에 북한의 평강 오리산 북쪽 6...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 있는 친환경 문화 예술 공간. 한반도에는 다양한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 이는 화강암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의 성분 비율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돌의 질과 강도 등이 다르다. 이러한 돌의 지역적 차이는 한반도에서 생산되는 화강암을 출토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부르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 중 포천석...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포천 아트 밸리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는 색소폰 경연 대회. 포천 아트 밸리는 국내에서 최초로 폐채석장을 문화 예술 공간으로 재활용한 곳이다. 이에 따라 2009년 포천 아트 밸리 개장 기념으로 제1회 포천 아트 밸리 색소폰 경연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전까지 전국의 색소폰 동호인들이 함께 모여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연 대회가 없었으나 포천 아트 밸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꿈과 능력, 사랑을 품은 창조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자신을 관리하고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창조인, 다양한 문화적 소양으로 삶의 질을 추구하는 문화인, 세계를 이끄는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춘 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살자’이다. 1971년 1월 9일에 포천 여자 중학...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서 개최되는 경기도 유일의 시 단위 종합 연극제. 한국 연극 협회 포천 지부는 연극을 통한 시민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1999년 제1회 포천 연극제를 개최하였다. 포천 연극제는 어린이부터 성인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연극이 한 무대에 올라간다. 따라서 분야별로 나눠진 연극 공연을 한꺼번에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포천 시민에게 제공하고...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의 청년 연합 단체. 포천 연합 청년단은 일제 강점기에 경기도 포천 지역의 청년 단체들을 통합하여 만든 청년 단체이다. 일제의 지배 정책에 잘 따르도록 하고, 지역의 단체들을 친일 단체로 만들기 위해 설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1937년 10월 28일 포천 공립 보통학교[현 포천 초등학교] 대강당에서는 군내 각 청년단을 망라하여 단원 400여 명과 내빈이...
-
1927년 포천 공립 보통학교에서 열린 연합 학예회. 포천 연합 학예회는 포천 공립 보통학교[현 포천 초등학교]와 심상소학교가 연합하여 개최한 학예 행사이다. 1927년 3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포천 공립 보통학교와 심상소학교가 서로 연합하여 학예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남녀 학생들이 60여 종에 이르는 동화와 유희를 선보여 참여한 학부모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 주었...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 있는 신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유적지. 포천 영송리 선사 유적(抱川永松里先史遺蹟)은 포천에서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최초로 조사된 곳이다. 포천 영송리 선사 유적은 골재 채취를 하기 위해 중장비가 동원되어 굴착하던 중 포천 향토사가인 이우형에 의해 발견되었고,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경기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화...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포천 예술인 동우회는 문화·예술 창작 활동을 통해 향토 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포천의 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 창설되었다. 1987년 포천 문화원이 창설되어 반월 문화제, 향토 유적 순례, 향토 유적 사진전 등 여러 행사를 주최하면서 포천 문화원의 회원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 예술 분야 모임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에 1989년 4월 2...
-
경기도 포천시에서 매년 10월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하여 개최되는 종합 예술제. 포천시 예술인들의 지역 참여도를 높이고 포천 지역의 예술 문화 진흥과 시민들의 문화 예술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05년 제1회 포천 예술제가 개최되었다. 포천 예술제는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포천시 지회가 주최하고 산하 6개 회원 단체인 한국 국악 협회 포천 지부·한국 무용 협회 포천...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군 용상동에 있었던 야학. 1919년 3·1 운동 이후 1920년대 들어 전국적으로 야학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도 여러 곳에 야학이 세워져 많은 노동자, 농민들의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문맹 퇴치에 공헌했으며 국권 회복을 위한 항일 운동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포천 용상동 야학교도 그중 하나이다. 포천 용상동 야학교는 일반 노동 계급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우편·체신·금융 담당 기관. 포천 우체국은 경기도 포천 지역의 우편·체신·금융 관련 사업과 업무를 광범위하게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5년 8월 10일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포천 임시 우체소가 설립되었으며, 1906년 12월 1일 신읍리 43번지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1920년 3월 16일 포천 우체국으로 개칭되었고, 1971년 12월 15일에...
-
6·25 전쟁 당시 경기도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북한군에 대항한 민간 유격대. 북한의 남침 직후 경기도 포천 일대가 북한군의 점령 통치하에 들게 되자, 포천의 일부 우익 인사들이 유격대를 조직하여 항전하였다. 이들은 군번 없는 용사가 되어 전투에 참가했으며, 적 후방에서 게릴라 활동을 전개하였다. 북한군은 포천을 점령하자마자 여러 좌익 기관들을 창설하여 주민들을 압박하기 시작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에 있는 식물원. 포천 유식물원은 조경학자인 유상혁 대표가 대자연, 가족, 사랑을 비전으로 삼아 아이들에게 자연을 선물하고 녹색 교육을 실천하고자 건립하였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청산 식물원이라는 이름으로 야생화를 주로 심어 운영해 오다가 포천으로 이전하면서 규모를 확장하였다. 이후 명칭이 포천 유가든으로 바뀌었다가 2009년에 현재의 포천 유식물원이 되었...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 세운 감리교 청년 단체. 의법 청년회는 엡윗 청년회(Epworth League)를 한자식으로 표한 것이다. 엡윗 청년회는 1889년 미국에서 창설된 감리교의 청년 단체이며, ‘엡윗’은 요한 웨슬리의 고향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1897년 5월 5일 서울 정동 교회에서 창립된 엡윗 청년회를 기점으로 하고 있으며 이후 전국 각지에 엡윗 청년회가 세워졌다....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소흘 생활 체육공원 내 인공 암벽 시설. 포천시가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시행하는 레저 스포츠 시설 구축 지원 사업 공모에 응시하여 최종 지원 대상 지자체로 선정되어, 국민 체육 진흥 기금 3억 원을 지원받고 자체 예산 5억 원을 부담하여 약 3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2011년 7월 3일에 개장하였다. 포천 인공 암벽장(抱川人工岩壁場)은 국제 스포...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인삼 제품 제조업체. 2005년 7월 포천 인삼 영농 조합이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4월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276번지의 공장을 등록하였다. 포천 인삼 영농 조합 법인은 인삼 경작 및 인삼 제품 제조와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40년의 인삼 제조 기술을 이어 받아 경작부터 제조에 이르기까지 전통 방법을 고수하고...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에서 열리는 군과 주민들의 화합 축제. 포천 일동 오뚜기 한마음 축제는 2007년 육군 8사단 오뚜기 부대의 사단 창설 58주년을 맞이하여, 일동면 주최로 육군 8사단과 일동면 주민 자치 위원회가 공동 주관하여 민․군 화합의 장으로 시작되었다. 2007년 10월 16일 열린 제1회 축제는 추억의 병영 도시-일동 오뚜기 한마음 축제라는 명칭으로 다양한 공연과 일동...
-
경기도 포천시의 농촌 체험 관광, 농특산물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정보 제공 사이트. 농촌 관광이 농촌의 부가 가치 창출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대안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천시는 포천의 농촌 체험 관광, 농산물과 특산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포천을 잘 알지 못하는 대다수 국민들에게 고른 정보를 제공하고 연간 관광객 1000만 명 시대를 열고자 팜그린...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경기 일자리 센터의 포천시 지회. 포천 일자리 센터 인투인은 구직자가 일자리 지원 기관을 직접 찾아다니지 않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산재해 있는 구인 구직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며, 일자리 발굴 지원과 사후 관리까지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0년 2월 24일 포천 일자리 센터 인투인의 개소식을 가졌다. 2010년 3월 31일 포천시, 포천 상...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에 있는 백제의 생활 유적지. 포천 자작리 유적지(抱川自作里遺蹟地)는 자작동 고인돌이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150m 정도 떨어져 위치한다. 포천시 자작동 250-3[전], 250-4, 250-6, 250-7, 250-8, 251-2, 377-2 등 7개 필지 1만 5830㎡[4,788평]에 있다. 구덩이의 단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움집 자리 유구(遺構)를 확인할...
-
경기도 포천시 출신 대학생들을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만든 기숙사. 경기도 포천시 출신 고등학생들이 서울 지역 대학교에 진학했을 때에 기숙 시설을 제공하여 지역 발전을 선도할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하고 있다. 2011년에 지방 재정 투융자 심사 재심의를 거쳐 공유 재산 변경 관리 계획을 의결하고, 2011년 12월에 부지 매입을 완료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대한민국 재향 군인회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1952년 2월 1일 대한민국 재향 군인회가 부산에서 창립되었고, 1961년 12월 27일 재건 총회로 경기도 재향군인회가 창립되었다. 이어 1962년 2월 26일에 전국 21개 시·군회, 256개 읍·면·동회가 조직되었다. 포천 재향 군인회도 이 무렵 조직된 것으로 추정된다. 포천 재향 군인회는...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종합 사회 복지 기관. 포천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 주민에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설립되었다. 2007년 10월 1일 공식 업무를 시작하였다. 같은 해 10월 17일 건물 준공 및 개관식을 가졌다. 2008년 3월 7일 포천교육청 지원 사업 기관으로 선정되었다[방과 후 바우처 사업]. 2009년...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포천 종합 운동장은 포천 시민의 체력 증진과 건전한 여가 활동의 공간 확보를 목적으로 포천시에서 건립하였다. 1985년 12월 9일에 건립 결정 및 실시 계획을 인가받았으며, 1985년 12월 10일부터 1차 공사가 진행되어, 운동장의 수리와 배수 시설 및 트랙 시설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졌다. 이후 1990년 7월 19일에 준공...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 포천 종합 체육관은 포천 시민의 체력 증진 및 건전한 여가 활동의 공간 확보를 목적으로 포천시에서 1990년 12월 31일에 착공하여, 1992년 9월 4일에 준공하였으며, 사업비로 17억 4800만 원이 사용되었다. 포천 종합 체육관은 주경기장, 테니스장, 족구장, 씨름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면적은 3,060㎡이며, 경기장...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행복한 미래를 열어 갈 핵심 역량을 갖춘 포천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민주 시민의 자질을 함양한 민주인, 바른 인성을 지닌 성실인, 미래를 주도할 역량 있는 역량인, 심신이 조화롭고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1947년 12월 24일에 포천 공립 초급 중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4...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에 서식하는 수령 약 300년의 처진 소나무 두 그루. 처진 소나무는 가지 끝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특징을 갖는 소나무의 한 품종이다. 크고 작은 2그루의 소나무가 마치 금슬 좋은 부부처럼 함께 자라고 있기 때문에 부부송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두 나무 중 큰 나무는 수령이 300년으로 추정되며, 포천시를 상징하는 시목(市木)으로 지정되어 있다. 나지...
-
1920년대 경기도 포천 지역에 세운 청년 단체. 1919년 3·1 운동 이후 각 지역에서는 노동 야학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도 청년 단체들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노동 야학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들 노동 야학 운동을 지원한 대표적인 단체가 포천 청년회였다. 1920년대 당시 청년 단체들의 가장 긴급하고도 중요한 사업이었던 지식 보급, 도덕 교육,...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체육공원. 포천 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도비와 시비 100억 원을 투입하여, 2007년 4월에 착공하고, 2009년 5월경에 준공하였다. 포천 체육공원 내에 인라인 하키장 1면을 조성하였는데, 이용률이 현저히 낮아 공원 유지 관리비 5000만 원을 투입하여 2011년 2월 10일에 풋살 경기장으로 다시 조성하였다. 포천 체육공원에는 풋살 경기장, 게...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있는 체육 센터. 포천 체육 진흥 센터는 경기 북부 지역에 직장 운동 경기부 및 학생 운동부의 훈련 시설이 전무하여 국민 체육 진흥 공단의 지원으로 전지 훈련장을 조성한 사업이다.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건립을 추진하여, 2007년 12월에 착공하였고, 11개월 만인 2008년 11월 20일에 준공하였다. 2008년 11월 준공 이후에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으로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는 애국인, 자주적인 학습으로 소질을 계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로 꿈을 키워 가는 창의인, 즐거운 생활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근면, 자조’이다. 1911년 7월 18일에 포천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9월 1일에 개교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축산업 협동조합. 포천 축산업 협동조합은 축산업 발전과 축산 농가의 권익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협동조합 형태로 조직된 단체이다. 양축가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육성하여 축산업의 진홍과 구성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4년 11월 28일 창립총회를 개최했으며 1965년에 조직되었...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북원로 255번길 24[자일 2리 959-20번지]에서 전해 내려오는 풀잎으로 부는 피리. 풀피리는 나뭇잎이나 나무껍질, 풀잎을 접어 입술에 대고 휘파람을 불듯이 소리를 내어 연주하는 우리나라 전통 향악기이다. 이를 ‘초적(草笛)’ 또는 ‘초금(草琴)’ 등이라고도 한다. 풀피리에는 나뭇잎을 사용하는 초금 이외에도 물오른 나뭇가지의 껍질을 벗겨서 피리처럼 부는...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중리 일대 한탄강을 따라 발달한 현무암 협곡. 포천시청 홈페이지에 따르면, 멍우리는 ‘멍’과 ‘을리’가 합쳐진 지명으로 멍이란 ‘온몸이 황금빛 털로 덥힌 수달’을 가리키고 을리는 멍우리의 지형이 한자의 ‘을(乙)’자처럼 크게 곡류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즉 멍우리란 ‘황금빛 털을 가진 수달이 사는, 을(乙)자처럼 강물이 휘어지며 흐르는 곳’이란 뜻이다. 포...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기도원. 기도원은 각 교회의 수양관 형태를 띠거나 부흥 집회를 강조하는 경우, 외관상 기도원이지만 종단의 체계를 갖춘 신흥 종교인 경우 등이 있다. 포천 할렐루야 기도원은 신도들의 영적 구원과 신유(神癒)[신의 힘으로 병이 낫는 것을 말함]의 기적을 통한 병 치유를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 10월 1일 포천에 두 번째의 할렐루야 기도원으로 설립...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고려 후기에 창건된 향교. 포천 향교는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반월산[청성산]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포천 향교는 고려 후기인 1173년(명종 3)에 창건되어 1591년(선조 24)까지 약 419년간 유지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2년 뒤인 1594년에 중건하여 계속 보존 관리되어 왔다. 이후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포천 향교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 포천 향교 부설 포천 명륜 대학은 포천 유학의 대표 기구인 포천 향교에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비롯해 올바른 유학을 보급하고자 교육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08년 3월 포천 향교 원로원 회의에서 포천 향교 부설 포천 명륜 대학 설립과 조직안이 의결되어, 2008년 5월에 제1기 개강식을...
-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에 있는 포천 지역의 향토사 연구소. 포천 향토사 연구소는 지역 고유의 민속이나 지역사 등 전해 내려오는 문화유산들을 체계적으로 발굴 및 정리하여 후세들에게 전하고, 내 고장 역사에 관심을 갖고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천 문화원 부설로 설립되었다. 1987년 포천 문화원 정관 제4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포천 향토사 연구소 설치 운영을 규정하다가 시...
-
경기도 포천시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현대 미술 기획전. 한국 미술 협회 포천 지부가 주최하고 진산 박물관이 주관하여 2004년 제1회 포천 현대 미술제를 연 것이 시초이다. 포천의 미술 작가 뿐 아니라 현대 미술 작가들이 정보 공유를 통해 진일보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현대 미술 등 문화 예술 인프라가 열악한 포천 지역의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개최되었다. 2...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한탄강 주변에 있는 명승지. 조선 시대 포천 화적연(禾積淵)은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으로 알려져 있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 경기도 영평현조에는 기우제단(祈雨祭壇) 두 곳으로 화적연과 백운산(白雲山)이 나온다.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도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사를 종종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예로부터 시인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상성북리에 있는 골프장. 포천 힐스 컨트리클럽은 2008년 8월 18일에 착공하여, 2009년 6월 10일에 관리동을 완공하였다. 2009년 11월 3일에 임시로 개장하였고, 2010년 6월 7일에 정식으로 개장하였다. 27코스와 60타석 규모의 연습장을 갖추고 있다. 전체 코스는 가든 코스(Garden Course), 캐슬 코스(Castle Course),...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에 2014년에 건립된 LNG 복합 화력 발전소. 포천 복합 화력 발전소는 경기 북부 지역과 포천시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송전 과정에서 발생되던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2010년 5월 지식경제부로부터 전원 개발 사업 실시 계획이 승인·고시되어, 2011년 9월 공사를 착공하여 2014년에 완공하였다. 포천 복합 화력 발전소는 민간 상업...
-
경기도 포천 지역의 한탄강과 운악산 일대 암벽 지대에 생육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포천구절초는 포천시를 상징하는 시화(市花)로 2003년 시 승격과 함께 시화로 결정되었다. ‘포천가는잎구절초’ 또는 ‘가는잎구절초’라고도 하는데, 이는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포천구절초는 높이가 약 50㎝ 되고, 꽃자루 윗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난 잎과...
-
1664년 조경이, 1652년에 완성된 포천의 한양 조씨 사당에 대하여 지은 기문. 「포천가차리 선롱하사당기(抱川加次里先壟下祠堂記)」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위치한 한양 조씨 용주(龍洲) 조경(趙絅)[1576~1669] 가문의 사당에 대한 기문(記文)이다. 조경이 주도하여 사당이 완성된 것은 1652년(효종 2)이고, 「포천가차리 선롱하사당기」는 조경이 1664년(현종 5...
-
1637년 이후에 김상헌이 포천 객관에서 느낀 감흥을 노래한 칠언 절구의 한시. 「포천객관유감(抱川客館有感)」은 1637년(인조 15) 이후인 만년에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포천 객관의 감회를 읊은 한시이다. 김상헌은 자(字)를 숙도(叔度), 호(號)는 청음, 석실산인(石室山人), 서간노인(西磵老人)이라 했다. 본관은 안동(安東),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
경기도 포천 지역의 한탄강과 운악산 일대 암벽 지대에 생육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포천구절초는 포천시를 상징하는 시화(市花)로 2003년 시 승격과 함께 시화로 결정되었다. ‘포천가는잎구절초’ 또는 ‘가는잎구절초’라고도 하는데, 이는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포천구절초는 높이가 약 50㎝ 되고, 꽃자루 윗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난 잎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국악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국악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악인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국악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국악 협회 포천 지부는 국악 예술의 전반적인 발전, 포천 국악인의 자유로운 국악 활동 및 권익 옹호,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복리 증진 도모, 지역 문화 예술의 정립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
1895~2003년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포천은 고려 초에 포주(抱州)로 개칭된 이래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양주에 소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 양주에서 분리되어 감무(監務)를 두었다. 1390년(공양왕 2)에 경기도가 좌도와 우도로 분리되면서 경기좌도에 속하였다. 1413년...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 세운 일제의 농업 정책 담당 기관. 농회는 1926년 1월 일제가 「조선농회령」의 공표와 함께 조선 농민을 착취하기 위해 전국적인 조직으로 설립한 농촌 단체이다. 농회는 농업에 대한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가지고 소작 쟁의 조정 및 중재, 농업 지도 장려 및 친목 도모, 복리 증진, 농업 연구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포천군 농회도...
-
1657년 조경이 포천 기곡의 봉화가 타오르는 것을 보고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기곡봉화(抱川機谷烽火)」는 1657년(효종 8) 71세 때 포천에 은거한 용주(龍洲) 조경(趙絅)[1586~1669]이 포천 기곡에서 봉화가 밤마다 타오르는 것을 보고 느낀 감회를 노래한 한시이다. 조경은 자(字)가 일장(日章)이고, 호(號)는 용주, 주봉(柱峯), 간옹(鬝翁) 등을 사용했다....
-
조선 후기 김창흡이 포천 길에서 금강산 스님을 만나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상 우풍악승(抱川途上遇楓嶽僧)」은 조선 후기의 문인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1653~1722]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풍악산[금강산]의 승려를 만나서 지은 한시이다. 김창흡의 자(字)는 자익(子益), 호(號)는 낙송자(洛誦子), 삼연 등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시호는 문강(文康)으로 이단...
-
조선 후기 권두경이 유배되었던 스승 이현일이 복권되자 마중하러 포천으로 향하는 길에서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상작(抱川道上作)」은 조선 후기의 문신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1654~1725]이 1694년(숙종 20) 4월에 유배를 갔던 스승 이현일(李玄逸)[1627~1704]이 복권되자 포천까지 마중 나가는 상황을 노래한 한시이다. 권두경의 자는 천장(天章)이고,...
-
1603년 허균이 금강산을 유람하고자 포천을 지나는 길에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道中)」은 1603년(선조 36)에 조선 후기의 문신 성소(惺所) 허균(許筠)[1569~1618]이 풍악산[금강산]을 유람하려고 집을 떠나 포천을 지나는 길에 지은 한시이다. 허균의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 성소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권필(權韠)[1569~1612...
-
조선 중기 이안눌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천둥과 거센 비를 만나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途中)」은 조선 중기의 문신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1571~1637]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천둥과 거센 비를 만나 느낀 감흥으로 읊은 한시이다. 이안눌의 자는 자민(子敏)이고, 호는 동악(東岳, 東嶽), 동곡(東谷), 동엄(東广) 등이라 했다. 본관은 덕수(德水), 시호는...
-
조선 후기 송상기가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途中)」은 조선 후기의 문신 옥오재(玉吾齋) 송상기(宋相琦)[1657~1723]가 포천 가는 도중에 지은 한시이다. 송상기는 자를 옥여(玉汝), 호는 옥오재라 했다. 본관은 은진(恩津)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송시열(宋時烈)[1607~1689],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문인으로 김...
-
조선 후기 이덕수가 포천으로 가는 길에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道中)」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당(西堂) 이덕수(李德壽)[1673~1744]가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지은 한시이다. 이덕수는 자를 인로(仁老), 호는 서당, 벽계(蘗溪)라 했다.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으로, 박세당(朴世堂)[1629~1703]의 문인이다. 1696년(숙종 22) 진사...
-
조선 후기 권만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道中)」은 조선 후기의 문신 강좌(江左) 권만(權萬)[1688~1749]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지은 한시이다. 권만의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남인 학자로 이재(李栽)[1680~1746]의 문인이다. 김성탁(金聖鐸)[1684~1747], 이상정(李象靖)[1711~178...
-
조선 후기 박윤묵이 금강산을 유람하고자 포천을 지나는 길에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途中)」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존재(存齋) 박윤묵(朴允默)[1771~1849]이 금강산을 유람하려고 집을 떠나 포천을 지나는 길에 지은 한시이다. 박윤묵은 초명이 지묵(趾默)이고, 자는 사집(士執), 호는 존재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정이조(丁彛祖)의 문인으로, 천수경(千壽慶)...
-
1830년에서 1838년까지 조인영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추위를 탈 정도로 찬바람이 불 즈음에 우연히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도중(抱川道中)」은 1830년(순조 30)부터 1838년(헌종 4) 사이에 조선 후기의 문신 운석(雲石) 조인영(趙寅永)[1782~1850]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 찬바람이 심하게 불어 추위를 탈 때에 뜻하지 아니하게 지은 한시이다. 조인영은 자가 희경(...
-
조선 후기 이식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자형의 부채에 쓰인 시에 차운하여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중 차구자형선운각기(抱川道中次具姊兄扇韻却寄)」는 조선 후기의 문신 택당(澤堂) 이식(李植)[1584~1647]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자형의 부채에 쓰인 시에 차운한 한시이다. 이식은 자를 여고(汝固), 호는 택풍당(澤風堂)이라 했다.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시호는 문정(文靖)...
-
1770년에서 1774년 사이 김익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처음으로 기러기 소리를 듣고서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중문초안(抱川道中聞初鴈)」은 1770년(영조 46)에서 1774년(영조 50)까지 조선 후기의 문신 죽하(竹下) 김익(金熤)[1723~1790)이 경성 판관으로 포천으로 오고 가는 도중에 처음으로 기러기 소리를 듣고서 느낀 감회를 노래한 한시이다. 김익은 자가 광...
-
조선 후기 강백년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이동언을 생각하며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중억이형(抱川途中憶李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설봉(雪峯) 강백년(姜栢年)[1603~1681]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이동언(李東彥) 형을 생각하며 지은 한시이다. 강백년은 자가 숙구(叔久)이고, 호는 한계(閑溪), 청월헌(聽月軒), 설봉 등이며, 본관은 진주(晉州),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
조선 중기 이수광이 포천으로 가는 도중에 설악산 승려를 만나서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포천도중우일승(抱川道中遇一僧)」은 조선 중기의 문신 지봉(芝峯) 이수광(李睟光)[1563~1628]이 포천으로 가는 길에 설악산에서 왔다고 말하는 승려를 만나서 지은 한시이다. 이수광은 자가 윤경(潤卿)이고, 호는 지봉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시호는 문간(文簡)으로, 신흠(申欽)[1566~...
-
경기도 포천시에 속하는 행정동. 포천동은 포천시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법정동인 신읍동과 어룡동을 관할하고 있다. 포천의 중심 지역이기에 포천동이라 이름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포천현 서면 지역이었다. 원래 면사무소는 자작리에 있었다. 1905년 포천군청이 군내면 구읍리에서 현 신읍동[당시 장거리]으로 이전하면서 면사무소도 함께 이전하고 신읍리(新邑里)라 불렀다. 1937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포천동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천동 주민 센터는 그중 포천동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포천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포천동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천동 주민 센터는 그중 포천동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포천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
조선 전기 홍언필이 포천 동헌의 작은 연못을 소재로 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동헌소당(抱川東軒小塘)」은 조선 전기의 문신 묵재(默齋) 홍언필(洪彥弼)[1476~1549]이 포천 동헌에 있는 작은 연못을 보고 느낀 감흥을 읊은 한시이다. 홍언필은 자가 자미(子美)이고, 호는 묵재,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1495년(연산군 1) 사마시에 합격하고,...
-
조선 후기 이민서가 포천의 묘사에서 우연히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포천묘사우음(抱川墓舍偶吟)」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하(西河) 이민서(李敏敍)[1633~1688]가 포천 선영에 들렀을 때 묘사(墓舍)에서 뜻하지 아니하게 지은 한시이다. 이민서의 자는 이중(彛仲)이고, 호는 서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영의정을 지낸 이경여(李敬輿)[1585~1657]...
-
조선 후기 이민서가 포천의 묘소 아래에서 우연히 지은 칠언 율시 2수의 한시. 「포천묘하우음(抱川墓下偶吟)」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하(西河) 이민서(李敏敍)[1633~1688]가 포천 선영에 들렀을 때 묘소 아래에서 뜻하지 아니하게 지은 2수의 한시이다. 이민서의 자는 이중(彛仲)이고, 호는 서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영의정을 지낸 이경여(李敬輿)[1...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무용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무용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용인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무용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무용 협회 포천 지부는 예술인들의 권익 향상 및 친목 도모와 함께 전통 춤의 계승 및 보존뿐만 아니라 그 정신을 바탕으로 현대에 맞게 창작 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2월 24일 창단되었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문인 협회의 포천시 지부로 포천 지역의 문예 중심의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포천 문협이라고도 한다. 동인지의 발간과 다양한 문예 창작 활동 및 향유 활동 등을 통해 지역 문학예술의 발전과 시민들의 문예 문화 향유에 이바지하고자 결성되었다.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는 초대 지부장으로 임관영을 선출하며...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미술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미술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술가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미술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미술 협회 포천 지부는 민족 미술의 향상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가의 권익을 옹호하며, 미술의 교류와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7월 18일 한국 미술 협회로부터 포천...
-
조선 후기 임영이 포천에서 동행한 이군과 이별을 아쉬워하여 말 위에서 즉석으로 입으로 부르며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포천별동행이군 마상구호(抱川別同行李君馬上口號)」는 조선 후기의 문신 창계(滄溪) 임영(林泳)[1649~1696]이 포천에서 동행한 이군과의 아쉬운 헤어짐에 대하여 마음에 떠오르는 대로 입에서 나오는 대로 즉흥적으로 읊은 한시이다. 임영의 자는 덕함(德涵)이고, 호...
-
조선 후기 오시수가 포천에서 둘째 형님과 작별하면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포천별이중(抱川別二仲)」은 조선 후기의 문인 수촌(水村) 오시수(吳始壽)[1632~1681]가 포천에서 이중(二仲)[둘째 형님]과 헤어지면서 지은 한시이다. 오시수의 자는 덕이(德而), 호를 수촌이라 했고, 본관은 동복(同福)이며, 탁남(濁南)의 중심인물이었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합격하고,...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대순 진리회의 수도장. 대순 진리회에는 도장[수도장], 회관, 포덕소(布德所)라는 3개 단위의 포덕[선교] 센터가 있다. 도장은 여주 본부 도장을 비롯하여 포천 도장, 중곡동 도장, 금강산 도장, 제주 도장 등 5개이다. 도장은 대순 진리회 신앙 대상을 모신 영대가 있는 곳을 일컫는다. 포천 수도장은 1992년 당시 포천군 포천읍 선단리[현 포천시 선단...
-
조선 후기 김석주가 포천 현감 홍수량이 보낸 나물을 받고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포천쉬홍군 향이문무일속(抱川倅洪君餉以文無一束)」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식암(息庵) 김석주(金錫胄)[1634~1684]가 포천 현감 홍수량(洪受湸)[1626~1696]이 나물 한 다발을 보내자 이에 사례하면서 지은 한시이다. 김석주는 자가 사백(斯百)이고, 호는 식암, 절재(節齋), 지재(趾齋) 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