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림리 축석령 부근에 있는 고개. 고개가 가팔라서 가마를 메고 가면 가마 다리가 닿는다고 하여 다랑 고개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에 모자(母子)가 천수답(天水畓)[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빗물에 의존하는 논]에서 모를 내고 있었는데 더벅머리 총각이 말을 타고 지나가다가 “아주머니 아침부터 모를 내느냐?”고 물으니 “아침부터 냈다.”고 대답을 하였다고 한다. “...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대안 학교. 현재 다문화 국제 학교의 학교장은 박영신[사회 복지사 및 평생 교육사 자격 소지]이며, 교훈은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자’이다. 교목은 소나무, 교화는 민들레이다. 교육 목표는 ‘마음이 건강한 사람, 학식이 풍부한 사람, 몸이 건강한 사람, 생명을 존중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다문화 국제 학교의 교육 방...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에 있는 차류 제조업체. 다정은 우수한 전통차를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12월 설립되었으며 1998년 7월 포천시에 공장을 신축하고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2008년 9월에는 공장을 이전하였다. 다정은 한국 전통 액상차를 제조하여 국내 대형 유통업체인 이마트, 홈플러스, 신세계 마트, 농협 중앙회, 농협 하나로 클럽, 롯데 백화점, GS 백화...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있던 제단과 사당. 단묘(壇廟)는 조선 시대 경기도 포천 지역에 위치한 각종 제단과 사당을 지칭한다. 포천 지역의 단묘로는 관에서 설치한 사직단(社稷壇), 향교에 있는 문묘(文廟), 기우제단, 여단(厲壇), 성황사(城隍祠)를 비롯해 민간에서 세운 화산 서원이나 용연 서원, 충목단(忠穆壇) 등이 있다. 단묘는 마을의 유지 및 해당 지역민들의 유교적 교화, 특정...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풍속. 단오(端午)는 양(陽)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1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이를 수릿날, 술의일(戌衣日), 수뢰일(水瀨日),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端陽) 등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다섯[五]과 뜻이 통하기 때문에 단오는 초닷새를...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화현면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현면사무소는 그중 화현면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화현면사무소는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지...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속. 달맞이는 한 해 중 가장 크게 뜨는 음력 1월 15일 밤에 달을 가장 먼저 보기 위하여 산에 올라가서 만월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 농사일을 점치는 풍습이다. 이를 달구경, 영월(迎月), 망월(望月), 달보기, 망월에 절하기, 망우리 등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날 밤에 횃불을 들고 산에 올라가서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가...
-
경기도 포천지역의 농가에서 1년 농사의 풍흉 여부를 점치는 풍속. 달불이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수수깡 안에 콩을 넣고 우물에 넣었다가 콩이 얼마나 불었는지를 보고 한 해의 풍년과 흉년을 알아보는 풍습이다. 이를 달불음, 달붙임, 농점(農占), 달불음 점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수수깡을 반으로 쪼개서 그 안에 홈 12개를 파고 콩을 하나씩 넣는다. 윤달이...
-
경기도 포천지역의 농가에서 1년 농사의 풍흉 여부를 점치는 풍속. 달불이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수수깡 안에 콩을 넣고 우물에 넣었다가 콩이 얼마나 불었는지를 보고 한 해의 풍년과 흉년을 알아보는 풍습이다. 이를 달불음, 달붙임, 농점(農占), 달불음 점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수수깡을 반으로 쪼개서 그 안에 홈 12개를 파고 콩을 하나씩 넣는다. 윤달이...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뜨는 것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풍속. 달점은 음력 1월 15일 저녁에 달의 색이나 모양을 보고 그해의 풍흉과 비가 적고 많음을 점치는 풍습이다. 이를 망월점(望月占), 달점[月占] 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달점의 구체적인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다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달빛을 보고 점을 치는데, 달빛이 붉으면 가물...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소원을 빌며 나무로 만든 달집에 불을 지르는 놀이. 달집태우기는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달집을 만들고, 달이 떠오르면 이를 태우며 액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역에 따라 이를 달집불, 달불놀이, 달 끄슬리기, 망우리불, 달망우리, 망월(望月), 동화(洞火) 등이라고도 한다. 달집태우기는 음력 1월 14일 혹은 보름날로 정해 놓...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소원을 빌며 나무로 만든 달집에 불을 지르는 놀이. 달집태우기는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달집을 만들고, 달이 떠오르면 이를 태우며 액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지역에 따라 이를 달집불, 달불놀이, 달 끄슬리기, 망우리불, 달망우리, 망월(望月), 동화(洞火) 등이라고도 한다. 달집태우기는 음력 1월 14일 혹은 보름날로 정해 놓...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차류 제조업체. 담터는 차별화된 한국 고유 전통차의 보존과 개발을 통하여 한국인과 세계인의 차 문화에 기여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1983년 11월 서울 개발 식품으로 설립되었다. 1993년 5월 포천군 신평 공단 내에 공장을 준공하였고 2003년부터 중국 상하이, 텐진, 선양[瀋陽] 지역에 총판을 개소하였다. 담터는 가공 식품 도매업체로서, 과...
-
개항기 포천 출신 최익현(崔益鉉)이 포천 군수 박영세(朴永世)에게 보낸 편지. 「답 박 포천(答朴抱川)」[포천 박 군수에게 답한다]은 면암(勉庵) 최익현[1833~1906]이 1895년 11월 25일부터 1898년 9월 10일 사이에 당시 포천 군수였던 박영세에게 보낸 서신이다. 최익현은 1895년 을미개혁으로 인해 단발령(斷髮令)이 공포되자 이에 크게 반발하였다. 그리하여 자신의...
-
1885년 포천 출신의 유학자 최익현(崔益鉉)이 포천의 유생들에게 쓴 편지. 「답 포천 유생(答抱川儒生)」[포천 유생에게 답함]은 포천 출신 면암(勉庵) 최익현[1833~1906]이 1885년(고종 22)에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을 고취시키려는 목적으로 포천의 유생들에게 보낸 서신이다. 「답 포천 유생」은 최익현의 문집 『면암집(勉庵集)』 권9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의료용 기기 제조업체. 대경 전자는 의료용 기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5월 대경 전자가 설립되었으며 1997년 4월 공장을 건설하였다. 1999년 11월 중국 현지 법인을 설립했으며, 2001년 4월에 벤처 기업으로 지정되었다. 2015년 3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2길 26-3[정교리 380-1]으로 본사를 이전...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미래 사회를 개척할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슬로건 아래 시간 관리를 잘하는 창조인, 자주적 능력을 가진 자주인, 끊임없이 자신을 계발하는 개척인,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능력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1998년 3월 1일에 대경 중학교로 설립 인가[18학급]를 받았다. 2005년 3월...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전리에 있는 합성 수지·합성 고무 제조업체. 대경 화학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인 합성 수지·합성 고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에 대원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98년 9월 1일에 대경 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9년 9월 17일에 ISO 9002 인증을 획득하였다. 대경 화학은 스펀지, 합성 수지 제품, 합성 고무 제품...
-
1866년 포천 출신의 문인인 김평묵이 저술한 책. 조선 후기 포천에서 출생하고 세거하였던 김평묵이 유교 경전의 중요성 등을 지적하고, 그와 관련된 입장을 정리한 글이다. 유학의 학설에 대한 입장이라든지 선배 학자에 대한 논평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김평묵(金平默)[1819~1891]의 본관은 청풍이고, 자는 치장(穉章), 호는 중암(重菴)이다. 포천의 화산면 시우촌에서...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가팔리에 있는 원단 제조업체. 대광 레이스는 연구 개발과 공정 개선으로 우수한 레이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2004년 6월에 대광 직물로 설립되었으며 2007년 1월에 대광 레이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대광 레이스는 정식 분류가 되지 않은 섬유 제품인 레이스 등 언더웨어와 아웃 웨어 레이스 신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여 미국 등에 수출하고 있다....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대교천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서 시작되어 철원군 동송읍을 거쳐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와 경계를 이루다가 철원 고석정 부근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포천시 구역으로는 약 2㎞가 속한다. 대교천은 북한의 강원도 평강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대지를 덮었다가 침식해 형성된 하천으로,...
-
서한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대구 서씨(大丘徐氏)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 때 조봉대부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으며 대구에서 세거하였다. 한편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시조 서진(徐晉)은 고려 시대 봉익대부·판도판서 등에 오르면서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지면서 달성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세거하게 되었고, 서진의 아들 서기준(徐奇俊)과 손자 서영(...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발전기 제조업체. 대농 엔지니어링은 기계의 발전기와 전기 변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0년 5월 20일 대농 엔지니어링이 설립되었으며, 1994년 마산 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97년 7월 법인 전환이 되었으며, 1999년 8월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다. 대동 엔지니어링은 발전기 및 전기 변환 장치 제조업체로서 무정전 전원 장...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금속문·창·셔터 제조업체. 대동 철강 공업은 다변화하는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의 차별화와 가격 인하,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 5월에 대동 철강 공업사로 설립하였고, 1993년 4월 대동 철강 공업으로 상호 변경 및 법인 전환하였다. 금속 문, 창, 셔터 및 관련 제품을 주로 제조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주요 취...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대로(大老). 아버지는 영춘 현감 이중국(李重國)이다. 이수창(李壽昌)[1614~1665]은 1644년(인조 22) 정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서 1648년(인조 26) 덕산 현감으로 나아갔다가 충청·전라 양도의 암행어사인 심택(沈澤)에게 탄핵을 받았다. 당시 이수창이 부인의 혼수를...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은거한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대명(大鳴), 호는 괴은(乖隱). 고조할아버지는 호조 참의 정절(鄭節)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비안 현감 정자순(鄭子順)이다. 할아버지는 청주 목사 정결(鄭潔)이며, 아버지는 무안 현감 정유의(鄭有義)이다. 어머니는 조찬(趙瓚)의 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이고, 부인은 김중문(金仲文)의 딸인 광주 김씨(光州金氏)이다. 슬하...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하여 전해 내려오는 명절 풍습. 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정월 보름께에 지내는 명절이다. 이를 상원(上元), 오기일(烏忌日), 달도(怛忉) 등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중원(中元)[7월 15일]이나 하원(下元)[10월 15일]에 견주어 이르는 말이며, 오기일은 까마귀에게 제사 지내는 날을 의미한다. 또한 “행동을 삼가는 날을...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인쇄 관련 업체. 대성 샘플 라인은 엄선된 제조 공정을 통해 고객들에게 보다 고품질로 인쇄된 문구 및 사무 용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1989년 1월 5일에 설립되었다. 대성 샘플 라인은 인쇄된 문구 용품 및 사무 용품 제조업체로서 주 생산 제품으로는 바인더 및 파일이 있고, 기타 인쇄 관련 벽지 샘플책도 생산하고 있다. 대성 샘플 라인은 총 38명...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에 있는 금속 표시판 제조업체. 대성 안전표지는 산업 및 건설 현장과 도로 및 생활 전반에 필요한 안전표지들을 제작,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 대성 안전 교육사가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안전 문화사를 통합하여 한국 안전 문화 진흥원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1992년 12월 대성 안전표지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대성 안전표지는 산업 안전표지...
-
경기도 포천시에서 활동하는 증산교 계열의 신종교. 대순 진리회는 본명이 조철제(趙哲濟)인 조정산(趙鼎山) 도주가 만주 봉천에서 강증산(姜甑山) 상제로부터 종통 계승의 계시를 받은 데서 출발하여, 후에 그 종통을 이어 받은 박한경(朴漢慶) 도전(道典)으로 계승된 증산교 계열의 교단이다. 즉 우리나라에서 태동하여 성장하고 우리 한민족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신종교이다....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전자 부품 업체. 대양 절연은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전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1월에 대한 절연 상사가 설립되었으며, 1997년 1월에 대양 절연으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대양 절연은 전기 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 장치 제조업체로서 개폐 기구, 누전 트립 장치, 전자 회로부, 트립 코일 등 누전 차단기 부품을 제조하고 있...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에 있는 목제 가구 제조업체. 대영 시스템 퍼니처는 사무용 가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3월에 대영 산업으로 설립되었다가, 2002년 9월에 대영 시스템 퍼니처로 법인 전환하고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4년 12월에 중국에 독자 공장을 설립하였고, 2007년 8월에 ‘니오럭스’를 상표로 등록하였다. 주요 사업은 기타 목제 가구 제조업으로...
-
1682년 김창협(金昌協)이 포천 지역에 있는 옥병 서원(玉屛書院)의 사액(賜額)을 청하는 상소문. 「대 영평 유생 청 옥병 서원 사액소(代永平儒生請玉屛書院賜額疏)」는 포천에 연고가 있던 농암(農巖) 김창협[1651~1708]이 영평(永平)의 유생들을 대신하여 옥병 서원의 사액을 요청하며 숙종에게 올린 글이다. 김수항(金壽恒)[1629~1689]과 그의 형 김수증(金壽增)[1624...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교. 건학 정신은 ‘대한민국의 건국 이념과 해원 상생(解寃相生)의 원리에 입각한 성실·경건·신념의 정신으로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공헌할 최고의 지성과 인격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이다. 이를 위해 전문적 지식과 정보 활용 능력을 갖춘 전문인, 전통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는 교양인, 애타심과 실천력을 갖춘 봉사인, 국제화 능력을 함양한 국...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대진 대학교 산학 협력단. 대진 산학 협력단은 기존의 산합 협력원에서 수행 중인 산학 협력 사업을 관리·지원하는 전담 조직으로 산업 교육을 진흥하고 산합 협력을 촉진하여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5월에 대진 대학교 산학 협동 연구 센터를 설립하였고, 1998년 8월에 창업 보육 센터를 설립하였다....
-
강원도 평강군 현내면 상원리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을 지나 임진강에 합류하는 하천. 한탄강의 명칭 유래와 관련된 전설로는 ‘궁예(弓裔)가 왕건에 쫓겨 도망치다 이곳에서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 되었다는 설과 6·25 전쟁 때 피난을 가다가 한탄강을 만나 건너지 못하고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라고 불렀다는 구전이 있다. 그러나 문헌상 유래...
-
1946년 조직된 대한 독립 촉성 국민회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대한 독립 촉성 국민회는 조국의 완전 독립을 달성할 때까지 강력하면서도 영구적인 조직체를 만들 목적으로, 기존의 반탁(反託) 운동 단체인 이승만(李承晩) 중심의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와 김구(金九) 중심의 신탁 통치 반대 국민 총동원 중앙 위원회가 통합하여 1946년 2월에 발족했으며 이승만이 총재, 김구가 부총재...
-
1946년에 조직된 대한 부인회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대한 부인회는 8·15 해방 이후 전국 각지에서 대한 애국 부인회 등 수많은 여성 단체가 조직되어 혼란을 겪던 중 하나로 통일해야 한다는 사회의 공론에 따라 여러 여성 단체를 통합하여 1949년 2월 24일 서울시청 회의실에서 결성되었다. 당시 각 여성 단체 대표 및 회원 약 1,000여 명이 모여 박순천의 경과보고, 김혜...
-
대한민국 건국 직후 설립된 대한 청년단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대한 청년단은 8·15 해방 이후 국내 지지 기반이 필요했던 이승만(李承晩)에 의해 1948년 12월 19일 우익 청년 단체인 대동 청년단을 중심으로 청년 조선 총동맹·국민회 청년단·대한 독립 청년단·서북 청년회 등 전국 20여 개의 청년 단체를 통합하여 결성되었다. 이어 각 지역별 단부가 세워졌는데, 대한 청년단...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회산리는 영북면이 관할하는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서단에 위치한다. 해발 600~700m 높이의 큰 산이 둘러 있으므로 대회산이라 하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북면 대회산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대회산리 일부를 창수면 운산리에 넘겨주고 나머지를 그대로 대회산리라 하여 포천군 영북면에 편입시켰다. 1945년 해...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회산리 산신제는 음력 9월 9일 대회산리 상동 마을에서는 불무산(佛舞山) 자락의 제단에서, 절골 마을에서는 금장산 중턱에서 각각의 산신령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대회산리(大回山里)는 주변에 불무산, 종자산, 보장산(寶藏山), 은장산(銀藏山) 등 ‘큰 산으로 둘러...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있던 소나무과의 상록 교목. 『포천 군지』에 따르면 대회산리 소나무 아래에서 산신제(山神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대회산리 소나무는 10여 년 전에 고사하였으며, 현재 방치된 상태로 있다. 마을 이장과 인터뷰한 내용에 의하면 과거 나무줄기에 생긴 공동(空洞)에 시멘트를 충전하였는데 그 후로 나무의 수세가 약해져 다시 제거 작업을 하였고, 이후에...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있는 체육 센터. 포천 체육 진흥 센터는 경기 북부 지역에 직장 운동 경기부 및 학생 운동부의 훈련 시설이 전무하여 국민 체육 진흥 공단의 지원으로 전지 훈련장을 조성한 사업이다.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건립을 추진하여, 2007년 12월에 착공하였고, 11개월 만인 2008년 11월 20일에 준공하였다. 2008년 11월 준공 이후에 포천...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열 교환기 제조업체. 대흥 쿨러는 세계적 수준의 열 교환기 제조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8년 5월 1일에 대흥 오일 쿨러가 설립되었고, 1989년 1월에 대흥 쿨러로 상호 변경 및 법인 전환되었다. 1993년 3월에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로 공장 이전 등록을 하였고, 1994년 10월에 공장을 증축하였다. 1995년 11월에 후생 복지관...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덕기(德基), 호는 화곡(華谷).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서성(徐渻)이고, 아버지는 서경우(徐景雨)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성염(成恬)의 딸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서원리(徐元履)[1596~1663]는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었고, 복시에서 장원하여 명성을 떨쳤다. 세자익위사 세마를 거쳐 왕자사부로 심양에서 봉림...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둔리는 신북면이 관할하는 12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서단에 있다. 둔덕에 있는 마을이라 덕둔이라 불렀다. 본래 양주군 지역으로 1895년(고종 32) 포천군에 편입되었으며,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산내면 덕둔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산내면과 청송면을 합병하고 청산면이라 하였는데, 이때 사정리를 합병하여 덕둔리라 하...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종실 덕림군 이자의 묘.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1482~1541]의 자는 근보(勤甫)이고, 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의 넷째 아들이다. 부인은 장례원 사평(掌隷院 司評) 강학손(姜鶴孫)의 딸 진산 현부인(晉山縣夫人) 진주 강씨(晋州 姜氏)이다. 아들은 진천군(晋川君) 이옥정(李玉貞)과 부림부정(富林副正) 이옥곤(李玉崑)이고,...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전리에 있는 편조 원단 제조업체. 덕산 엔터프라이즈는 신기술 도입과 신소재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폴라 플리스(POLAR FLEECE)를 수출하는 고급 소재 전문업체로 도약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7년 2월 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화양동 151-13번지에서 덕산 기모 공업사로 설립되었다. 1990년 10월 1일 덕산 실업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폴라...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에 있는 편조 원단 제조업체. 덕성 섬유는 화학 섬유 직물 판매업, 폴리에스테르 직물 염색 및 직물 염색 가공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 11월 대표자 손탁에 의해 개인 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88년 업종을 니트류 원단 제조 판매업으로 전환하였다. 1992년 3월 덕성 섬유로 법인 전환을 했으며, 2000년 6월에 현 소재지로 이전하였다....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화가.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덕재(德哉), 호는 창주(滄洲). 아버지는 참봉 이정려(李精瓈)이다. 이성길(李成吉)[1512~1621]은 성품이 호방하여 세상에 구애됨이 없었다. 17세에 출입을 삼가고 독서에 열중하여 경사(經史)에 통독하였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장원하여 진사가 되고, 이어 증광 문과에 병과 15위로...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 제조업체. 데코탑은 PVC 필름을 개발하고 글로벌 마케팅을 도입하여 우량 중소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10월에 엠보싱 기계 1호기를 설치하였다. 2003년 4월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2004년 3월에 2호기를 증설했으며, 2005년에 방염 시트 생산을 시작하였다. 2006년 1월에 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던 조선 시대의 관아 터. 도감(都監)이란 고려 및 조선 시대에 나라의 일이 있을 때 임시로 설치하던 관아를 가리키며, 훈련도감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도감 터 위쪽에는 문화 유씨(文化柳氏)의 묘가 있었으나,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로 이전하였으며 묘비는 원래 없었다고 한다.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의 향적산 남쪽 아래에 있는 저수지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과 이동면 지역에서 도깨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깨비 이야기」는 사심이 없는 할아버지는 도깨비 덕택에 부자가 되고, 욕심이 많아 이를 모방한 옆집 사람은 오히려 도깨비에게 혼이 났다는 신이담이다. 이를 「도깨비 방망이」라고도 한다. 1995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4차 답사 자료집』-일동면·이동면에 수록되어 있다. 1997...
-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경기도 포천시는 예부터 동북 지방[함경도]으로 통하는 대로였다. 또한 조선 태조 이성계의 발상지인 동북 지방의 대통로이기도 하여 이성계가 함흥을 왕래할 때 얽혀진 여러 가지 일화가 포천시 곳곳에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2012년 현재 경기도 포천시에는 총 603.10㎞의 도로가 건설되어 포천시의 혈관과 같은 교통...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평리는 이동면이 관할하는 4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복숭아와 자두가 많다고 하여 도리평(桃李坪) 또는 도리돌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이동면 도평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로 바꿨다. 1945년 해방 때 38선 이북에 포함되면서 철원군 이동면에 속하여 북한 관할이 되었...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평리는 이동면이 관할하는 4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복숭아와 자두가 많다고 하여 도리평(桃李坪) 또는 도리돌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이동면 도평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로 바꿨다. 1945년 해방 때 38선 이북에 포함되면서 철원군 이동면에 속하여 북한 관할이 되었...
-
경기포천교육도서관에서 발간하는 반연간 소식지. 1999년 경기도립포천도서관을 경기도립중앙도서관 포천분관으로 개칭하면서 새롭게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도서관 관련 각종 소식들을 포천 시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12월 『책으로 하나되는 행복한 도서관』 제1호를 발행하였다. 크기는 A형 계열로 A4판형이다. 올 컬러로 인쇄되며, 분량은 총 여덟 쪽, 네 장의 소박한 형태이다. 경기포천교육도서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와 일동면 사직리에서 가평군 북면 적목리로 이어지는 고개.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도성령(道成嶺)은 영평현 동쪽 40리에 있다.”고 되어 있다. 『광여도(廣輿圖)』의 포천현에는 ‘도성산(道成山)’으로, 가평군에는 ‘도성령(道城嶺)’으로 표기되어 있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도성령(道成嶺)’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해동지도(海東地圖)』「...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계 인류를 지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57년 4월 7일에 이동 국민학교 도평 분교장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30일에 개교하였다. 1964년 3월 2일에 도평 국민학교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7월 23일에 초대 김근배 교장이 취임하였다. 1982년 3월 1일에는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평리는 이동면이 관할하는 4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복숭아와 자두가 많다고 하여 도리평(桃李坪) 또는 도리돌로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이동면 도평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로 바꿨다. 1945년 해방 때 38선 이북에 포함되면서 철원군 이동면에 속하여 북한 관할이 되었...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 3리에 있던 조선 후기 가마터. 옛날부터 기와를 굽던 곳이라고 하여 도평리 가마터가 있는 곳을 ‘점말[점촌(店村)·(粘村)]’이라고 부른다. 점말의 ‘점(粘)’은 기와를 굽는 원료가 되는 찰흙을 의미한다. 최근에 도로가 확장·포장되면서 완형(完形)으로 남아 있던 가마터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지금은 가마의 윗부분과 흙을 다지고 모래를 깐 요상(窯床) 부분...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절터. 도평리 사지 또는 약사지(藥寺址)라고도 한다. 통일 신라 말 또는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의 이름이나 창건 연대, 폐사 기록 등이 전혀 전하지 않는 절터이다. 다만 인근의 지명에 ‘약사골’, ‘약사령’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전하는 바대로 ‘약사(藥寺)’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발원하여 영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도평천의 명칭은 도평이란 동네 이름에서 유래하였는데, 본래는 도리평(桃李坪) 또는 도리돌이라 불리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정 때 영평군 이동면 도평리로 바뀌었다. 도리돌은 지금 도평 1리와 도평 4리를 합쳐서 부르는 마을 이름인데 이 마을에서 살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한 사람들도 다시 돌아와 산다는...
-
1651년 이경석이 금강산을 유람하러 가는 길에 포천에 이르러 조경에게 보낸 칠언 율시의 한시. 「도포천(到抱川)」은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1651년 유배에서 풀려난 후 금강산 유람차 길을 가던 중에 포천에 이르러, 당시 한양 조씨(漢陽趙氏) 가문의 향리(鄕里)인 포천 가채리에 은거하고 있던 일장(日章) 조경(趙絅)에게 지어 보낸 한시이다. 이경석은 1...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 2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독곡 성석린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견성지(堅城志)』의 명승(名勝)조에 독곡 폭포(獨谷瀑布)에 관한 기록이 있다. “현(縣)의 북쪽 10리 천주산(天柱山) 아래 독곡촌(獨谷村)에 있다. 좌우에 폭포가 있는데 수십 길이나 된다. 기암이 벌려져 솟아 있다. 독곡(獨谷) 성석린(成石璘)이 만년에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에 정자를...
-
구한말~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의 독립운동. 경기도 포천지역은 구한말부터 의병 운동의 중심지로서 항일 의식이 남다른 곳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도 독립 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의병, 대동 청년단, 대한 광복회, 3·1 운동, 대한 독립단, 주비단, 의열단, 한국 독립당, 광복군 등의 계열에서 경기도 포천 지역 출신 독립 운동가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었다. 먼저 의병 운동의...
-
경기도 포천출신의 독립운동가. 경기도 포천지역의 독립운동가는 의병, 대동 청년단, 대한 광복회, 3·1 운동, 대한 독립단, 주비단, 의열단, 한국 독립당, 광복군 등 다양한 곳에서 활동하였다. 먼저 의병 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가 적지 않다. 경기도 포천 지역이 구한말 의병 운동의 중심지였던 것과 포천 출신의 김평묵(金平默)·최익현(崔益鉉) 등 화서 학파의 위정척사 사상의 영향이...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 1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 터. 독산 봉수 터는 ‘봉화뚝’이라고도 불린다. 독산(禿山) 정상에는 약 2,644.63㎡[800평]의 대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산등성이부터 흙으로 쌓은 단을 형성하여 정상부를 확장하였다. 이곳에서는 포천 시내와 반월산성(半月山城), 신북면 일대가 잘 조망된다. 독산 봉수 터는 정상부의 동쪽에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다. 포천시...
-
1950년 11월 경 경기도 포천 지역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민간인 유격대. 독수리 유격대는 서울 수복 직후인 1950년 11월 경 경기도 포천군 일동면에서 자생적으로 민간인 유격대를 결성하여 북한 지역이나 적진에 침투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독수리 유격대는 최종성과 최종철 형제를 비롯한 63명이 결성했으며 장총, M1소총 등으로 무장하여 수복 후 패잔병 소탕과 치안...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 2리에 있는 현대 6·25 전쟁 당시 독수리 유격대의 활동을 기념하여 세운 비. 포천은 6·25 전쟁 당시 북한 공산군 남침의 주요 길목이었다. 이곳의 현충 시설 중 독수리 유격대 전적비가 있다. 1950년 11월 30일 대한 청년단 간부인 최종성·최종철 형제를 주축으로 포천군 신읍에서 나라와 고향을 지키려는 포천 지역 젊은이 63명이 독수리 유격대를 결...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에 있는 1950년 6·25 전쟁 당시 노곡리 일대 주민들이 독수리 유격대를 창설한 곳. 독수리 유격대 창설지는 1950년 11월 포천 노곡리 일대 주민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독수리 유격대가 만들어진 곳이다. 독수리 유격대는 1950년 6월 북한군의 남침 직후 포천 노곡리 일대에서 당시 대한 청년단 간부인 최종성과 최종철 형제를 주축으로 모두 63명의 포천...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열녀. 독실은 조선 시대 사노비 출신이며, 생몰년은 알 수 없다. 남편 전가음불(田加音弗)이 강원도에 행상을 갔다가 금성(錦城)에서 객사하자, 집안에 보관하던 물건을 모두 팔아 그 돈으로 직접 금성에 가서 남편의 시체를 고향으로 옮겨와 장사지냈다. 독실은 장차 자신이 죽으면 남편과 같은 곳에 묻어 달라고 하였다. 사람들이 그 말을 믿지 않았으나, 남편의 장례...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일정한 곳에 동전을 던져서 상대의 돈을 맞혀 따먹는 놀이. 돈치기는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돈을 던져 놓고, 그 돈 중에서 상대방이 지정하는 돈을 맞혀서 차지하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엽전(葉錢)치기’, ‘척전(擲錢)놀이’ 등이라고도 한다. 돈치기는 주로 운동장이나 마당 등 평지에서 즐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땅에 구멍을 파서 어른과 아이들이 편...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문리는 영중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중앙에 위치한다. 포천천과 영평천이 합류하는 곳이므로 돌곡, 독글, 돌글 또는 독흘, 양골, 양문이라 하였다. 조선 시대 평구도 찰방(平丘道察訪)에 딸린 양문역이 있어서 양문역말, 역말, 역촌이라고도 하였다. 고구려 때는 영평군의 옛 고을이던 양골현(梁骨縣)의 터이다. 1912년 행정 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와 이동교리에서 양주시 삼숭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에는 석문현(石門峴)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석문령(石門嶺)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문헌인 『포천 읍지(抱川邑誌)』, 『양주 읍지(楊州邑誌)』, 『해동 지도(海東地圖)』, 『여지도(輿地圖)』, 『광여도(廣輿圖)』, 『동여도(東輿圖)』에도...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생육하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성 교목. 돌배나무는 중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성 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경기도 포천시의 광덕산, 운악산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돌배나무는 높이 10m에 달하는 교목으로 잔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원형 또는 난상...
-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수계에서 서식하는 잉어과의 소형 어류. 돌상어는 몸길이가 10~13㎝로 몸통은 옅은 노란색이며, 전체적으로 길쭉하고 배 밑 부분은 평편하다. 머리는 납작하고, 뾰족한 주둥이 주변에 4쌍의 수염이 있다. 돌상어는 주로 돌이 깔린 빠른 여울에 서식하며 야간에 날도래류, 하루살이류, 깔다구류 등 수서 곤충을 먹는다. 암컷은 2년 이상 자라면 알을 낳을 수 있으며,...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땅에 놀이판을 그리고 돌을 이용해서 노는 놀이. 사방치기는 평평한 마당에 네모꼴의 놀이판을 그리고 납작한 돌을 던진 후 이 돌을 한 발로 쳐 다음 선으로 이동해 나가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돌차기’라고도 한다. 사방치기는 우선 평평한 땅에 일정한 규격의 선을 그어 바둑판 모양의 칸을 만들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납작한 돌을 던져 놓고 깨금발로 돌아 나오는 놀이이...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이 관할하는 법정동. 동교동은 선단동이 관할하는 4개 법정동 중 하나로 선단동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장마가 지고 물살이 거세지면 마을에 있던 다리가 잘 뜬다고 하여 뜬다리, 동다리 또는 동교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서면 동교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목동리 전역과 외소면 초동교리 일부를 병합해 동교리로 하고 서면의 관할로...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 있는 저수지. 동교 저수지(東橋 貯水池)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65년에 착공하여, 1965년에 준공하였다. 동교 저수지의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20㏊,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천이나 저수지에 모여드는 구역의 면적]은 228㏊이다. 총저수량은...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교동 나뭇골 마을 산치성은 매년 음력 동짓달에 좋은 날을 택일하여, 마을 옆 산의 중턱에 있는 제당에서 산신령에게 나뭇골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사는 특별히 정해진 날짜는 없고 음력 동짓달 초순 중에서 그때그때 좋은 날을 선택하여 지낸다.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이 관할하는 법정동. 동교동은 선단동이 관할하는 4개 법정동 중 하나로 선단동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장마가 지고 물살이 거세지면 마을에 있던 다리가 잘 뜬다고 하여 뜬다리, 동다리 또는 동교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서면 동교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목동리 전역과 외소면 초동교리 일부를 병합해 동교리로 하고 서면의 관할로...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성해응이 전국 명승지를 설명한 책. 성해응(成海應)[1760~1839]은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창녕, 자는 용여(龍汝), 호는 연경재(硏經齋)이다. 성대중(成大中)의 아들이고, 진사 이덕로(李德老)의 외손이다. 1788년(정조 12)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성해응이 조선 시대 주요 명신 관련 자료를 정리한 책. 성해응(成海應)[1760~1839]은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창녕, 자는 용여(龍汝), 호는 연경재(硏經齋)이다. 성대중(成大中)의 아들이고, 진사 이덕로(李德老)의 외손이다. 1788년(정조 12)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투철한 인류애로 세계 안녕에 기여할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세계인, 자율적으로 학업에 임하며 과학 기술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창조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체력으로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근검절약과 근로 정신이 투철한 내실 있는 경제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열심히 배우고, 부지런히 일하며, 화목하게 지내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미래 지향적인 사람’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예의와 질서를 존중하는 민주인, 자발적으로 공부하는 실력인,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근검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환경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열심히 배우고[성실], 부지런히 일하며[근면], 화목하게 지...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좌의리에 있는 고무 제품 제조업체. 동남 테크는 고품질의 매트를 생산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0년 11월에 동남 산업으로 설립되었다가, 2001년 4월에 동남 테크로 법인 전환하고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2년에는 벤처 기업으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신규 브랜드 상표 및 상호를 등록하였다. 주요 제조 품목은 자동차 매트,...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이 관할하는 법정동. 동교동은 선단동이 관할하는 4개 법정동 중 하나로 선단동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장마가 지고 물살이 거세지면 마을에 있던 다리가 잘 뜬다고 하여 뜬다리, 동다리 또는 동교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서면 동교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목동리 전역과 외소면 초동교리 일부를 병합해 동교리로 하고 서면의 관할로...
-
정회문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동래 정씨 족보』 경신보(庚申譜) 세록(世錄)에 따르면, 을미보(乙未譜)에서는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여 기세(起世)하였으나 그 뒤 알려진 문안공 정항(鄭沆)의 묘지(墓誌)에는 보윤공 정지원(鄭之遠)까지의 3세만 적혀 있었다. 따라서 경신보에서는 보윤공을 1세로 하고 정회문은 권두에 따로 기록한다고 하였다. 즉, 문안공의 묘지...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좌의리에 있는 원피 가공 및 가죽 제조업체. 동림 산업사는 지속적인 가죽 품질의 개선과 신기술 개발을 통해 우수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2002년 2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동림 산업사의 주요 업무는 기타 섬유 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이며, 주요 취급 품목은 직물 염색 가공이다. 2011년 현재 제조 시설 면적은 2,521.4㎡, 건축 면적은 2,7...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동면(東面)은 조선 영조 이후 재편된 영평현의 방리(坊里) 체계를 구성하고 있던 행정 구역이다. 동면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후 설치되었다가 『대동지지(大東地志)』 편찬[1864] 이전에 다시 일동면과 이동면으로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대동지지』에서는 일동면의 범위를 “처음이 15리, 끝이 30리”이며 이동...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배전반 및 전기 자동 제어반 제조업체. 동명 기전 공업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여 전기, 배전 및 항공 부품 제조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0년 6월에 동명 전기를 설립하였고, 1985년 7월에 동명 기전 공업으로 상호 변경 및 법인 전환하였다. 동명 기전 공업은 배전반 및 전기 자동 제어반 제조를 하는 업체로 배전반, 항공기용 부품 제...
-
경기도 포천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의 종류상.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담수 어류를 제외한 일반 동물상 중 가장 많이 서식하는 대표적인 구역은 광릉 임업 연구원 시험림의 일부인 소흘읍 동북부의 죽엽산(竹葉山)과 서남쪽에 위치하는 소리봉(蘇利峰)의 울창한 산림을 들 수 있다. 1. 양서·파충류 포천시 수원산 일대를 대상으로 한 자연 환경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양서류는 도롱뇽과의 도롱뇽과 꼬리치...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자는 동석(東石), 호는 낙삼(樂三). 조선 시대 세종(世宗)의 아들 광평 대군(廣平大君)의 17대손으로 아버지는 화사(華史) 이재하(李在夏)이다. 이범영(李範英)[1890~1955]은 1890년 10월 6일 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방축리[현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서 태어났다. 일찍부터 신문학을 접하였으며 1908년 서울 보광 학...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있는 사무용 가구 제조업체인 동성 NAIKI의 제2공장. 1998년 10월에 동성 NAIKI를 설립하고,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에 있는 제1공장에 이어 2007년 3월에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제2공장[동성 NAIKI 포천 공장]을 건립하였다. 동성 NAIKI의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있으며, 제1공장은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에 있고, 제2공장...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목리에 있는 가구 제조업체. 동성사는 공간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가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4년에 동성사가 설립되었으며 1999년에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2002년에 제2공장 목재 사업부를 설립했으며 2007년에 구리 전시장을 개장하였다. 2008년에 알루미늄 압출 공장을 설치하였다. 동성사는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따라 TV...
-
1892년 이남규가 포천에 사는 동신선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이건창에게 듣고 지은 전. 「동신선전(董神仙傳)」은 개항기 독립지사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1855~1907]가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1852~1898]에게 들은 ‘동신선(董神仙)’이라는 인물의 독특한 행적을 기록한 글이다. 「동신선전」은 이남규의 문집 『수당집(修堂集)』 권(卷) 8에 수록되어 있다. 「동신...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에 있는 석재 가공회사. 동아 석재 산업은 포천석(抱川石) 원석과 판재 등을 가공하고 생산 및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12월 1일 자본금 10억 원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11월 15일 석공사 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96년 6월 30일 석산(石山)[돌을 캐는 광산] 및 공장 시설을 확장하였다. 1996년 11월 5일 경계석 라인...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있는 식품 제조업체. 동양 식품은 자연의 맛과 영양을 보존할 수 있는 전통 식품을 개발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3월 대호 유통[유통 판매 전문업]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12월 동양 식품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1999년 4월에 법인 전환하였다. 2008년 제2공장을 준공했으며, HACCP 인증을 획득하였다....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 민요는 창자에 따라 남요(男謠), 부요(婦謠), 동요(童謠) 등으로 구분된다. 동요는 남녀를 불문하고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이다. 동요에는 유희요[놀이요]와 비기능요만 있다. 아이들에게는 별다른 노동이나 의식이 없기 때문이다. 동요는 민요 중에서 가장 폭이 좁을 뿐만 아니라, 그 성격도 한정되어 있다. 아동 유희요는 놀이의 성립을 위해서...
-
1671년 김창협이 금강산을 유람하기 위해 포천을 지나고 지은 기행문. 「동유기(東遊記)」는 조선 후기의 문신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1651~1708]이 금강산을 유람하려고 길을 떠난 후 포천을 지나고 나서 여행의 감회를 적은 글이다. 「동유기」는 김창협의 문집 『농암집(農巖集)』 권(卷) 23에 수록되어 있다. 나는 어려서부터 금강산(金剛山)의 명성을 듣고 늘 한번 유람해...
-
1659년에 간행된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의건의 문집. 이의건(李義健)[1533~1621]은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의중(宜中), 호는 동은(峒隱)이다. 세종의 5남인 광평 대군 이여(李璵)의 5대손, 배천 군수 이한(李漢)의 아들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학행으로 돈령부 직장이 되었으나, 부모상으로 곧 사직하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에 있는 김성대(金聲大) 등을 배향한 사당. 동음사는 안산 김씨 선조인 촌로(村老) 김성대와 그의 동생 반성재(反省齎) 김성발(金聲發), 동구(東丘) 김성옥(金聲玉) 및 청풍 김씨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등 네 명을 봉향한 사당이다. 김성대의 자는 이원, 호는 율강·촌로이다. 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하였으며 72세 때 진사시에 응시하였을 때 숙종이 제릉...
-
남북국 시대 포천 지역에 있었던 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 신라 제35대 경덕왕(景德王)이 재위 16년[757] 지방 지배 체제의 정비 목적으로 군현제 개편을 시행하면서 고구려 지배 당시의 지명인 양골현을 동음현(洞陰縣)으로 변경하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685년(신문왕 5) 9주 5소경을 편제하면서 한주[또는 한산주]에 속하였고, 757년 군현 개편에 따라 동음현으로...
-
고려 시대에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산골이라는 뜻의 ‘양골’현(梁骨縣)이었던 영흥현(永興縣)은 한탄강 유역의 산간 분지에 위치하고 있던 고려 시대 행정 구역이다. 1268년(원종 9) 임연(林衍)이 김준(金俊)을 제거할 때, 강윤소(康允紹)가 도움을 주었기에 1269년 논공행상으로 강윤소의 고향인 동음현을 영흥현으로 승격시키고 현령을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지리...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소학리에 있는 한약재 수입 및 판매 업체. 동의 한방 제약은 한약재 수입 및 판매를 하고자 설립되었다. 1950년에 형제 약초를 설립하였고, 1982년에 형제 약업사[의약품 무역 도매업]로 개칭하였다. 1992년에 진형 무역을 설립하여 합병하고, 1996년 진형 제약을 설립하여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5년에 진형 제약 제2공장을 준공하고, 2006년에는 물류...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洞祭)는 마을 공동체 성원들이 일정한 장소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일정한 시간과 절차를 통해 마을의 무병, 안녕, 풍년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이다. 우리나라에서 자연 마을이 생산 단위로서 전국적으로 형성된 때는 대개 조선 후기로 보는데, 이때는 유교적 이념이 민간의 무속적 관행으로 확산되는 시기...
-
고려 시대 포천 지역에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 태조가 고려를 세우고 송악을 수도로 삼은 뒤 후고구려의 수도인 철원을 동주(東州)로 개칭하였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의 동주 항목에는 “동주는 원래 고구려의 철원군(鐵圓郡)[모을동비(毛乙冬非)라고도 한다]인데, 신라 경덕왕은 철성군(鐵城郡)으로 만들었다. 그 후 궁예가 군사를 일으켜 고구려의 옛 땅을 빼앗고 송악군으로부터 이곳에...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에 지내는 풍속. 동지(冬至)는 글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져 밤의 길이가 일 년 중 가장 긴 날이다. 이를 ‘아세(亞歲)’, ‘작은 설’ 등이라고도 한다.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인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1일이나 22일에 해당된다. 이날 이후 낮이 점차 길어지기 때문에 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유교리에 있는 섬유 제조업체. 1993년 3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설립되었다. 1997년 9월에 포천시 군내면 유교리 432-1번지로 이전[자사 보유]했으며, 2000년 12월에는 유교리 1023번지로 이전[자사 보유]하였다. 동진 섬유는 금속[Metallic] 가공사, 스판덱스 커버드 얀(Spandex covered yarn)과 각종 팬시 얀(Fa...
-
1745년~1747년 사이에 홍양호가 포천 현감 김효대와 함께 운악산 현등사를 유람하며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동포천재김여원 형제유현등사(同抱川宰金汝源 兄弟遊懸燈寺)」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1724~1802년]가 1745년부터 1747년까지 당시 포천 현감으로 재직하였던 여원(汝原) 김효대(金孝大)[1721~1781] 형제와 함께 운악산(雲岳山) 현...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사집(士執), 호는 청성(靑城). 할아버지는 성몽규(成夢奎)이고, 아버지는 내섬시 직장, 장수도 찰방 등을 지낸 성효기(成孝基)이다. 어머니는 유시진(柳始震)의 딸인 문화 유씨(文化柳氏)이며, 부인은 이덕로(李德老)의 딸인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동생은 성대집(成大集)이며, 아들은 성해응(成海應)이다. 성대중(成大中)[1...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장암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5 교구 본사 봉선사의 말사. 1957년에 신도 이간대(李干大)가 동화사(東和寺)를 창건하였다. 군 복무 시절부터 동화사와 인연을 맺은 승려 밀운[속명 변희준]이 제대 후 동화사 발전에 힘이 되었다. 특히 밀운은 봉선사 회주로 있던 2006년에 사유 재산을 동화사에 기증하여 사찰 중건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일반 절과 유사한...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지역에서 돼지 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돼지 아이」는 돼지라는 이물(異物)과의 교혼(交婚)으로 태어난 아이가 영웅으로 성장하여 난관을 극복하고 행복을 찾는다는 신이담이자 영웅담이다. 1993년 10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2차 답사 자료집』-군내면에 수록되어 있다.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와 군내면, 화현면에 걸쳐 있는 산. 천주산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과거에 두문산이나 회룡산이라고도 불렸다고 하는데, “두문이란 옛 절은 이제는 터만 남았네. 기암과 고목 그리고 푸른 솔 붉은 단풍 아름답기가 천작이라, 내 오래 이 산에 살고 싶다”고 한 양사언(楊士彦)이 남긴 글에 따르면 과거 이 부근에 두문사라는 절이 있었고, 그로...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목리에 있는 철강 제품 제조업체. 두진 강업은 저렴한 가격, 양질의 제품을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1월에 설립되었다. 2001년 1월에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 323-2번지에 하치장을 개점했으며, 2006년 12월에는 포천시 내촌면 진목리 208-7번지에 가공 공장을 설치하였다. 두...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에 있는 2종 저수지. 둔지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2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44년 12월 31일에 준공하였다. 둔지 저수지의 수계는 수일천에서 명덕천(明德川)까지이다.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없고,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과 이동면 지역에서 쫓겨난 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딸 사형제」는 아버지가 ‘내 덕에 산다.’는 말이 미워서 착하고 복 있는 막내딸을 내쫓았다가 나중에는 그 딸 덕에 잘 살게 되었다는 횡재담이다. 또한 인간의 행복이 다른 사람의 덕이 아니라 자신의 덕에 달려 있음을 알게 해 주는 교훈담이기도 하다. 1995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떡국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떡국 때문에」는 고달픈 시집살이와 관련하여 뻐꾸기의 울음소리 내력을 설명해 주는 동물 울음소리 유래담이다. 엄격한 시어머니에게 고된 시집살이를 하던 며느리가 배가 고파서 몰래 떡국을 먹다가 들켜서 그만 떡국이 목에 달라붙어 죽었다. 그 후로 며느리의 무덤에 날아온 새가 ‘떡국 때문에’ 하고 우는데, 이것이 뻐꾹새의 울음소...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이 관할하는 법정동. 동교동은 선단동이 관할하는 4개 법정동 중 하나로 선단동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다. 장마가 지고 물살이 거세지면 마을에 있던 다리가 잘 뜬다고 하여 뜬다리, 동다리 또는 동교라고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서면 동교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목동리 전역과 외소면 초동교리 일부를 병합해 동교리로 하고 서면의 관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