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암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있는 가마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하여 감암동, 감암, 가마바위, 감바위로 불렀다. 혹은 이곳의 용을 닮은 듯한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을 굽이굽이 감돈다고 하여 감바위라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 관할의 화산면(花山面)에 속했다. 1912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산정 호수에서 발원하여 운천리, 문암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부소천(釜沼川)의 유역 중 현재 영북면 제1 기갑 여단 영내에 가마소 폭포가 있는데, 부소천은 한자로 가마소가 있는 하천[가마소천]이라는 의미이다. 부소천은 한탄강의 지천으로 하류에는 용암 대지가 형성되어 있고, 현무암 침식 하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하류로 갈수록 주상 절리 협곡...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에 있는 천주교 성당. 가산 성당은 포천 성당의 여러 공소 가운데 하나였던 가산 공소에서 출발하였다. 가산 공소는 1960년대 포천 성당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자주 미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신자들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12월 말 신자 수가 44명이었는데, 1990년 12월 79명으로 증가하였다. 그 뒤 1991년 8월 인근에 있던 소흘읍 송우리...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올바르게 행동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올바름], 스스로 탐구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참 자람], 꿈과 희망을 가꾸는 자랑스러운 어린이[꿈 이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1년 7월 14일에 가산 공립 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아 그해 12월 1일에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에 가산 공립 심상 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법정리 8개 가운데 하나로 면의 남서부에 위치한다. 화산 아래에 있다고 해서 화산말 또는 화산이라 불렀다. 한편으론 마을에 시우정(時雨亭)이 있어서 시우골, 시우동으로도 불렀다. 1912년 행정구역상 포천군 가산면 가산리였다. 1914년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할 때 가산면 추곡리와 방축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산리에 편...
-
경기도 포천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가산면은 포천시 소속 11개 면 가운데 동남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서 8개 법정리[마산리·방축리·정교리·우금리·감암리·가산리·금현리·마전리]와 23개 행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본래 이름인 화산면(花山面)은 관내에 있는 화산(花山)에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청량면 소속의 3개 리를 합하면서 동네가 더해졌다는 뜻으로 가산면(加...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에 있는 가산면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산면사무소는 그중 가산면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가산면사무소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전리에 있는 2종 저수지. 마전 저수지(麻田貯水池)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59년 12월 31일에 착공하여, 1960년 12월 20일에 준공하였다. 마전 저수지의 수계는 우금천(友琴川)에서 포천천(抱川川)까지이다.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10.1㏊, 유역 면적[...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집안에 위치하는 신적 존재를 믿는 의례 행위. 가신 신앙은 가정의 안녕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해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집안 곳곳에 신을 모셔 놓고 섬기는 행위이다. 가신 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르다. 성격상으로 유교 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이념성·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데 비해서, 가신 신앙은 부인들이 주가...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증조할아버지는 김사형(金士衡)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종숙(金宗淑)이다. 부인은 정창손(鄭昌孫)의 딸 동래 정씨(東萊鄭氏)이다. 동생 김작(金碏)은 성종의 후궁 명빈 김씨(明嬪金氏)의 아버지이다. 김질(金礩)[1422~1478]은 처음 충의위(忠義衛)에 보직되어 부사직을 역임하였다. 1450년(세종 32)...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쪽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개암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개암골, 가양굴, 갱이, 가양동 등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가양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평군 남면 풍패동 전역과 포천군 외북면 삼성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쪽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개암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개암골, 가양굴, 갱이, 가양동 등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가양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평군 남면 풍패동 전역과 포천군 외북면 삼성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쪽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개암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개암골, 가양굴, 갱이, 가양동 등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가양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평군 남면 풍패동 전역과 포천군 외북면 삼성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
-
경기도 포천시에 거주하는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1847년경 간행된 조진관의 시문집. 조진관(趙鎭寬)[1739년~180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양이며, 자는 유숙(裕叔), 호는 가정(柯汀)이다. 아버지는 대마도에서 고구마를 들여와 재배한 조엄(趙曮)으로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1762년(영조 38) 사마시에 합격하고, 1771년에 의금부 도사가 되었다. 1775년 세자...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서 매년 11월 개최되는 가족 시 낭송 경연 대회. 포천 문화원은 가족 간의 화목을 도모하고 포천 시민들의 정서 함양과 시 낭송 분위기 조성을 위해 2006년 11월 29일 제1회 가족 시 낭송 경연 대회를 개최하였다. 가족 시 낭송 경연 대회는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와 포천시, 포천시 의회가 후원하며 대상은 포천 시장상, 금상은 포천시 의회 의장...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과 소흘읍 지역에서 가짜 아버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가짜 아버지」는 가난하지만 인심이 좋아서 중에게 잘 대접하는 집에는 복을 주었다는 행운담이고, 인심이 사나워서 중을 내쫓은 집에는 가짜 아버지를 모시게 하고 진짜 아버지를 내쫓게 하여 3년 동안이나 죽을 고생을 하게 시켰다는 징치담이다. 또한 「가짜 아버지」는 진정한 선행이란 대가를 바라는 것이...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채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다. 가랑산 아래에 마을이 자리한다고 해서 가취 또는 가채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내북면 이가채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가채리 전역과 초가채리 일부, 그리고 서면 호병동 일부를 통합하여 가채리라고 하고 신북면에 편입하였다. 2003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채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다. 가랑산 아래에 마을이 자리한다고 해서 가취 또는 가채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내북면 이가채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가채리 전역과 초가채리 일부, 그리고 서면 호병동 일부를 통합하여 가채리라고 하고 신북면에 편입하였다. 2003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채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다. 가랑산 아래에 마을이 자리한다고 해서 가취 또는 가채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내북면 이가채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가채리 전역과 초가채리 일부, 그리고 서면 호병동 일부를 통합하여 가채리라고 하고 신북면에 편입하였다. 2003년...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호는 각산(覺山). 다른 이름은 조용완(趙鏞完)이다. 조선 태종 때 한평 부원군 우의정 양경공(良敬公)의 후손이며 인조 때 중추 대제학 문간공(文簡公)의 후손이다. 조영원(趙永元)[1892~1974]은 1892년 5월 11일 경기도 포천군 창수면 추동리[현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에서 태어났다. 1907년 유신 학교(維新學校)를 졸...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산.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약사동] 사람들이 산의 북쪽을 바라보았을 때 소의 뿔을 닮았다고 하여 각흘봉(角屹峰)이라 했다고 한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의 경계를 잇는 산이다. 동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서면, 남쪽으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서쪽으로 철원군 갈말읍에 접한다. 북동쪽에 광주산맥과 명성산으로 능선이...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산.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약사동] 사람들이 산의 북쪽을 바라보았을 때 소의 뿔을 닮았다고 하여 각흘봉(角屹峰)이라 했다고 한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의 경계를 잇는 산이다. 동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서면, 남쪽으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서쪽으로 철원군 갈말읍에 접한다. 북동쪽에 광주산맥과 명성산으로 능선이...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인 양사언이 연꽃·국화·대나무를 소재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간포천성주 걸련국죽삼절(簡抱川城主 乞蓮菊竹三絶)」은 포천 출신으로 조선 전기의 문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이 당시 포천 현감의 요구에 응해 연꽃·국화·대나무 등의 사물에 대하여 읊은 한시이다. 「간포천성주 걸련국죽삼절」은 양사언의 시집 『봉래시집(蓬萊詩集)』 권(卷)...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입리는 일동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일동 사이판과 용암천 등 온천이 발달해 있다. 수입천과 영평천이 모두 들어오는 것만 보이고 나가는 것은 보이지 않으므로 수입리라 부르게 되었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일동면 수입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수입리를 분할하여 일동면 화대리와 사직리로 일부씩 넘겨주고 일동면...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가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민주 시민 의식이 투철한 애국인, 인간을 존중하고 효도하며 예절 바른 창조인, 스스로 진리를 탐구하며 합리적 사고를 하는 자주인, 건전한 심신을 길러 강인한 의지력을 갖춘 협동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덕성(德誠)’이다. 1998년 4월 16일에 갈월 중학교로 설립 인가[24학급]를 받았다. 20...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곡리는 이동면이 관할하는 4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서쪽 하단에 있다. 갈대가 많다고 하여 ‘갈대 노(蘆)’ 자를 써서 노곡리(蘆谷里)라고 부른다. 갈월 또는 노곡이라고도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이동면 노곡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이동면 낭유리 전역과 응암리 일부 그리고 일동면 사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노곡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갈월리에서 발원하여 금동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갈월천은 갈월이라는 마을 지명에서 유래한다. 갈월은 소둔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마을이다. 땅이 비옥하여 칡넝쿨이 무성하게 우겨져 그 사이로 비치는 달빛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하여 칠월, 치월이라고 하였는데, 한자 표기 과정에서 칡 갈(葛)자를 써서 갈월이 되었다. 갈...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월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산마루터기에 형성된 마을인 갈월은 땅이 비옥하여 칡넝쿨이 무성하게 우겨져 그 사이로 비치는 달빛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하여 티울, 칠월, 치월이라고 하였는데, 한자 표기 과정에서 칡 갈(葛)자를 써서 갈월이 되었다. 본래 양주군 관할이었다가 1895년 포천군에 편입되...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갈월리에 설립된 야학. 1919년 3·1 운동 이후 전국 각지에서 지역의 청년 단체들, 유지들과 주민들, 종교 단체들 등의 주도 하에 노동 야학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도 여러 노동 야학이 설립·운영되었는데 갈월리 동기 야학도 그중 하나였다. ‘동기 야학’은 농한기인 겨울철을 이용하여 야학을 개설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 것...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갈월리에서 발원하여 금동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갈월천은 갈월이라는 마을 지명에서 유래한다. 갈월은 소둔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마을이다. 땅이 비옥하여 칡넝쿨이 무성하게 우겨져 그 사이로 비치는 달빛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하여 칠월, 치월이라고 하였는데, 한자 표기 과정에서 칡 갈(葛)자를 써서 갈월이 되었다. 갈...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암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있는 가마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하여 감암동, 감암, 가마바위, 감바위로 불렀다. 혹은 이곳의 용을 닮은 듯한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을 굽이굽이 감돈다고 하여 감바위라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 관할의 화산면(花山面)에 속했다. 1912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암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있는 가마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하여 감암동, 감암, 가마바위, 감바위로 불렀다. 혹은 이곳의 용을 닮은 듯한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을 굽이굽이 감돈다고 하여 감바위라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 관할의 화산면(花山面)에 속했다. 1912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암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있는 가마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하여 감암동, 감암, 가마바위, 감바위로 불렀다. 혹은 이곳의 용을 닮은 듯한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을 굽이굽이 감돈다고 하여 감바위라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 관할의 화산면(花山面)에 속했다. 1912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암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있는 가마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하여 감암동, 감암, 가마바위, 감바위로 불렀다. 혹은 이곳의 용을 닮은 듯한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을 굽이굽이 감돈다고 하여 감바위라 불렀다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 관할의 화산면(花山面)에 속했다. 1912년 행정 구역...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의 양재웅이 소장한 양만고의 시문집. 양만고(楊萬古)[1574~1654]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 선영에 묘가 있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일(道一), 호는 감호(鑑湖)·돈호(遯湖)·비로도인(毗盧道人)이다. 할아버지는 돈령부 주부를 지낸 양희수(楊希洙)이고, 아버지는 부사를 역임한 봉래 양사언(楊士彦)이다. 1603년(선조 36...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학자. 김평묵(金平默)[1819~1891]은 최익현(崔益鉉) 등과 동문수학하였으며, 문하에서 홍재구(洪在龜)·유인석(柳麟錫)·유기일(柳基一) 등을 배출하였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치장(稚章), 호는 중암(重庵)·겸산(兼山). 6대조 김흥지(金興祉)가 포천 백운산으로 이거한 후 오랫동안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김도홍(金道弘)이고,...
-
1894년 이남규가 포천을 거쳐 영흥 부사로 부임하는 노정과 영흥에서 겪은 일을 기록한 일기. 「갑오일기(甲午日記)」는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1855~1907]가 1894년[甲午年] 음력 5월 6일부터 12월 말일까지 영흥 부사(永興府使)가 되어 임지(任地)에서 겪은 일들을 일기체로 기록한 글이다. 「갑오일기」는 이남규의 문집인 『수당집(修堂集)』에 실려 있다. 「갑오일기」...
-
경기도 포천시에 거주하는 개인이 소장한, 1701년 김창협이 저술한 강화도 순절 충신 기록. 강화도 충렬사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의 침입으로 한양과 강화도가 함락될 때 순절했던 우의정 김상용과 이상길·이시직·황선신·권순장·김익희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42년(인조 20) 강화 유생 정건(鄭楗) 등의 발의로 창건되었고, 1658년(효종 9)에 사액을 받았다. 김창협(金昌協)[1...
-
김주원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785년(선덕여왕 6) 선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군신 회의에서 김주원(金周元)을 왕으로 추대하였으나 김주원이 살던 경주에 갑자기 큰 비가 와서 알천을 건널 수가 없어 입궐을 못하였다. 이에 군신들은 이는 “하늘의 뜻이다”라고 하여 상대등 김경신(金敬信)을 왕으로 추대하여 원성왕으로 삼았다. 비가 갠 후에 왕이 김주원에게 왕위를 권...
-
1778년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인인 이서구가 저술한 문집. 1778년(정조 2) 이서구의 자서(自序), 그와 교유한 청나라 학자인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의 서문, 축덕린(祝德麟)의 논운학서(論韻學序)에 이어 저자의 시가 권1부터 권4까지 실려 있다. 역시 청나라 학자인 이정원(李鼎元)과 심심순(沈心淳)의 제후(題後)가 있다. 이서구(李書九)[1754~1825...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강서 산업은 자동차의 실내등에 사용되는 스위치를 전문으로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9월 강서 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9년 10월 강서 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2년 10월에는 자가 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강서 산업은 국내의 기아, 쌍용, 대우, 현대 자동차와 일본의 마쓰다 자동차, 독...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지형(姜芝馨)[1881~1931]은 1881년 3월 18일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만주 지역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 독립단(大韓獨立團)에서 활동하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헌교(李憲敎)·이민태(李敏台)·한남수(韓南洙)·이규갑(李奎甲)·김사국(金思國) 등과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자동 한성오(韓聖五)의...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와 가평군 북면 적목리의 경계에 있는 산. 『해동 지도(海東地圖)』 「영평현 지도(永平縣地圖)」를 보면 강씨봉의 북쪽에는 왕망산(旺望山)이, 남쪽에는 도성촌(道城村)이 그려져 있다. 「가평군 지도(加平郡地圖)」에는 동쪽으로 명지봉(明芝峯)과 도성 고개[道城嶺]가 그려져 있고, 남서쪽으로 운악산(雲岳山)이 그려져 있다. 『팔도 지도(八道地圖)』...
-
고려 후기 포천 출신의 내시이자 무신. 강윤소(康允紹)[1237~?]는 원래 왕족인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 집안의 노비 출신이었다. 처음에 내시(內侍)[환자(宦者)]가 되었다가 몽고어 해독을 잘하는데다 교활하고 아첨을 잘하여 원종의 총애를 받았다. 1264년(원종 5) 5월 낭장이 되어 원나라 사신 호도(胡都)·강화상(康和尙)과 원나라에 가는 등 여러 번 원나라에 사신으로 다...
-
일제 강점기 포천 출신의 학자. 송철회(宋哲會)[1890~?]의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포천 화현면[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글 읽기를 즐겼고 글재주도 남달랐다. 16세에 이미 『주역(周易)』을 독파하였고 20세가 넘어서는 서당을 차려 제자를 길러냈다. 일제 강점기 내촌 면장에 내정되었다는 연락을 받았지만 이를 거절하였다. 비록 고사리를 캐어 먹을...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강지형(姜芝馨)[1881~1931]은 1881년 3월 18일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만주 지역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 독립단(大韓獨立團)에서 활동하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헌교(李憲敎)·이민태(李敏台)·한남수(韓南洙)·이규갑(李奎甲)·김사국(金思國) 등과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자동 한성오(韓聖五)의...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개미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미허리」는 굼벵이, 가재, 개미 등 동물들을 의인화하여 풍자하고 있는데, 특히 굼벵이와 가재의 다투는 모습 때문에 개미가 너무 웃어서 허리가 가늘게 되었다는 개미 유래담이다.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어느 날 물에서 나온 가재가 굼벵이를 만나 자기 자랑을 했다. “이봐 굼벵이, 나는 이렇게 훌륭한 수염을 가졌단...
-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서 생산되는 개성 인삼. 인삼은 낙엽성의 다년생 숙근초로 두룹 나무과에 속하며 사포닌, 탄수화물, 함질소 화합물, 지용성 화합물, 비타민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인삼은 약용으로 쓰이며 강장 작용, 면역 기능 강화, 노화 방지 등에 효과가 있다. 고려 중엽 이후부터 인삼이 귀해지자 개성이 인삼의 집산지가 되었으며 삼농인(蔘農人) 모임이 형성되었다. 6...
-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 있는 인삼을 재배하는 농민의 협동 조직체. 개성 인삼 농협은 인삼의 증산과 인삼 사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인삼 경작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0년 2월 4일 개성에서 개성 삼업 조합이 창립되었다. 6·25 전쟁 후 1957년 6월 10일 서울에서 개성 삼업 조합을 재설립하였고 1973년 9월 10일 주 사무실을 서울에서...
-
경기도 포천시 어룡동에 있는 인삼을 재배하는 농민의 협동 조직체. 개성 인삼 농협은 인삼의 증산과 인삼 사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인삼 경작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0년 2월 4일 개성에서 개성 삼업 조합이 창립되었다. 6·25 전쟁 후 1957년 6월 10일 서울에서 개성 삼업 조합을 재설립하였고 1973년 9월 10일 주 사무실을 서울에서...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한 분파. 한국에 개신교를 전파하려고 했지만 1816년 영국 출신의 홀, 1832년 독일 태생의 구츠라프, 1866년 영국의 토마스, 그리고 1867년 스코틀랜드의 윌리암슨 등이 의해 처음으로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이후 1873년 조선 선교에 뜻을 두고 만주에 진출한 스코틀랜드 일치 자유 교회 출신의 로스와 그의 매부 매킨타이어가 의...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쪽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개암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개암골, 가양굴, 갱이, 가양동 등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가양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평군 남면 풍패동 전역과 포천군 외북면 삼성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
-
개항 이후 1910년 국권 피탈 이전까지 경기도 포천 지역의 역사.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포천 지역은 상대적으로 산간 지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개항 이후 경기도 포천 지역은 서울·경기 지역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근대화되어갔다. 주요 생산물은 느타리버섯 등이었으며, 수공업은 양주 윤씨 집성촌인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감암리 일대에서 싸리 공예품을 만들어 내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
-
경기도 포천시에 서식하는 오리과의 겨울 철새. 비오리는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등지의 온대와 아한대 지역에 걸쳐 번식하고 중위도 온대 지역에 와서 월동하는 비교적 흔한 겨울 철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도래한다.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일대에서도 서식한다. 비오리는 몸의 크기가 60~70㎝로 큰 편이고 수컷이 암컷에 비하여 10㎝가량 더 크다. 수컷은 머리와...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양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남쪽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마을에 개암나무가 많았다고 해서 개암골, 가양굴, 갱이, 가양동 등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가양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영평군 남면 풍패동 전역과 포천군 외북면 삼성당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양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목리에 있는 벽지 및 장판지 제조업체. 거목 벽지는 벽지와 장판지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에 한샘 벽지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 한샘 벽지 신축 공장을 설립하였다. 2007년 광폭 합지를 신설 가동하여 여러 신제품을 출시했으며 2009년 G&T 거목 벽지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벽지, 종이 벽지, 실크 벽지, 소폭 합지, 광폭 합지 등을 제조 및...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동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금동과 지동 사이 능선이 거문고처럼 생겨서 거문골 또는 금동으로 불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금동리와 지동리를 병합하여 금동리라 하고 산내면과 청송면을 병합한 청산면에 편입시켜 관할하게 하였다. 1983년 신북면으로 편입하였으며, 2003년 10월 19일...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사리는 영중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조선 시대 선조 때 지천거사(芝川居士) 황정욱(黃廷彧)이 살았다고 하여 거사울, 거시울, 거사동(居士洞)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군내면 거사동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거사동 일부가 금주리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지역과 양문리 일부, 읍내...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사리는 영중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조선 시대 선조 때 지천거사(芝川居士) 황정욱(黃廷彧)이 살았다고 하여 거사울, 거시울, 거사동(居士洞)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군내면 거사동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거사동 일부가 금주리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지역과 양문리 일부, 읍내...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 2리에 있는 조선 시대 가마터. 기록에 따르면 포천 지역에는 예로부터 도자기를 생산하는 곳이 여럿 있었으나 대부분 그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다. 거사리 가마터는 지금까지 발견된 포천 지역의 몇몇 도자기 생산 시설 중 하나이다.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에는 금화봉이 솟아 있는데, 그 북쪽에 사기막골이라는 자연 마을이 있다. 거사리 가마터는 이곳에 위치해 있다....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사리는 영중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조선 시대 선조 때 지천거사(芝川居士) 황정욱(黃廷彧)이 살았다고 하여 거사울, 거시울, 거사동(居士洞)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군내면 거사동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거사동 일부가 금주리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지역과 양문리 일부, 읍내...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구조용 금속 제품 제조업체. 거성 금속은 구조용 금속 제품을 제조하여 관공서, 학교, 건설 회사, 건물, 병원, 아파트 및 역사 등에 납품을 하고 있는 기업이다. 거성 금속은 구조용 금속 제품 제조를 위한 절곡 전당 벤딩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주유원 대기소, 주차 초소, 경비 초소, 판매대 경찰 초소, 학교 초소, 판넬/목재 초소, 특가 초소 등...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속하는 법정리. 거사리는 영중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조선 시대 선조 때 지천거사(芝川居士) 황정욱(黃廷彧)이 살았다고 하여 거사울, 거시울, 거사동(居士洞)으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군내면 거사동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거사동 일부가 금주리에 통합되었고, 나머지 지역과 양문리 일부, 읍내...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인을 물리친 효자」는 나무꾼의 아들이 재치를 발휘하여 나쁜 거인을 물리치고 납치당한 아버지와 사람들을 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갖 보물을 얻었다는 지혜담이자 횡재담이다.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어느 마을의 나무꾼이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린 거...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거짓말 가마니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짓말 가마니」는 부풀려진 거짓들이 이 세상을 돌고 있음을 은유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소화(笑話)이다.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어떤 사람이 엄동설한에 소가 꼴을 먹고 싶다 해서 꼴을 베러 나갔다. 그는 낫을 시퍼렇게 갈아 가지고 어느 산의 양지쪽으로 올라가니,...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속하는 법정리. 무봉리는 소흘읍이 관할하는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읍의 중앙에 위치한다. 마을 앞뒤로 큰 봉우리가 있어서 거친봉이 또는 무봉(茂峰)이라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내소면 무봉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소면 이내리를 병합해 무봉리라 하고 소흘면에 편입하여 관할하게 하였다. 1966년 2월 1일 소흘면이 읍으로 승격되면...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가족 지원 서비스 단체. 포천시 건강 가정 지원 센터는 「건강 가정 기본법」 제35조에 의해 정부의 가족 정책 추진 방향에 따라 건강 가정 사업을 실시하도록 설립된 보건 복지 가족부의 전달 체계이다.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는 가정 문제의 예방과 상담 및 치료, 건강 가정의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계발, 가족 문화 운동 전개, 가정 관련 정보 및 자료 제...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삼율리에서 발원하여 중리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건지천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하천으로 곳곳에 형성된 작은 소와 관련된 전설이 많이 전한다. 특히 궁예(弓裔)와 관련된 전설이 많은데, 교동 마을 부근의 가마소는 연못이 가마솥을 엎어 놓은 모양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그리고 그 앞에 작은 폭포는 폭포소, 용이 놀았던 소라고 해서 이름 붙여진 용소, 궁예가...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고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검단이로 넘어가는 곳에 자리한 고개라서 검단이 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검단이 고개가 시작되는 안양동은 안양사(安養寺)라는 절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도 주초석이 남아 있고 기와편이 발견된다. 그리고 절터 뒤에는 영의정을 지낸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 선생의 묘소가 있다. 이 묘를 쓰기 위해 절을 철거하였다...
-
고려 시대에 포천 지역을 부르던 별칭. 고려 성종이 포주(抱州)의 별호를 청화(淸化)로 정하였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의 양광도 항목에는 “포주는 원래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명지(命旨)라고도 한다]인데 신라 경덕왕은 견성군(堅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지금 명칭으로 고쳤고, 성종 14년에는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목종(穆宗) 8년[1005]에 이를 없앴으며 현종 9...
-
남북국 시대 포천 지역에 있었던 통일 신라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 견성군(堅城郡)은 신라 경덕왕 때 한화 정책의 일환으로 개편한 포천의 옛 이름이다. 포천은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견성으로 바꾸었다. ‘홀(忽)’이 ‘성(城)’을 뜻한다는 정약용(丁若鏞)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를 참조하면, ‘마홀’은 ‘마성(馬城)’을 뜻하며, 이것이 ‘견성’...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학자. 김평묵(金平默)[1819~1891]은 최익현(崔益鉉) 등과 동문수학하였으며, 문하에서 홍재구(洪在龜)·유인석(柳麟錫)·유기일(柳基一) 등을 배출하였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치장(稚章), 호는 중암(重庵)·겸산(兼山). 6대조 김흥지(金興祉)가 포천 백운산으로 이거한 후 오랫동안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김도홍(金道弘)이고,...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에 있는 경기도·산업 자원부·대진 대학교가 협력하여 설립한 산업 기술 단지. 경기 대진 테크노파크는 ‘지식 기반 지역 성장 동력 창출의 거점’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설립되었다. 목적으로 하는 사업은 창업 보육 사업, 연구 개발 지원 사업, 기술 인력의 교육 및 훈련, 시험 생산, 정보 유통 사업, 홍보 지원 사업, 기업 지원 사업, 정부 기관[경기도] 등의 위임...
-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 경기도립중앙도서관에 속한 5개 분관 중 하나로, 도서 자료를 수집, 보존, 활용하여 지역의 사회 교육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주민의 자료 활용과 정보 제공을 통해 독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89년 7월 21일 포천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1년 3월에 경기도립포천도서관, 1999년 1월에 경기도립중앙도서관 포...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괴(地塊). 경기도 포천시와 그 일대 지역은 지질적으로 경기 육괴(京畿陸塊)에 속하며 포천 지역은 경기 육괴의 중부에 위치한다. 지괴(地塊)란 단열대를 기준으로 분리되는 지각 덩어리를 말하는데, 경기 육괴를 경기 지괴라고 칭하기도 한다. 경기 육괴는 영남 육괴와 더불어 한반도의 선캄브리아기 기저부를 형성하며, 구성 암...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와 가평군 하면에 걸쳐 있는 산. 주봉인 만경대를 중심으로 웅장한 암봉들이 구름을 뚫을 것처럼 하늘로 솟았다고 하여 운악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이 산에 현등사라는 고찰이 있다고 하여 현등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높이 935.5m의 운악산은 광주산맥의 여러 여맥 중 하나다. 북쪽으로 청계산, 강씨봉, 국망봉 등으로 이어지며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를...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공공 종합 병원. 경기도 의료원 포천 병원은 주민의 진료와 질병 등에 대한 임상 연구 의료 요원의 훈련을 통하여 주민의 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지역 의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2년 미군 제9군단 민사처 병원으로 출발하여 경기 도립 병원으로 운영되었다. 1954년 국립 포천 병원, 1957년 경기 도립 포천 병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교육 연수원. 경기도 교육청의 산하 기관으로서 경기도의 초·중등학생 및 학부모를 위한 예절 교육과 교육 공무원 및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일반직 공무원의 예절 연수를 담당하는 예절 교육원으로 설립되었다. 더불어 살아가는 품격 높은 평화 예절인 육성이라는 운영 목표를 가지고 품격 높은 한국인상을 정립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한 맞춤형 연수를 운영하며...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경기도 포천시 관할 교육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 교육 지원청은 경기도 교육청의 하급 교육 행정 기관으로, 포천시의 교육 과정 및 학술에 관련된 업무를 관장하고, 각급 학교를 관리·지도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1964년 1월 포천군 교육청으로 개청하였다. 1989년 11월 대지 6,466.12㎡, 건평 2,310.74㎡의 교육 청사를 신축...
-
2011년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서 개최된 전국 직장인 및 외국인 근로자 초청 축구 대회. 2011년 6월 17일 포천시는 남북 체육 교류 협회와 협약을 맺고 전국 규모의 직장인 축구 대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축구를 통한 직장 문화 형성과 직장인들의 사기 증진, 친선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민족·다문화 가정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외국인 근로자 팀도...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 있는 경기도학생교육원 소속의 청소년 수련 시설. 경기도 학생 포천 야영장은 경기도 초등·중등·고등학생이 체험 활동을 통해 공동체 윤리 의식을 함양하고, 개척 정신과 질서 의식을 고취하며, 올바른 가치관 및 조화로운 인격을 만들고, 진취적인 인재로 자라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 11월 야영장 설치 계획을 교육부로부터 승인받고 부지를 결정하였다. 1...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포천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경기 민요 예능인들이 만든 단체로 ‘경기 소리 포천 지부’라고도 한다.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포천시 지부는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의 민요인 경기 소리의 보전 및 보급과 경기 민요 전수자들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2004년 3...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김재곤(金在崑)이며, 어머니는 풍양 조씨(豊壤趙氏)이다. 김상현(金尙鉉)[1811~1890]은 1827년(순조 27) 진사가 되었고, 1859년(철종 10) 증광 문과 갑과로 급제하였다. 사간원 대사간을 지냈고, 고종 때 대제학과 도총관을 역임하였으며, 후에 경기도 관찰...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경범(景範). 아버지는 조원영(趙原永)이고 외할아버지는 한용구(韓用龜)이다. 풍은 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의 종질이다. 조병준(趙秉駿)[1814~1858]은 지금의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서 출생하였다. 1841년(헌종 7)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면서 부(賦) 수위를 차지하여 직부전시(直赴...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성실과 근면, 협동 정신으로 인격을 닦은 유능한 중견 기술인, 세계화를 향한 사명감을 바탕으로 참되고 의롭고 새로운 한국인,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인 전문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창조, 자율, 봉사’이다. 1991년 2월 7일에 학교 법인 동성 학원이 설립 인가를 받았고, 초대 이사장 황선분이 취임하였다. 같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감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예의 바르고 시민 의식이 투철한 평화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창의 지성인,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인, 공동체 안에서 나눔과 배려가 있는 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1954년 9월 1일에 미3사단의 원조로 7개 교실을 신축하고, 그해 10월 25일에 화산 고등 공민학교로 설립 인...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한양. 자는 경소(敬所). 우의정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6세손이고, 아들은 용주(龍洲) 조경(趙絅)이다. 조익남(趙翼男)[1564~?]은 포천현 북쪽 10리 떨어진 가차리(加次里)[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살았다. 평소 효성이 지극하였다. 나이 50세에 부모의 상을 당해서는 3년을 시묘하면서 소식(疏食)하며 하루도 거르지 않...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자는 경소(敬紹), 호는 염재(念齋). 할아버지는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이고, 아버지는 최영학(崔永學)이다. 최면식(崔勉植)[1891~1943]은 1891년 1월 7일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가채리[현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서 태어났다. 면암 최익현의 손자로 어려서부터 항일 정신이 강한 분위기에서 자랐다. 일제에 의해 국권이...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에 있는 인조 모피 제조업체. 경원은 1986년 8월에 경기도 양주시에서 설립되었고, 2001년에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로 공장 이전 및 경영권 인수 등을 하였다. 인조 모피 원단을 제조하는 회사로서 자매 회사인 증원 합성의 수지를 독점 공급 받아 원단을 혁신하였고, 국내 최장 라인(line)의 one-shot 공정으로 생산 효율성 확대, R&D 팀의 운영...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유학자 김평묵이 경장(更張)에 대한 입장을 정리한 책. 조선 후기 포천에서 출생하고 세거하였던 김평묵이 당시 사회가 경장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그와 관련된 입장을 정리한 글이다. 김평묵은 경장을 위해서는 임금의 마음을 바로 잡는 것이 선결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김평묵의 문집인 『중암 문집』 권34에 수록되었다. 김평묵(金平黙)[1819~1891]의 본관은 청...
-
경기도 포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경제는 각 생산 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의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 과정을 의미하며 산업은 이러한 활동 중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전반이나 활동 영역을 의미한다. 포천시는 농촌의 다양한 자원을 기반으로 1, 2, 3차 복합 산업화를 촉진하고...
-
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경주 김씨 시조는 김알지(金閼智)이다. 김알지에 관하여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65년(탈해왕 9) 3월 왕이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들려 날이 밝자 호공을 보내어 살펴보게 하였는데, 작은 금궤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고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었다. 금궤를 가져온 후 뚜...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원남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경주 이씨(慶州李氏)는 신라의 좌명공신을 지낸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삼고 있다. 경주 이씨 대종보(大宗譜) 상계편에 따르면 이알평은 박혁거세 때 아찬에 올랐고, 32년(유리왕 9)에 양산촌(楊山村) 이씨(李氏)로 사성(賜姓)되었다고 한다. 536년(법흥왕 23)에 문선공(文宣公)으로 시호를 받았고, 656...
-
최치원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경주 최씨는 신라 6촌의 하나인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원조로 하고, 최치원(崔致遠)을 시조로 하고 있다. 경주 최씨는 시조 최치원 이후 세계를 내려오면서, 고려 성종 때 문하 시중을 지낸 최승로(崔承老),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崔濟愚), 동학의 제2대 교주가 된 최시형(崔時亨), 한말의 유학자로서 의병장...
-
경기도 포천시의 중앙부를 지나는 간선 도로. 조선 시대 한양에서 출발하여 함경도의 경흥(慶興)에 이르는 길이라 하여 경흥 대로라고 이름 붙여졌다. 경흥 대로는 서울[한성]과 동북[강원도·함경도]을 이어주는 주요 교통로로서, 조선 시대 6대로 가운데 두 번째에 해당한다. 1770년 여암 신경준(申景濬)이 저술한 『도로고(道路考)』에 따르면 조선의 간선 도로를 6대로로 분류하였는데,...
-
경기도 포천시의 중앙부를 지나는 간선 도로. 조선 시대 한양에서 출발하여 함경도의 경흥(慶興)에 이르는 길이라 하여 경흥 대로라고 이름 붙여졌다. 경흥 대로는 서울[한성]과 동북[강원도·함경도]을 이어주는 주요 교통로로서, 조선 시대 6대로 가운데 두 번째에 해당한다. 1770년 여암 신경준(申景濬)이 저술한 『도로고(道路考)』에 따르면 조선의 간선 도로를 6대로로 분류하였는데,...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계류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지역 내 개울물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모양이 희귀하다고 하여 계류(溪流)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별칭으로 성석린(成石璘)이 자리 잡고 살았다고 하여 자리말, 계류산 아래에 있다고 하여 자하동이라고도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외북면 계류리였다....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소(季昭), 호는 향하(香下). 시령 부원군(始寧府院君) 영의정(領議政) 유전(柳㙉)의 10세손이다. 유병철(柳秉喆)[1807~1889]은 1887년(고종 24) 천거로 금부도사를 제수받고, 1888년(고종 25) 돈령부 도정을 제수받았다. 1889년(고종 26) 조 대비(趙大妃)의 망구칭경(望九稱慶)으로 동지돈령...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계인(季仁). 증조할아버지는 예조 참의 송극인(宋克認)이고, 할아버지는 좌승지 송시철(宋時喆)이다. 아버지는 간성 군수 송광속(宋光涑)이고, 외할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흥(金壽興)이다. 아내는 심호(沈浩)의 딸이고, 아들은 송준명(宋準明)이며, 형제로 송징설(宋徵卨)과 송징이(宋徵履) 등이 있다. 송징계(宋徵啓)[1690~172...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수원. 자는 계헌(季獻). 증조할아버지는 참의를 지낸 백인영(白仁英)이고, 할아버지는 백유징(白惟澄)이며, 아버지는 백수종(白守宗)이다. 어머니는 하담(荷潭) 이희득(李希得)의 딸인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며, 부인은 정사충(鄭思忠)의 딸인 온양 정씨(溫陽鄭氏)이다. 백대진(白大璡)[1595~1665]은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 나무골에서 태...
-
경기도 포천지역에 분포한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안부. 고개에 대한 한자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높고 큰 고개에는 영(嶺)[예를 들어 진부령·대관령]이 사용되며, 그 밖에 치(峙)[예를 들어 팔량치·우금치]나 현(峴)[예를 들어 아현·대현]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개는 함경산맥에 있는 금패령[1,676m]이다. 경기도 포천시는 경기 동북...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삼율리와 사정리·초과리의 경계에 있는 산. 관인면이 철원군에 속해 있을 때 철원군의 최남단에 위치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궁예(弓裔)가 태봉국을 세우고 철원에 도읍을 정할 때 동송읍 이평리 금학산(金鶴山)[947m]과 고남산 가운데 어느 산을 남산(南山)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신 회의에 붙였다고 한다. 이때 고남산이 남산으로 결정...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해진 놀이판 위에 말을 움직여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고누는 두 사람이 말판을 벌여 놓고 상대방의 말을 포위하여 잡아내거나 집을 먼저 차지하거나 못 움직이게 하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경합 쟁취형 민속놀이이다. 이를 꼬누·고니·꼬니·꿘·꼰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며, 한자로는 지기(地碁)라고 쓴다. 전국적으로 20여 가지의 고누 놀이가 전해지며, 지역에 따라 종류...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속하는 법정리 직동리는 소흘읍이 관할하는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읍의 동남부에 위치한다. 곧은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고든골 또는 직골, 직동이라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외소면 직동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소면과 외소면을 합하여 소흘면이라 하고 직동리를 편입하여 관할하게 하였다. 1966년 2월 1일 소흘읍으로 승격되었...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토목 공사 및 유사용 기계 장비 제조업체. 고려 자동차 정비는 보다 안전한 건설 기계를 현장에 공급하여, 안전한 건설 현장과 건축물 건축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8년 8월 1일에 설립되었다. 고려 자동차 정비는 토목 공사 및 유사용 기계 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로서 자동차 종합 수리를 겸하고 있다. 주요 취급 품목은 건설 기계이며, 자동차 수리와 자...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일부 산지에 생육하는 단풍나무과의 낙엽성 교목. 고로쇠나무는 일본, 중국, 만주, 우리나라[전라남도, 경상남도, 강원도]에 생육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500~1,000m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경기도 포천시 일대의 광덕산, 광릉, 명성산, 백운산, 수리봉, 왕방산, 운악산, 주금산, 지장봉, 청계산 일대에 생육하고 있으며 고로쇠나무 이름에 얽힌 이...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1종 저수지. 고모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80년 1월 21일에 착공하여, 1984년 12월 5일에 준공하였다. 고모 저수지의 수계는 고모천(古毛川)에서 포천천(抱川川)까지이다.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130.7㏊,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저수지. 고모 1리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85년에 착공하여, 1988년에 준공하였다. 고모 1리 저수지의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28㏊,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천이나 저수지에 모여드는 구역의 면적]은 58㏊이다. 총저수량은...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모리는 소흘읍이 관할하는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읍의 서부에 위치한다. 효부 고씨 할머니 묘 앞에 위치했다 하여 묘앞, 고뫼앞 혹은 고모동이라고 불렀다. 고모앞은 어떤 사람이 고모(姑母)가 죽자 노고산 밑에 묘를 써서 고묘앞 마을이라 불린 데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소면 초가팔리 일부와 가산면 정교리 일부를 병합해 고...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모리는 소흘읍이 관할하는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읍의 서부에 위치한다. 효부 고씨 할머니 묘 앞에 위치했다 하여 묘앞, 고뫼앞 혹은 고모동이라고 불렀다. 고모앞은 어떤 사람이 고모(姑母)가 죽자 노고산 밑에 묘를 써서 고묘앞 마을이라 불린 데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소면 초가팔리 일부와 가산면 정교리 일부를 병합해 고...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문화 관광 단지. 고모리 카페 마을은 1990년대 초부터 포천 국립 수목원 주변에 조성되어 자연환경을 관람함과 동시에 사진, 미술품을 전시하는 갤러리, 카페 등으로 문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건립되었다. 2009년부터 미술관 등 문화 시설이 확충되면서 자연 경관과 함께 문화와 예술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와 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문화 관광 단지. 고모리 카페 마을은 1990년대 초부터 포천 국립 수목원 주변에 조성되어 자연환경을 관람함과 동시에 사진, 미술품을 전시하는 갤러리, 카페 등으로 문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건립되었다. 2009년부터 미술관 등 문화 시설이 확충되면서 자연 경관과 함께 문화와 예술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와 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서 발원하여 가산면 방축리에서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고모천은 마을 지명인 고모리에서 유래되었다. 고모리는 ‘효부 고 씨 할머니의 묘 앞이라 하여 묘앞 또는 고뫼앞, 고모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고모리에 있는 노고산은 어떤 사람이 늙은 고모님[姑, 할미]을 모시고 그 산 밑에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늙을 노’[老] 자와...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모리는 소흘읍이 관할하는 9개 법정리 중 하나로 읍의 서부에 위치한다. 효부 고씨 할머니 묘 앞에 위치했다 하여 묘앞, 고뫼앞 혹은 고모동이라고 불렀다. 고모앞은 어떤 사람이 고모(姑母)가 죽자 노고산 밑에 묘를 써서 고묘앞 마을이라 불린 데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내소면 초가팔리 일부와 가산면 정교리 일부를 병합해 고...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여자아이들이 고무줄 위에서 노래에 맞추어 뛰는 놀이. 고무줄놀이는 고무줄을 양쪽에서 잡아 주면 다리에 고무줄을 걸고 노래에 맞추어 앞·옆·뒤로 뛰면서 놀거나 고무줄의 위치를 높여 가면서 다리를 거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인데, 주로 여자아이들이 즐기고 있다. 고무줄놀이가 언제부터 시행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일제 강점기인 1920년을 전후하여 우리...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과 소흘읍 지역에서 고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사 효시」는 무섭고 잔인한 호랑이를 할머니와 주변의 일상적인 사물과 생명들이 협력하여 물리쳤다는 호랑이 퇴치담이자 이 일로 고사가 생겨났다는 고사 유래담이다. 1994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3차 답사자료집』-가산면·소흘면에 수록되어 있다.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에 있는 구조용 금속 제품 제조업체. 고성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판재의 비규격식 제조 및 가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7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 고성 금속을 설립하였고, 1997년 11월에 법인 기업으로 전환하였다. 1998년 1월에 경기도 포천군 소흘읍 이동교리로, 2003년 12월에는 포천시 자작...
-
이황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고성 이씨(固城李氏)의 시조는 이황(李璜)이다. 『이씨 추원록(李氏追遠錄)』에 의하면 한나라 무제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이었던 이반(李槃)이 군사를 이끌고 우리나라에 온 뒤 눌러 앉게 되었는데, 이황은 이반의 24세손이다. 이황은 고려 때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러나 『만성보(萬姓譜)』 등에는 고려 덕종 때 문...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성의 규모가 비교적 작아서 유물이 많이 채집되지 않았기에 고소산성(姑蘇山城)의 축성 연대를 밝히기는 매우 어렵다. 성의 돌 모양이나 붕괴된 모습으로 보아 삼국 초기에 쌓았으나 개수한 흔적도 없고 문헌에서도 일찍이 폐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체로 서고동저형(西高東低形)이면서 남북으로 긴 성이다. 고소산성은 고려 시대에 부녀...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성의 규모가 비교적 작아서 유물이 많이 채집되지 않았기에 고소산성(姑蘇山城)의 축성 연대를 밝히기는 매우 어렵다. 성의 돌 모양이나 붕괴된 모습으로 보아 삼국 초기에 쌓았으나 개수한 흔적도 없고 문헌에서도 일찍이 폐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체로 서고동저형(西高東低形)이면서 남북으로 긴 성이다. 고소산성은 고려 시대에 부녀...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소성리는 창수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북부에 위치한다. 마을이 고소성[고소산성] 아래에 자리해서 고소성이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고소성리와 천석리를 합병해 고소성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하여 관할하게 하였다. 1945년 해방 후 38선 이북 지역이어서 북한 치하에 들어갔다가 6·25 전쟁 후...
-
경기도 포천지역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괴어 만든 선사 시대의 거석(巨石) 건조물이다.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으로,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다. 고인돌은 형태에 따라 탁자식(卓子識)·기반식(基盤式)·개석식(蓋石式)으로 구분하곤 한다. 탁자식은 무덤방을 지상에 조성하는 방식이다. 네 개의 굄돌[고임돌] 위에 커다란 덮개돌을 얹은 형태로, 주로 한반도 북...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일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에 위치한다.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고일이라 불렀다. 수루 바위가 있어 수루바위라는 이름으로도 불렀으며, 고려 시대 수암소(垂岩所)가 있어서 수암소라고도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고일리 일부를 계류리에 편입하고 영평군 남면 하추동 일부를 병합해 고일리에 소속...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 2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고일리 절터는 포천시 신북면 고일리 116번지에 있다. 죽엽산 정상부 북서쪽에 위치한다. 1996년 9월부터 1998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 사학과에서 포천시 신북면 고일 2리에 위치한 성석린 선생 묘(成石璘先生墓) 입구, 텃골과 방축골 사이 인삼 경작지 두 곳의 절터를 발굴 조사하였다. 성석린 선생 묘 입구에 위치한 절터는...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 2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고일리 절터는 포천시 신북면 고일리 116번지에 있다. 죽엽산 정상부 북서쪽에 위치한다. 1996년 9월부터 1998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 사학과에서 포천시 신북면 고일 2리에 위치한 성석린 선생 묘(成石璘先生墓) 입구, 텃골과 방축골 사이 인삼 경작지 두 곳의 절터를 발굴 조사하였다. 성석린 선생 묘 입구에 위치한 절터는...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에 있는 고개. 옛날에 국상이 나면 백립을 쓰고 제사를 지내면서 곡을 하던 곳이라고 하여 곡봉재라고 부르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앞뜰인 ‘신배’에서 신북면 금동리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고개이다....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일부 산지에 생육하는 단풍나무과의 낙엽성 교목. 고로쇠나무는 일본, 중국, 만주, 우리나라[전라남도, 경상남도, 강원도]에 생육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500~1,000m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경기도 포천시 일대의 광덕산, 광릉, 명성산, 백운산, 수리봉, 왕방산, 운악산, 주금산, 지장봉, 청계산 일대에 생육하고 있으며 고로쇠나무 이름에 얽힌 이...
-
고려 전기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풍양현(豊壤縣)은 고려 초 이전에 황양(荒壤)으로 불리던 명칭을 개칭한 것이다. 1018년(현종 9)부터는 양주(楊州)에 속하였다가, 이후에 포주(抱州)에 속하였다. 조선 전기인 1419년(세종 1)에 다시 양주로 이속시켰다. 고려 건국 초 지방 제도의 개편 과정에서 설치된 지역이다. 『고려사(高麗史)』 권56 지리지 1 양광도조에...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작은 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손으로 집고 받는 놀이. 공기놀이는 대추 또는 밤톨만한 크기의 작은 돌 5개 또는 여러 개를 가지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던지고 집거나 받는 여자아이들의 민속놀이이다. 공깃돌이라고 부르는 작은 돌 다섯 개를 가지고 땅바닥·방·마루 등지에서 손으로 받고 논다. 지역에 따라서 ‘살구’, ‘짜게 받기’, ‘닷짝걸이’, ‘공기 줍기’, ‘공...
-
조선 시대 포천 지역에 있었던 역원. 원(院)은 고려·조선 시대에 출장한 관원들을 위해 각 요로(要路)와 인가가 드문 곳에 둔 국영 숙식 시설이지만, 상고(商賈)나 여행자의 숙식소로 활용되기도 하였으며, 지방 통치와 교통을 위한 기능을 하였다. 공덕원(功德院)이 언제 설치되고 폐치되었는지는 자세하지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전하는 초기 경기도의 117개소 원(...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무신. 본관은 양성(陽城). 증조할아버지는 첨의평리 이나해(李那海)이고 할아버지는 시중 이춘부(李春富)이다. 아버지는 개성 유후 정절공(靖節公) 이옥(李沃)이고, 어머니는 찬성사 홍상재(洪尙載)의 딸이다. 부인은 서보(徐補)의 딸인 이천 서씨(利川徐氏)로 슬하에 1남 3녀를 두었다. 아들은 이조 좌랑 이휘(李徽)이다. 첫째 딸은 예문관 직제학...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성보(成甫), 호는 과재(過齋). 포천 현감을 지낸 동방 진인(東邦眞人) 북창(北窓) 정렴(鄭石+廉)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참봉 정유신이고,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정기안(鄭基安)이다. 어머니는 목사 김상정의 딸인 안산 김씨(安山金氏)이다. 정만석(鄭晩錫)[1758~1834]은 1783년(정조 7) 생원시에...
-
경기도 포천시에서 연구 또는 개발되었거나 되고 있는 자연 과학, 응용과학 및 실용화 기술의 총칭. 과학은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으로서, 넓은 뜻으로는 학(學)을 의미하나 좁은 뜻으로는 자연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을 지칭한다. 그리고 기술은 과학의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자연의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응용하는 수단...
-
경기도 포천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풍속(風俗)·풍광(風光)·사적(史蹟) 등을 둘러보는 활동. 포천은 동쪽으로 국망봉, 백운산, 청계산 등과 접하고, 서쪽으로 천보 산맥이 남북으로 뻗어있는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이다. 또한 영평천이 백운산에서 출원해 동쪽으로 흐르고, 한탄강이 관인면·영북면을 거쳐 합류해 임진강의 상류를 흐르는 천혜의 관광지로 예전부터 널리 알려졌다. 서울과 가깝고 관...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와 일동면 수입리 경계를 이루는 산 관모(冠帽)는 모자를 총칭하는 뜻으로, 산의 모양이 갓처럼 생겨서 관모봉이라 부른다. 한편, 관모봉은 깃대봉이라고도 하는데, 일제 강점기 때 세부 지적 측량을 위하여 깃대를 꽂았던 곳이라 하여 유래되었다.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 3리 양문 산업 단지와 일동면 수입 4리 산내지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금주산에서 북쪽...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인 양사언이 고기잡이를 소재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관어(觀漁)」는 포천 출신의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이 어부가 물고기를 잡는 모습을 보고 느낀 감흥을 적은 한시이다. 「관어」는 양사언의 시집 『봉래시집(蓬萊詩集)』 권(卷) 1에 수록되어 있다. 「관어」라는 제목 밑에는 “당시 포천 주수(主守)[수령]가 사령을 시켜 술을 보내...
-
조선 후기 유학자 김평묵이 포천의 금수정과 창옥병을 소재로 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觀永平金水亭至蒼玉屛)」[영평의 금수정을 보고 창옥병에 이르러서]은 포천 출신의 유학자(儒學者) 중암(重庵) 김평묵(金平黙)[1819~1891]이 영평 8경 가운데 두 곳인 금수정(金水亭)과 창옥병(蒼玉屛)을 보고 지은 한시이다.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은 『중암집(重菴集)』...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영북면·일동면·이동면 경계에 있는 산. 『해동 지도(海東地圖)』에 “관음산은 현 동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관음산은 영평현 동쪽 30리 지점에 있다.”라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영평현 북쪽 25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관음보살(觀音菩薩)이 산마루에 바랑을 벗어 놓고 갔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는...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생활 예절과 준법정신을 갖춘 도덕인, 나라를 사랑하고 시민 의식을 지닌 애국 애족인, 자신의 진로에 맞는 소양을 갖춘 실력인, 환경 문제를 고민하고 약물에 의지하지 않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자율’이다. 1971년 12월 14일에 관인...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생활 예절과 준법 질서를 지키는 도덕인, 나라를 사랑하고 시민 의식을 지닌 애국인, 환경을 보존하고 약물을 오남용하지 않는 건강인, 진로 계획을 세우고 정보 소양을 쌓는 실력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자율’이다. 1955년 4월 27일에 관인 중...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올바른 품성을 갖춘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는 건강인, 예절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꿈을 갖고 끈기 있게 노력하는 자주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 성실, 노력’이다. 1930년 4월 1일에 관인 공립 보통학교[4년제]로 설립되...
-
경기도 포천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포천시가 관할하는 11개 면 중 최북단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서, 법정리 6개[중리·초과리·냉정리·삼율리·탄동리·사정리]와 행정리 11개를 관할하고 있다. 관인면은 신라 말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했을 때 그의 세력 하에 들어갔다. 그런데 궁예의 학정을 못 이긴 어진 관리들이 관직을 버리고 성 밖의 이 지역에서 모여 살았다고 하여 관인면(官仁面)...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에 있는 관인면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인면사무소는 그중 관인면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관인면사무소는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지...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원지(元之), 호는 관재(寬齋).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유여해(兪汝諧)이고, 할아버지는 참판 유창(兪瑒)이다. 아버지는 의금부도사 유회일(兪晦一)이며 외할아버지는 예조참판 이준구(李俊耈)이고, 부인은 이강(李綱)의 딸이다. 유숭(兪崇)[1661~1734]은 1699년(숙종 25) 증광 문과 을과로 급제하...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관지(灌之). 증조할아버지는 최이(崔邇)이고, 할아버지는 최유온(崔有溫)이며, 아버지는 최윤옥(崔潤玉)이다. 외할아버지는 양수(楊修)이며, 아내는 황계수(黃季粹)의 딸이다. 형은 최융(崔瀜)이다. 최관(崔灌)[?~?]은 1474년(성종 5)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찬인(贊引), 사간원 정언을 지냈다. 1478년(성종 9) 전...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광덕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에 걸쳐 있는 계곡. 광덕산에서 발원한 계곡이므로 광덕산의 명칭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광덕리는 사내면 지역으로 광덕산 밑이 되므로 광덕골 또는 광덕동(廣德洞)이라고 하였다. 광덕 계곡은 광덕산에서 화악산[1,468m]으로 이어지는 계곡으로 북한강으로 흐르는 사내천 상류에 있다. 계곡물을 따라 암반과 절벽,...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로 넘어가는 고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를 넘나드는 광덕 고개[廣德峴]는 지역의 명칭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캐러멜 고개’라는 특이한 이름도 갖고 있다. 6·25 전쟁 당시 이 지역을 관할하던 사단장이 급경사로 굽이도는 광덕 고개를 오를 때마다 차량 운전병들에게 졸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광덕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철원군 서면에 걸쳐 있다.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1,152m]·대성산(大成山)[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923m]...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분재 테마파크.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은 2004년 4월 17일에 분재의 권위자인 손상이 그 동안 수집하고 가꿔 온 분재들을 죽엽산의 자연환경과 접목하여 개장하였다. 2004년 4월 17일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이 개장하였다. 2012년 아침빛이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을 매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공원 시설로 죽엽산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분재 조각 공원,...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있는 광릉의 수호 및 관리를 담당하던 관직. 수호군(守護軍)은 수묘군(守墓軍)이라고도 하였는데,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五禮) 치장(治葬)에 의하면, 각 능마다 능지기 2명, 수호군 100호를 설치하여 관리를 담당하게 하였다. 또 절일(節日)에 따른 치제(致祭)가 제대로 수행되도록 수직(守直)을 설치하고, 능묘 가까운 곳을 능묘의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분재 테마파크.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은 2004년 4월 17일에 분재의 권위자인 손상이 그 동안 수집하고 가꿔 온 분재들을 죽엽산의 자연환경과 접목하여 개장하였다. 2004년 4월 17일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이 개장하였다. 2012년 아침빛이 광릉 분재 예술 공원을 매수하여 운영하고 있다. 공원 시설로 죽엽산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분재 조각 공원,...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있는 광릉의 수호 및 관리를 담당하던 관직. 수호군(守護軍)은 수묘군(守墓軍)이라고도 하였는데,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五禮) 치장(治葬)에 의하면, 각 능마다 능지기 2명, 수호군 100호를 설치하여 관리를 담당하게 하였다. 또 절일(節日)에 따른 치제(致祭)가 제대로 수행되도록 수직(守直)을 설치하고, 능묘 가까운 곳을 능묘의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 199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의 광림 교회가 토론 문화의 활성화와 부족한 전문 수련 시설의 확충을 위해 광림 세미나 하우스를 설립하였다. 기업체 연수, 각종 세미나와 수련회 등을 효과적으로 개최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창의성 개발, 도덕성 함양, 심성의 순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 교육의 장 역할을...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 1995년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의 광림 교회가 토론 문화의 활성화와 부족한 전문 수련 시설의 확충을 위해 광림 세미나 하우스를 설립하였다. 기업체 연수, 각종 세미나와 수련회 등을 효과적으로 개최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창의성 개발, 도덕성 함양, 심성의 순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 교육의 장 역할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 있는 택시 운송 업체. 광복 택시는 포천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와 함께 지역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9월 12일 포천시 관인면 초과1리 665-9번지에서 설립되어 여객 자동차 운송 사업 허가를 받아 운행을 시작하였다. 2006년 11월 28일 현 위치인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693-6번지로 이전하였다. 1988년 1월...
-
김흥광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광산 김씨(光山金氏)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신무왕의 셋째 아들이다. 김흥광은 고려가 삼한을 통일하자 신라의 비운을 미리 알고 경주를 떠나 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 서일동에 은거함으로써 광산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 후 고려 태조가 김흥광을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하였으며, 후손들이 그를 시조...
-
경기도 포천시의 산업 중 광물의 채굴(採掘)·선광(選鑛)·제련(製鍊) 등의 작업을 행하는 업종. 광업은 지하 및 지표에서 고체, 액체 및 기체 상태의 천연 광물을 채굴·채취·추출하는 산업으로 분류 방법이 다양하지만 대체로 생산되는 주요 광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기도 포천시는 유리한 자연 조건에도 불구하고 농·축산업에 비해 광업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실정...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광원군 이구수의 묘. 광원군(廣原君) 이구수(李耈壽)[1514~1567]는 세종의 다섯째 아들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증손이자, 광성정(匡城正) 이전(李銓)의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강릉 김씨(江陵金氏)이며, 부인 동래 정씨(東萊鄭氏)와의 사이에 4남 4녀를 두었다. 종친부 정5품인 광원수(廣原守)로 본인은 벼슬을 하지 않고...
-
경기도 포천시를 포함한 경기도 동부와 북동부의 산지를 포함하는 산맥. 경기도 동부[포천시, 가평군, 양주시 일대]와 북동부의 험준한 산지가 포함된 광주산맥은 태백산맥의 철령(鐵嶺) 부근에서 갈라져 서울 근처에 달한다. 광주산맥은 태백산맥의 금강산(金剛山) 부근에서 시작하여 남서 방향으로 서울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로, 북서쪽은 추가령 구조곡(楸哥嶺構造谷), 남동쪽은 북한강(北漢江)...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서 은거하였던 문인이자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䕺)·광진자(狂眞子)이다. 아버지는 홍순치(洪順致)이고 아들은 홍지성(洪至誠)이다. 홍유손(洪𥙿孫)(1431~1529)은 어려서부터 품성이 바르고 총명했는데, 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어 수업을 시작했고, 10세 때에 경전을 통독해 선생들이 이인(異人)으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