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경기 용구 제조업체. 하나 스포츠는 체조, 육상 및 체력 단련용 장비, 각종 경기 용구 및 스포츠 용품을 생산 판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하나 산업으로 설립되었다. 2007년 3월 하나 스포츠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09년 10월 벤처 기업으로 지정되었다. 하나 스포츠는 체조, 육상 및 체력 단련용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에 있는 숙박 시설. 하늘 향기 관광농원은 지친 도시민들에게 영농 체험과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 9월 15일 건립되었다. 유럽형 민박 시설로 스파 객실이 9종류 있으며, 부대시설로 야외 바비큐장·야외 수영장·영농 체험 농장·관상 조류 사육장·운동장 등이 있다. 포천에 자리한 스파 펜션으로 전체 면적은 약 9,917㎡이고 연간 7,000명...
-
경기도 포천시에서 서식하는 청설모과의 설치류. 하늘다람쥐는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 분포하는 청설모과의 동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주로 참나무류와 침엽수의 혼효림이나 잣나무 순림에서 서식한다. 하늘다람쥐는 몸길이가 15~20㎝로 머리가 둥글고 귀는 작으며 체구에 비하여 눈망울이 크다. 몸은 옅은 회색과 갈색 계통이 있는데, 주로 옅은 회색이고 배는...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에 있는 숙박 시설. 하늘 향기 관광농원은 지친 도시민들에게 영농 체험과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 9월 15일 건립되었다. 유럽형 민박 시설로 스파 객실이 9종류 있으며, 부대시설로 야외 바비큐장·야외 수영장·영농 체험 농장·관상 조류 사육장·운동장 등이 있다. 포천에 자리한 스파 펜션으로 전체 면적은 약 9,917㎡이고 연간 7,000명...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유교리에 있는 부직포 제조업체. 하도 에프앤씨는 부직포 및 펠트를 제조 판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4년 하도 섬유로 설립되었다. 2001년 4월 하도 웨버스로 법인 전환하고 공장을 신축했으며, 2004년 4월에 하도 에프앤씨로 사명을 변경하고 공장을 신축하였다. 2007년 4월 공장을 증축하고 신규 라인을 증설하였다. 하도 에프앤씨는 자동차용, 산업용,...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성북리는 군내면이 관할하는 8개 법정리 중 하나이다. 반월성 뒤 아래쪽에 자리한 마을이라고 해서 아랫성뒤 또는 하성북(下城北)이라 하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군내면 하성북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동군 군내면 상성북리와 서변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하성북리라 하고 군내면에 편입하였다.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이...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성북리 자연 마을로는 별동[자래울]·곡촌·백석동·공장촌 등이 있다. 곡촌(谷村)은 골말로도 불리는데, 산골짜기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별동(鼈洞)은 자라와 같이 생긴 바위가 두 개 있어서 자라울로 불리다가 자래울로 변음되었다. 별동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바위 두 개가 남아 있는데, 하나는 암자라 모양이고 또 다른 하나는...
-
1930년대 초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하성북리에 세운 농촌 청년 단체. 하성북리 청년단은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하성북리 지역 청년들이 농업 발전과 농사의 개량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하성북리 청년단은 밭의 하루갈이 공동 경작 및 조기 작업과 야학 경영 등을 실천하려고 하였다. 하성북리 청년단은 단장 양경혁, 총무 박영찬, 간사 박호성 외 2명 등으로 조직이 구성되었다....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리프트 제조업체. 하이로드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최고 품질의 리프트를 생산·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하이로드는 1999년 2월 12일에 설립되었고, 2003년 11월 24일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있는 진접 신공장으로 이전하였다. 2007년 11월에는 공장과 사무실을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로 확장 이전하였다. 하이로드는 1인용...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인테리어 몰딩 제조업체. 1988년 10월 한진 아트 프레임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에 하이우드로 법인 전환했으며, 2011년 5월 하이우드 부설 디자인 개발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하이우드는 천정 몰딩, 허리 몰딩, 문선/평판 몰딩, 걸레/코너 몰딩, 데코/액자 몰딩 등 인테리어 몰딩 제작에 관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S시리즈,...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포천의 고구려 때 지명은 마홀인데, 이는 물골을 음차한 것으로 ‘물이 많은 골짜기’, ‘물이 많은 고을’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포천에는 다수의 하천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포천의 독특한 지형과 경관을 형성하는 데 한몫을 하고 있다. 지표에 내린 강수는 증발되거나 지하로 스며들거나 지표면을 흐르게 되는데, 이때 높은 지역에서...
-
1884년 포천 출신의 유학자 김평묵이 유학의 정통을 수립하기 위해 저술한 논설. 『학통고(學統考)』는 경기도 포천 출신의 김평묵(金平黙)[1819~1891]이 작성한 글로, 중국 역사상 인물들을 정통(正統)·익통(翼統)·부통(附統)·잡통(雜統)·이통(異統)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면서, 유학의 정통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김평묵의 본관은 청풍이고, 자는 치장(穉章), 호는 중암(重庵...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마명리에 있는 벽지 제조업체. 학표 벽지는 친환경적인 벽지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서 동아 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6월 본사 및 공장을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목리 405-5번지로 확장 이전하였다. 1999년 4월 동아로 법인 전환했으며 2004년 1월에는 학표 벽지로 개칭되었다. 2010년 4월 28일...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세계 최초의 한과 박물관. 한가원은 한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물 전시를 통하여 알리고,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 교육을 제공하고자 2006년 4월 29일 전시 및 체험관 공사를 시작하여 2008년 4월 25일에 개원하였다. 한가원은 세계 최초로 한과를 테마로 세워진 한과 문화 박물관이자 교육관으로, 국가 지정 한과 명...
-
경기도 포천시 일대에서 생산되는 한국의 전통 과자. 한과는 농경 문화의 발전에 따른 곡물의 산출 증가와 숭불 사상에서 오는 육식의 기피 흐름을 배경으로 신라 시대와 고려 시대에 특히 고도로 발달되어 제례, 혼례, 연회 등에 필수적으로 오르는 음식이 되었다. 이 시대의 후기에 다과상, 진다례(進茶禮), 다정 모임 등의 의식이 형성되었는데 이에 따라 한과 종류도 급진적으로 발달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포천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경기 민요 예능인들이 만든 단체로 ‘경기 소리 포천 지부’라고도 한다. 한국 경기 소리 보존회 포천시 지부는 포천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의 민요인 경기 소리의 보전 및 보급과 경기 민요 전수자들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2004년 3...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국악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국악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악인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국악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국악 협회 포천 지부는 국악 예술의 전반적인 발전, 포천 국악인의 자유로운 국악 활동 및 권익 옹호,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복리 증진 도모, 지역 문화 예술의 정립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 있는 한국 농촌 지도자 중앙 연합회 소속의 지회. 한국 농촌 지도자 포천시 연합회는 포천시 관내에 소재하는 각 읍면의 지역 협의회로 구성된 협의체로서, 각급 면회 활동을 조성하고 회원 상호 간의 권익 신장 및 향토 문화의 계승 발전을 도모하며 복지 농촌 건설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8년 농촌 지도자 포천군 연합회로 설립되었으며 1991년...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무용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무용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용인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무용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무용 협회 포천 지부는 예술인들의 권익 향상 및 친목 도모와 함께 전통 춤의 계승 및 보존뿐만 아니라 그 정신을 바탕으로 현대에 맞게 창작 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2월 24일 창단되었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문인 협회의 포천시 지부로 포천 지역의 문예 중심의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포천 문협이라고도 한다. 동인지의 발간과 다양한 문예 창작 활동 및 향유 활동 등을 통해 지역 문학예술의 발전과 시민들의 문예 문화 향유에 이바지하고자 결성되었다. 한국 문인 협회 포천 지부는 초대 지부장으로 임관영을 선출하며...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미술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미술 협회 포천 지부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술가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미술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미술 협회 포천 지부는 민족 미술의 향상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가의 권익을 옹호하며, 미술의 교류와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7년 7월 18일 한국 미술 협회로부터 포천...
-
1948년 4월 결성된 한국 반공단의 경기도 포천 지역 지부. 한국 반공단은 1948년 4월 12일 서울 종로 기독교 청년 회관에서 결성된 반공 단체이다. 한국 반공단의 설립 이후로 전국 각 지역에 지부가 결성되었는데 한국 반공단 포천군 지단도 이 당시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반공단 포천군 지단은 우리나라의 완전 자주 독립과 세계 인류 평화 수립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한...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시각 장애인의 복리 증진과 권익 옹호를 위한 단체. 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 경기도 지부 포천시 지회는 시각 장애인의 정치·사회·경제·문화적 지위를 향상하고 시각 장애인의 복리 증진과 권익 옹호를 도모하여 완전한 사회 참여와 평등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점자(點字) 도서 및 녹음 도서 보급, 시각 장애인 심부름센터 운영을 비롯해 일반 문자의...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연극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연극 협회의 포천시 지부로 포천 지역의 연극 관련 각종 공연 및 행사를 개최·지원하고 있다. 포천 연극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연극 협회 포천 지부는 연극 예술을 통하여 시민의 문화 향수 욕구에 부응하고 연극을 통한 공연 예술 발전에 기여하며 회원의 기량 향상과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2월...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연예 예술인 협회 산하 포천시 지부. 한국 연예 예술인 협회 포천시 지부는 회원 정보 교환을 통해 상호간의 예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지역 예술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02년 5월에 팝 악단인 ‘포천 모던 팝스 오케스트라’가 결성되어, 김종호 초대 단장과 안영섭 부단장이 취임했고 2005년 5월에 제2대 안영...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있는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산하 포천시 지회.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포천시 지회는 포천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 문화 단체들이 만든 단체로 ‘포천 예총’이라고도 한다.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포천시 지회는 예술 문화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포천시 지역 사회의 예술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1...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에 있는 기도원. 기도원은 각 교회의 수양관 형태를 띠거나 부흥 집회를 강조하는 경우, 환자를 수용해 수용비를 받는 경우, 외관상 기도원이지만 종단의 체계를 갖춘 신흥 종교인 경우 등이 있다. 한국 중앙 기도원은 신도들의 영정 구원과 간구(懇求)를 이루기 위한 기도처의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한국 중앙 기도원을 설립하였으며, 1990년 3월에...
-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한국 청소년 육성회의 포천 지구회. 한국 청소년 육성회 포천 지구회는 청소년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풍부한 정서적 안정과 세계 시민 의식 및 공동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2011년 7월 26일 한국 청소년 육성회 포천 지구회를 결성하고 2012년 6월 13일 포천시 소흘읍 체육공원...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장암리에 있는 음료 제조업체. 한국 청정 음료는 먹는 샘물을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에 한국 청정 음료 공업 공사가 설립되었다. 1975년 경기도 시흥에 공장을 준공했으며, 1981년 6월 보존 음료 생산 허가를 받았다. 1985년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공장을 준공했으며, 9월에 청량음료 제조 허가를 받았다. 1989년 한국 청정 음료로 법인 전...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음향 기기 제조업체. 한국 토프톤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품질의 스피커를 생산·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3월 26일에 한국 토프톤을 설립하였다. 1989년 10월에 중국 칭다오[靑島]에 단독 투자하여 칭다오 제1공장과 제2공장을 설립하였다. 1998년 5월에는 광둥 성[廣東省] 둥관 시[东莞市]에 둥관 토프톤 전자 유한 공사를...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한국 한시 협회 산하 포천시 지회.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한시 협회 산하 단체로, 포천 한시 협회라고도 한다. 한국 한시 협회 포천 지회는 전통 한시(漢詩)를 배우고 더불어 창작 활동을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와 유교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2002년 한시 동우회인 ‘포천 한시사’를 조직하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 있는 한국 SGI의 포천 평화 문화 회관. 한국 SGI 포천 평화 문화 회관에서는 SGI가 설립한 건물이다. SGI는 국제 창가 학회[Soka Gakkai International]의 약자로, 불교에서 파생된 일본 종교의 한 계파이다.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을 경전으로 하며 일본식 발음인 남묘호렌게쿄[남묘호랑개교]라고도 불린다. 2000년...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리에 있는 레미콘 제조업체. 한내 개발은 여객 운송 터미널 운영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골재 사업과 레미콘 제조업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1993년 2월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하성북리[현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에 납입 자본금 8000만 원으로 한내 개발을 설립하여 여객 운송 터미널 운영업을 하였다. 2000년에 사업 목적을 골재 선별 파쇄업...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상성북리에 있는 건축 장식 및 리모델링 제품 제조업체. 한마음 지앤디는 친환경 소재로 건축 내장·외장 및 리모델링 제품을 제작하고 판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한마음 예공방이라는 상호로 설립되었다. 2003년 7월 한마음 예공방에서 한마음 지앤디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1년 친환경 불연 소재인 GFRG를 개발하였으며 이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에 있는 직물 염색 가공업체. 한미는 직물 및 편조 원단의 염색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5년 6월 이현택이 납입 자본금 1억 원으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415번지에 한미를 설립하였다. 1998년 자본금을 3억 원으로 늘렸으며, 2001년 3월 이현택이 대표 이사로 취임하였다. 표준 산업은 직물 및 편조 원단의 염색 가공업이다. 주요 취...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에서 발행되는, 포천시를 포함하여 경기 북부 지역의 뉴스를 다루는 격주간 신문. 1970년대 경기 상공 신보사가 폐간된 이후 20년 가까이 이렇다 할 지역지가 없던 상황에서 1989년 9월 25일 홍건호가 『한북 시보』라는 제호로 신문을 창간하였다. 판형은 대판으로, 매달 15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쳐 8면으로 발행하고 있다. 한북 신문사의 소재지는 경기도...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에서 발행되는, 포천시를 포함하여 경기 북부 지역의 뉴스를 다루는 격주간 신문. 1970년대 경기 상공 신보사가 폐간된 이후 20년 가까이 이렇다 할 지역지가 없던 상황에서 1989년 9월 25일 홍건호가 『한북 시보』라는 제호로 신문을 창간하였다. 판형은 대판으로, 매달 15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쳐 8면으로 발행하고 있다. 한북 신문사의 소재지는 경기도...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심곡리에 있는 섬유 염색 가공업체. 한빛 섬유는 섬유 가공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2년 1월 28일 김정두가 자본금 18억 원으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심곡리 202번지에 한빛 섬유를 설립하였다. 이어서 42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1억 8000만 원의 이익을 얻었다. 또한 2006년 2억 1000만 원, 2010년 3억 4000만 원의 이익을 창출하였다...
-
이윤경과 이윤우를 시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한산 이씨(韓山李氏)는 한 뿌리에서 각기 시조를 달리하는 두 파로 분화되었다. 고려 숙종 때 권지 호장(權知戶長)에 오른 이윤경(李允卿)을 시조로 하는 호장공계와, 고려 시대에 문과에 올라 권지 문하사사(權知門下司事) 혹은 권지 합문지후(權知閤門祗侯)를 지낸 이윤우(李允佑)를 시조로 하는 권지공계가 있다. 일설에는 이들 두...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양력 4월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하고 묘소를 돌보는 풍습. 한식은 동지가 지난 뒤 105일째 되는 날에 해당된다. 대개 춘분과 곡우 사이의 청명(淸明)과 같은 날이거나 그 다음날인데,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조상께 제사를 올리는 4대 명절 중의 하나이다. 한식은 일정 기간 동안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
-
조선 후기 조태억이 한식날에 선영이 있는 포천의 묘사에서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한식일재포천묘사(寒食日在抱川墓舍)」는 조선 후기 문신 겸재(兼齋) 조태억(趙泰億)[1675~1728]이 한식날에 선영(先塋)이 있는 포천의 묘사(墓舍)에서 정희교(鄭希僑)와 더불어 조상님께 제사를 지내고 금수정(金水亭)을 방문하면서 지은 한시이다. 조태억은 1698년(숙종 24) 4월에 모친상을 당...
-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에 있는 플라스틱 제조업체. 한신 단열은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신 단열은 1977년 12월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에 설립되었다. 1988년 1월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 456번지에 포천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95년 서울 공장을 포천 공장으로 통합하여 이전하였다. 1997년 12월 포천 공장을 신축 확장하였다. 파이프, 닥트,...
-
조지수를 시조로 하고 조수곤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세거 성씨. 한양 조씨(漢陽趙氏)의 시조는 조지수(趙之壽)이다. 조지수는 덕원부(德原府) 용진현(龍津縣)에서 세거한 사족의 후손으로 고려 때에 명종·신종·희종·강종 등 4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였으며, 조순대부(朝順大夫)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에 이르렀다고 한다. 조선이 개국하자 후손들이 한성(漢城)[지금 서울]으로 옮겨...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에 있던 개성 한영 서원의 분교. 한영 서원(韓英書院)은 미국 남감리교 선교부가 1906년에 세웠으며 윤치호(尹致昊)가 원장이 되어 본교는 개성에, 분교인 한영 지서원(韓英支書院)은 포천에 두고 민족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운영하였다. 윤치호는 한영 서원의 초대 및 제4대 교장을 맡아 학교를 운영하였다. 윤치호는 교장으로 있으면서 실업 교육 중시, 근로정신...
-
1634년 간행된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덕형의 시문집. 이덕형(李德馨)[1561~1613]은 조선 중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敏聖)이며, 장인은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이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이덕형은 많은 시문을 남겼으나 병화를 겪어...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종실 한음군 이현의 묘. 한음군(漢陰君) 이현(李俔)[1530~1562]은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자는 경연(磬然)이고, 호는 교취당(交翠堂)이다.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청화군(淸化君)의 셋째 아들이다. 한음군 묘(漢陰君墓)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위치한다. 한음군의 묘소는 원래 서...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던 조선 후기 문신이자 서화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지(元之), 호는 현석(玄石)·서석(瑞石). 아버지는 청평 부원군(淸平府院君) 우의정 한응인(應寅)이다. 한인급(韓仁及)[1583~1644]은 1601년(선조 3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서 근무하다가 이듬해 검열, 대교, 봉교 등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단추 및 유사 파스너 제조업체. 한일 버튼 랜드는 가격과 품질이 우수한 의류 부자재를 생산·공급하고 해외 수출까지 하고자 설립되었다. 1982년 4월에 한일 폴리를 설립하였고, 1990년 1월에 한일 공업사를 설립하였다. 1999년 7월에 한일 버튼 랜드로 상호 변경 및 법인 전환하였다. 한일 버튼 랜드는 단추 및 유사 파스너를 제조를 하는 업체...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김치 생산업체. 한일 코리아는 신선한 재료와 국산 농산물로 김치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일 코리아는 1990년 2월 21일 자본금 5000만 원으로 설립되었으며, 2003년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812-2번지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2003년 7월 1일 김공열이 대표 이사로 취임하였으며, 2009년 김미자가 대표 이사로 취임하여 회사를 운영하고 있...
-
강원도 평강군 현내면 상원리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을 지나 임진강에 합류하는 하천. 한탄강의 명칭 유래와 관련된 전설로는 ‘궁예(弓裔)가 왕건에 쫓겨 도망치다 이곳에서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 되었다는 설과 6·25 전쟁 때 피난을 가다가 한탄강을 만나 건너지 못하고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라고 불렀다는 구전이 있다. 그러나 문헌상 유래...
-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유역의 협곡 지대 절경 중 포천시가 지정한 8곳의 명승지. 한탄강 8경은 한탄강 내 용암 대지가 개석(開析)되면서 형성된 현무암 협곡과 폭포 가운데 절경에 해당하는 8곳을 이른다. 2010년 11월 경기도 포천시가 포천시 향토 유적 보호 위원회를 열어 한탄강 유역 일대 절경 52곳 가운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명승지 8곳을 선정하고 ‘한탄강 8경’으로 지정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 일대에 발달된 현무암 평원 및 협곡 지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은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유역의 협곡 지대 절경들 중 포천시가 지정한 8곳의 명승지 중 하나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을 따라 흐르는 한탄강 연안에 발달한 현무암 평원과 그 일대 협곡이 포함된다.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을 이루고 있는 양측 절벽 현무암의...
-
경기도 포천시를 흐르는 한탄강을 맑고 깨끗하게 보존하기 위해 설립한 환경 단체. 한탄강 지키기 운동 본부는 한탄강이 더 이상 오염되지 않도록 지키고, 오염된 하천을 되살리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여 한탄강을 가고 싶은, 찾고 싶은, 편안한 하천으로 되돌려 놓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탄강 수계권의 환경 문제에 관한 조사·연구·자문·지원 사업, 환경 교육 자료의 개발과 각종 실천 사업, 한...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에 건설된 한탄강 일대 홍수 조절용 다목적댐. 한탄강댐 건설은 1999년 임진강 하류 지역 수해 방지 종합 대책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임진강과 한탄강 일대에 산사태와 하천 범람으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반복되자 한탄강에 댐 건립을 추진하였다. 2001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와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에 길이 705m, 높이 85m,...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에 건설된 한탄강 일대 홍수 조절용 다목적댐. 한탄강댐 건설은 1999년 임진강 하류 지역 수해 방지 종합 대책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임진강과 한탄강 일대에 산사태와 하천 범람으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반복되자 한탄강에 댐 건립을 추진하였다. 2001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와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에 길이 705m, 높이 85m,...
-
경기도 포천 출신의 한학자. 서석구(徐錫九)[1897~1982]의 호는 한호재(漢湖齋)이다.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울뫼 출신으로 이청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청열은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명산리 출신으로 중추원 의관이 되었으나 1910년 8월 경술 국치 이후 낙향하여 군내면 명산리에 서당을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썼다. 서석구는 이청열에게 천문과 주역을 전수받았다. 그...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리조트. 1979년 우리나라 최초의 콘도미니엄 건설을 시작으로 관광 레저 산업에 첫발을 내디딘 한화 호텔 앤드 리조트는 현재 전국에 12개의 직영 콘도를 운영하고 있다. 관광객들이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993년 사업 계획 승인을 받고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7월 산정 호수 인근에 한화 호텔 리조트[...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리조트. 1979년 우리나라 최초의 콘도미니엄 건설을 시작으로 관광 레저 산업에 첫발을 내디딘 한화 호텔 앤드 리조트는 현재 전국에 12개의 직영 콘도를 운영하고 있다. 관광객들이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993년 사업 계획 승인을 받고 공사를 시작하여, 1996년 7월 산정 호수 인근에 한화 호텔 리조트[...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 1리에 있는 조선 후기 봉수 터. 할미산 봉수는 서북방으로 10.5㎞ 떨어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의 소리산 봉수의 신호를 받아 6.5㎞ 남쪽의 적골산 봉수에 연결하였다. 할미산 봉수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 등의 철원도호부편 봉수조에는 소개되지 않았으나, 『여지도서(輿地圖...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 있는 삼국 시대에서 고려 시대에 이르는 산성. 냉정리산성(冷井里山城)의 내부에서 4개의 건물 터가 확인되었는데 이들 건물 터는 북쪽과 남문 터 동쪽에 성벽을 축조하면서 조성된 평평한 땅에 있다. 건물 터 주변에서 기와 및 토기 조각이 수습되었는데 고배편(高杯片)과 인화문 토기편(印花紋土器片), 파상문 토기호편(波狀紋土器壺片) 등을 통해 볼 때 냉정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다문화인의 자녀 교육 및 후원 기관. 함께 하는 다문화 네트워크는 다문화인의 복지·인권·교육·평화·통합·행복을 추구하며, 특히 교육 사업을 통하여 다문화인들이 안정된 사회 적응 및 사회 통합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공공 기관 및 일반 민간단체와의 연결을 통하여 다문화 국제 학교 운영, 다문화 가정 평생 교육 지원 사업,...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함병현(咸炳鉉)[1860~?]은 1860년 경기도 포천군 중면 양문리[현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일제 강점기인 1919년 3월 30일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에서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함병현은 3월 29일 밤에 경기도 포천군 중면 거사리에 사는 유중식(兪中植)으로부터 “3월 30일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사무소 부...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학자. 본관은 대구(大邱). 자는 정지(挺之), 호는 함재(涵齋). 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된 서팽소(徐彭召)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를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된 서고(徐固)이다. 어머니 순흥 안씨(順興安氏)는 이인 찰방을 지낸 안사전(安嗣全)의 딸이고, 부인 고성 이씨는 청풍 군수를 지낸 이고(李股)의 딸이다. 아들은 판중추부사를 지...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서 동두천시 탑동으로 이어지는 고개. 오지는 벽돌과 같은 옹기를 뜻하고 재(滓)는 옹기를 굽고 난 찌꺼기를 뜻한다. 옛날 오지재 주변에 가마터가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오지재는 왕방산과 해룡산을 이어주는 고개로, 한북 정맥 왕방 지맥의 한 지점이다. 해룡 마을에서 넘어가는 고개라서 해룡 고개라고도 부른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로로 이용하고 있다. 오...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과 동두천시 경계에 위치한 산. 옛 기록에 따르면 해룡산 인근에 해룡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산 이름 역시 절에서 따온 것으로 전한다. 또한 이 산의 정상에는 감지(鑑池), 혹은 천호(天湖)라는 연못이 있었는데, 비가 오기를 빌고 연못 주위를 밟고 뛰어다니면 비가 내리거나 적어도 날씨가 흐려지는 효험이 있었다고 전한다. 사람들이 비를 빌었다는 연못은 조선 시...
-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마을에서는 이곳을 절골이라고 부르는데, 청자 및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에 조성된 절터로 추정된다. 해룡사에 대해서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에 “해룡사는 해룡산의 감지(鑑池) 옆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견성지(堅城誌)』...
-
1748년 오재순이 금강산 유람을 위해 포천의 송우, 만세교, 백로주 등을 지나면서 쓴 기행문. 「해산일기(海山日記)」는 1748년(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순암(醇庵) 오재순(吳載純)[1727~1792]이 금강산(金剛山) 유람을 위해 포천을 지나며 송우(松隅), 만세교(萬歲橋), 백로주(白鷺洲) 등을 들리며 기록한 기행문이다. 조선 시대에는 한양에서 금강산 유람을 하고 외금...
-
1881년 이후 포천 출신의 유학자 김평묵이 위정척사적인 자신의 입장을 정리한 논설. 『해상록(海上錄)』은 조선 후기 포천에서 출생하고 세거하였던 김평묵(金平黙)[1819~1891]이 서양 세력이나 주화(主和) 등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위정척사적인 입장을 정리한 글이다. 김평묵의 문집인 『중암 문집(重庵文集)』 권34에 수록되었다. 김평묵의 본관은 청풍이고, 자는 치장(穉章), 호는...
-
1884년 포천 출신의 유학자 김평묵이 문인 박희원의 요청에 따라 공부하는 순서 등을 제시한 책. 김평묵(金平黙)[1819~1891]의 본관은 청풍이고, 자는 치장(穉章), 호는 중암(重庵)이다. 포천의 화산면 시우촌에서 출생했고, 스무 살 때에는 당시 포천 현감인 성근수(成近壽)의 권유로 포천 현학(縣學)에서 수학하였다. 20대에는 양근에서 이항로(李恒老)와 홍직필(洪直弼) 등에...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에 있는 전통 장을 만드는 작업장. ‘해실’이란 장 숙성이 잘되도록 해가 실하게 드는 밝은 계곡에서 만들어진 장이라는 뜻으로 ‘해실장’은 된장, 고추장, 호박 고추장, 간장 등을 만드는 공동 작업장을 뜻한다. 해실장은 1998년에 농업 기술 센터 작업장에서 벌인 ‘농촌 여성 일감 갖기 운동’의 한 방편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해실장 마을의 주요 재배 작물인...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 있는 목재 가구 제조업체. 해정 미디어는 다양한 종류의 장식장 및 테이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2월 25일 해정 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89년에 법인 전환하였다. 이어 경기도 포천에 공장을 준공했으며, 서울 사무소를 신축 준공하였다. 2002년 9월 12일에 해정 미디어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DVD용 스피커, 유리, MDF, 홈 씨어...
-
1655년 강백년이 임지로 가던 길에 포천에서 친구 박선응의 무덤을 보고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행도포천로중(行到抱川路中)」은 1655년(효종 6년) 조선 후기의 문신 설봉(雪峯) 강백년(姜栢年)[1603~1681]이 함경도 종성 부사(鍾城府使)로 임명되어 임지로 향하는 도중에 포천의 길가에서 친구 박선응(朴善應)의 무덤을 보고 느낀 감회를 읊은 한시이다. 「행도포천로중」은 강...
-
1653년 박장원이 포천현에 있는 안기역에 도착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행도포천안기역(行到抱川安期驛)」은 1653년(효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구당(久堂) 박장원(朴長遠)[1612~1671]이 포천현의 안기역(安期驛)에 도착하여 경상도 흥해(興海)로 정배(定配)한다는 임금의 명을 듣고 지은 한시이다. 「행도포천안기역」은 박장원의 문집 『구당집(久堂集)』 권(卷) 5의 「남...
-
경기도 포천시에서 이루어지는 정치권력, 즉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경기도 포천시 지역은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에 속하여 마홀군(馬忽郡)으로 불렸으며, 일명 명지(命旨)라 하기도 하였다. 통일 신라 시대 이후에는 견성군(堅城郡)으로 불리다가 757년(경덕왕 16)에 청성군(靑城郡)으로 바뀌었다. 940년(태조 23)에 포주(抱州)로 변경...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측백나무과의 상록 교목. 향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에 분포하고, 목재를 향으로 써왔기 때문에 향나무로 불린다. 경기도 포천시 일대의 광덕산, 광릉, 명성산, 소요산, 왕방산, 운악산, 주금산, 청계산, 화야산, 죽엽산, 지장봉 일대에도 분포하고 있다. 경기도 포천시에서는 기지리 향나무와 추동리 향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중리와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에 걸쳐 있는 보개산의 봉우리. 향로봉은 포천시 관인면 중리와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 의 경계선상에 있는 보개산[지장산]의 봉우리 중 하나이다. 환희봉[877m]에서 동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관인봉[717m]을 이루고, 남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삼형제봉[724m]을 거쳐 계속 달리다가 향로봉을 이룬다. 향로봉의 높이는 610m이다. 향로...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중리에서 발원하여 건지천을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발원지가 향로봉 부근이라 이와 관련한 이름이 붙었다. 향로천은 포천시와 연천군의 경계 지점인 향로봉의 북쪽에서 발원해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중리 저수지를 거쳐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중리 보건 진료소를 지나 건지천으로 흘러들어간다. 향로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하천 길이 4.45㎞, 유로 길이...
-
경기도 포천시 신읍길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학생 대상 향토사 알기 경시대회. 포천 문화원은 지역 학생들에게 고장의 역사와 문화 유적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알려 애향심과 자긍심을 높이고자 2006년 제1회 향토사 바르게 알기 경시대회를 개최하였다. 향토사 바르게 알기 경시대회는 포천 문화원의 주최와 포천 향토사 연구소의 주관으로 개최되며 경기도 포천 교육 지원청이 후원한다. 참가...
-
경기도 포천시에 전해 오는 고장 음식. 경기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포천은 지리적 특색에 맞는 다양한 농축산물을 생산하여 맛있는 먹거리 문화를 오래 전부터 형성해 오고 있다.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나는 맑은 물과 우수한 농축산물을 이용한 대표적인 향토 음식으로는 이동 막걸리와 이동 갈비, 순두부, 오리 구이 등이 있다. 1. 이동 막걸리 포천 막걸리는 이동 주조·일동 주조·포천 왕가...
-
경기도 포천지역의 역사와 지리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영위해 온 삶의 내력을 기록한 책. 향토지는 크게 정부 기관, 지방 자치 기관, 민간단체, 향토지 간행을 위한 임시 조직체 또는 개인 간행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기도 포천 지역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가장 오래된 책은 1454년에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로, 「포천현(抱川縣)조」, 「영평현(永平縣)조」에 포천 지...
-
1702년 김창업이 포천을 향해 가는 도중에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향포천도중(向抱川道中)」은 1702년(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1658~1721]이 포천을 향하여 가는 길에 지은 한시이다. 「향포천도중」은 김창업의 문집 『노가재집(老稼齋集)』 권(卷) 2에 수록되어 있다. 차로평생주기순(此路平生走幾廵)[이 길을 평생 동안 몇 번이나 다녔...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계소(季昭), 호는 향하(香下). 시령 부원군(始寧府院君) 영의정(領議政) 유전(柳㙉)의 10세손이다. 유병철(柳秉喆)[1807~1889]은 1887년(고종 24) 천거로 금부도사를 제수받고, 1888년(고종 25) 돈령부 도정을 제수받았다. 1889년(고종 26) 조 대비(趙大妃)의 망구칭경(望九稱慶)으로 동지돈령...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이숙(而肅), 초휘(初諱)는 산로(山老). 할아버지는 부총관 허임(許任)이고, 아버지는 위원 군수 허즙(許濈)이다. 부인은 부사 홍이섭(洪理燮)의 딸이다. 허계(許棨)[1798~1866]는 1798년(정조 22) 천거로 선전관이 되었고, 1815년(순조 15) 무과에 급제하였다. 1835년(헌종 1) 경상 좌도 병마...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옥여(玉汝). 아버지는 행칠곡 도호부사를 지낸 허정(許晶) 이다. 부인은 이의백(李宜白)의 딸이며, 형은 허성(許聖), 동생은 허선(許璇)이다. 허류(許瑬)[1703~1769]는 26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정(訓練院正)을 거쳐 1757년(영조 33) 황해도 수군절도사,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이후...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치종(稚宗). 할아버지는 부총관 허류(許瑬)이고 아버지는 경상 좌도 병마절도사 허칙(許侙)이다. 부인은 금위영장 이후일(李后一)의 딸이다. 허명(許溟)[1755~1858]은 1782년(정조 6) 무과에 급제하여 1787년(정조 11) 광양 현감, 1795년(정조 19) 장흥 부사를 거쳐 1814년(순조 14)...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에 있는 허브 식물원. 1997년에 9,917㎡의 부지를 확보한 뒤에 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에 향기 가게·허브 정원·제1식물원을 준공하고, 1998년 10월 3일에 제1회 허브 아일랜드 축제와 함께 허브 아일랜드를 개장하였다. 2000년에 레스토랑과 마구간, 2001년에는 베이커리와 선물 가게, 2002년에는 아로마 테라피룸, 2003년에는 제2식물...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허브 아일랜드에서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개최되는 불빛 축제. 허브 아일랜드는 1998년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에 처음 조성되었다. 약 30만㎡의 넓은 부지 위에 허브의 원산지인 지중해의 생활 속의 허브를 테마로 다양한 허브 식물을 기르고 있다. 허브 아일랜드 불빛 동화 축제는 2009년 11월 허브 아일랜드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허브 아...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할아버지는 삼도 통제사 허명(許溟)이고 아버지는 방어사 허반(許槃)이다. 부인은 금위영 장(禁衛營將) 이완식(李完植)의 딸이다. 허섭(許燮)[1812~1854]은 1830년(순조 30) 무과에 급제한 후 남선전관(南宣傳官)에 제수되었다. 이후 1851년(철종 2) 전라 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묘는 경기도 포천시...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은거했던 유학자. 조선 시대에는 관직에 나아가 임금을 보필하고 백성을 살피는 일을 하는 것을 ‘출(出)’이라 하고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숨어서 사는 것을 ‘처(處)’라고 하였다. 당시에는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양반의 본분이라 생각했지만, 평생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숨어 살았던 사람도 많다. 이 중 대표적인 인물이 허시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거비(去...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사범(士範). 아버지는 부총관(副總管) 허류(許瑬)이고, 부인은 병마절도사를 지낸 홍익해(洪益海)의 딸이다. 아들은 허명(許溟)이다. 허식(許式)[1737~1796]은 1759년(영조 35)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정(訓練院正)을 지냈다. 1784년(정조 8) 전라 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1791년(정...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이자 성리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태휘(太輝). 호는 초당(草堂). 고조할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충무위 호군(忠武衛護軍)을 지내고 병조 참판에 추증된 허추(許樞)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성균관 전적을 지내고 승정원 도승지에 추증된 허갈(許葛)이며, 할아버지는 금화사 별제를 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된 허담(許聃)이다. 아버지는 군자감 부...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치함(稚涵). 할아버지는 병마절도사를 지낸 허류(許瑬)이고, 아버지는 허척(許倜)이다. 유광후와 홍언혁의 사위이다. 허용(許溶)[1765~1822]은 1798년(정조 22) 무과에 급제하여 훈정관(訓正官)을 역임하고 삼수 부사에 제수되었다. 1812년(순조 12)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삼수부에...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우신(于新). 충정공(忠貞公) 허종(許琮)의 8세손으로 아버지는 병조참판에 추증된 허도이고, 어머니는 안산 김씨(安山金氏)이다. 부인은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허정(許晶)[1670~1740]은 행충청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자곡(紫谷) 윤형동(尹衡東)이 기록한 묘지문(墓誌文)에 보면, 1728년(영조 4...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석여(錫汝). 할아버지는 도사(都事)를 지낸 허준이고 아버지는 현감 허완(許浣)이다. 부인은 병마우후 조혜진(趙惠鎭)의 딸이다. 허책(許策)[1786~?]은 1825년(순조 25) 식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1832년(순조 32) 변지 첨사를 제수받았다....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평보(平甫). 아버지는 통훈대부 허흔(許昕)이며, 부인은 두 명으로 노수근(盧守謹)의 딸인 광주 노씨(光州盧氏)와 남응선(南應善)의 딸인 의령 남씨(宜寧南氏)이다. 허평(許坪)[1571년~?]은 36세 때인 1606년(선조 39) 식년시에 2등 22위로 등과하였다. 서사(筮仕)로 관직에 나아갔으며 1616년(...
-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서성의 묘. 서성(徐渻)[1558~1631]의 자는 현기(玄紀)이고, 호는 약봉(藥峯)이며,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대제학 서거정(徐居正)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서해(徐嶰)이고, 어머니는 고성 이씨(固城李氏)이며, 부인은 여산 송씨(礪山宋氏)이다. 아버지 서해가 2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어머니는 맹인(盲人)이었기에 숙부인 서...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현기(玄紀), 호는 약봉(藥峯). 대제학을 지낸 서거정(徐居正)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참의를 지낸 서고(徐固)이고, 아버지는 서해(徐嶰), 어머니는 고성 이씨(固城李氏)이며, 부인은 여산 송씨(礪山宋氏)이다. 아들로 서경우(徐景雨)·서경수(徐景需)·서경빈(徐景霦)·서경주(徐景霌)가 있다. 서성(徐渻)[1558~16...
-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경기도 포천 지역의 역사.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35년간의 일제 압제로부터 벗어나 해방을 맞이했으나, 미·소 양국에 의해 3·8선이 획정되면서 남북으로 분할되고 말았다. 당시 분단의 고통이 가장 큰 지역 가운데 하나가 경기도 포천 지역이었다. 경기도 포천 지역의 이동면과 영북면·청산면 일부가 3·8선 이북에 위치했기 때문에, 그곳 주...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있는 일반 철물 제조업체. 현대 엔지니어링은 금속 가공 제품의 기계 부품, 주유기 부품, 철도 차량 출입문 자물쇠[doorlock] 제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6년 12월 김요환이 납입 자본금 5억 5000만 원으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 167-11번지에 태광 정밀을 설립하였다. 1993년 6월 태광 정밀에서 현대 엔지니어링으로 상호를 변경...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 있는 정수기 필터 제조업체. 현대 와코텍은 좋은 품질의 정수기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4년 5월 현대 와코텍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 8월 현대 와코텍 법인이 설립 되었으며 9월 정수기 필터 공장이 설립되었다. 2005년 5월 캐나다와 미국에 HYUNDAI Air & Water Technology를 설립하고, 2006년에는 인도에...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리에 있는 도로 표지판 제조업체. 현대 표지는 도로 표지판 제조 및 설치, 금속 창호 공사, 도장 공사 등 국내의 각종 도로 부대 공사에 참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 8월 현대 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91년 1월 현대 표지로 법인 전환하였다. 1995년 공장을 설립하였고, 1999년도 3월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 2가에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20...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 있는 금속 손잡이 제조업체. 현대 핸들 공업의 전신인 삼양 공업사는 산업용 손잡이와 전기 자재 등을 제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삼양 공업사는 1974년 5월 설립되었으며 1984년 4월 삼양 공업사에서 현대 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7년 7월 부천 공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95년 현대 공업사에서 현대 핸들 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법인으로 전...
-
조선 중엽 이항복이 포천의 운악산 현등사를 소재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현등사(懸登寺)」는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1561~1613]과 기발한 장난과 우정이 얽힌 많은 일화를 남긴 오성(鰲城)·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이 포천 운악산(雲岳山)의 현등사에 대하여 읊은 한시이다. 「현등사」는 이항복의 문집 『백사집(白沙集)』 권(卷) 1에 수록되어 있다...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와 가평군 하면에 걸쳐 있는 산. 주봉인 만경대를 중심으로 웅장한 암봉들이 구름을 뚫을 것처럼 하늘로 솟았다고 하여 운악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또한 이 산에 현등사라는 고찰이 있다고 하여 현등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높이 935.5m의 운악산은 광주산맥의 여러 여맥 중 하나다. 북쪽으로 청계산, 강씨봉, 국망봉 등으로 이어지며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를...
-
1674년 경기도 포천의 노비인 전석(全石)이 상전을 살해하려고 도모한 사건. 17세기 중반 이후 정치·사회·경제적인 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신분 구조에 대한 저항이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하는 데 배경을 두고 있다. 현종 15년 강상 사건은 1674년(현종 15) 8월 11일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전석이 상전을 살해하려는 의도에서 9곳에 흉물을 묻어 두었는데 이것이 발각...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 활동한 항일 비밀 결사대. 조선 민족 해방 협동당은 일제가 패망하는 결정적 시기에 국외의 항일 무장 세력의 진공에 호응하여 국내에서 민중의 무장봉기를 통한 민족 해방 쟁취를 위하여 결성되었다. 1943년 6월 일본 도쿄[東京]에서 메이지[明治] 대학 출신 김종백(金宗伯)을 당수로 하여 학병 거부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조선 민족 해방 협동당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부직포 생산 업체. 1985년 5월 협성 섬유로 설립되었으며, 1987년 현 소재지로 사옥을 신축 이전 하여 의류용 부직포 생산을 시작하였다. 1987년 7월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리 299-40번지에 제2공장을 설립하여 산업용 부직포 생산을 시작했으며, 2000년 1월에 법인 전환하였다. 협성 섬유는 자동차용 에어 필터 원단 및 건축용 흡음...
-
조선 전기 포천 현감을 지낸 문신이자 기인(奇人).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토정(土亭).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를 추증 받은 이장윤(李長潤)이며, 아버지는 우봉 현령 이치(李穉)이다. 우의정 김극성(金克成)이 외할아버지이다. 이지함(李之菡)[1517~1578]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인 이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소설가.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동농(東濃)·이열재(怡悅齋), 필명은 우산거사(牛山居士)·선음자(善飮子)·하관생(遐觀生)·석춘자(惜春子)·신안생(神眼生)·해관자(解觀子).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 대군의 10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철용(李哲鎔)이고, 어머니는 청풍 김씨이다. 이해조(李海朝)[1869~1927]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121번...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호랑이 꼬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꼬리」는 토끼의 꼬리가 짧아지고 호랑이의 꼬리가 길어지게 된 내력을 설명해 주는 동물 유래담이자, 선비가 호랑이에게 잡아먹힐 위기에서 꾀로써 벗어났다는 지혜담이다. 1994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3차 답사 자료집』-가산면·소흘면에 수록되어 있다.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호랑이·고슴도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와 고슴도치」는 고슴도치로 인하여 야산에 호랑이가 없어진 유래를 설명하는 동물담이다. 1995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4차 답사 자료집』-일동면·이동면에 수록되어 있다.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포천 문화원에서 간행한 『포천의 설화』에도 전재되어 있다 옛날에 호랑이가 큰...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호랑이·구렁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와 구렁이」는 나그네가 꾀로써 구렁이와 호랑이를 서로 싸우게 하여 죽을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재치담이다. 1984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포천 문화원에서 간행한 『포천의 설화』에도 전재되어 있다. 옛날 한 나그네가 길을 가다가 해...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 제조업체. 호명 화학 공업은 국내 포장 산업의 발전과 최고 품질의 필름 생산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10월 현대 화학 공업사가 설립되었다. 1994년 3월 합성수지 필름 제조업을 목적으로 호명 화학 공업이 설립되었다. 1996년 1월 호명 화학 공업과 현대 화학 공업사가 합병했으며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로 본사를 이전하...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있는 저수지. 호병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5년에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하였다. 호병 저수지의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없고,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천이나 저수지에 모여드는 구역의 면적]은 157㏊이다. 총저수량은 1만 7000톤...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 왕방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신읍천은 현대에 새로 조성된 신읍(新邑)인 포천시 신읍동을 가로질러 흐르므로 지역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신읍천은 일반적으로 호병천으로 불리는데 마을의 지형이 호리병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읍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총 유역 길이는 3.6㎞, 유역 면적은 4.41㎢이다. 하천의 폭은 10~50m...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과 양주시 회암동 사이에 있는 고개. 천보산 기슭에는 신라 때부터 있던 대사찰인 회암사가 있었는데, 회암 고개라는 지명은 이 절의 이름과 관련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회암 고개의 다른 이름으로 호얌 고개가 있는데, 이 지명은 인근에 있던 호얌사라는 절 때문에 붙은 것이라 전한다. 호얌사는 아마도 회암사의 변형이라 여겨진다. 전승에 따르면 이 호얌사는 절에 빈대...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호연(浩然), 호는 낭산(郎山). 좌승지 설촌(雪村) 송시철(宋時喆)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송보명(宋普明)이고, 할아버지는 송익해(宋翼海)이며,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송위재(宋偉載)이다. 어머니는 이조 판서 서명응(徐命膺)의 딸이고, 동생은 송지행(宋持行)이다. 부인은 두 명을 맞이했는데, 첫째 부인은...
-
경기도 포천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 주로 생육하는 소나무과의 상록 교목. 잣나무는 중부 이남에서는 해발 1,000m 이상에서만 자생을 하지만 흔히 주변에 많이 심기도 한다. 경기도 포천시의 광덕산, 광릉, 명성산, 백운산, 소요산, 수리봉, 왕방산, 운악산, 주금산, 청계산, 포천천, 화야산 일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신북면 금동 2리 지동 산촌 마을에는 울창하게...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군실(君實). 증조할아버지는 홍주문(洪柱文)이고, 할아버지는 홍만기(洪萬紀)이다. 아버지는 예조 판서 홍중후(洪重厚)이고 양아버지는 홍중효(洪重孝)이다. 홍수보(洪秀輔)[1723~1800]는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58년(영조 34) 승지에 발탁되고, 1762년(영조 38)...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서 은거하였던 문인이자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䕺)·광진자(狂眞子)이다. 아버지는 홍순치(洪順致)이고 아들은 홍지성(洪至誠)이다. 홍유손(洪𥙿孫)(1431~1529)은 어려서부터 품성이 바르고 총명했는데, 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어 수업을 시작했고, 10세 때에 경전을 통독해 선생들이 이인(異人)으로 대우하였다. 김종직(...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열녀. 본관은 안동. 아버지는 동추공 김종숙이며, 남편은 세조 때 목사와 성균관 사성 등을 역임한 홍의달(洪義達)이다. 남동생은 문정공 김질이다. 김질은 단종 복위 거사를 함께 논의하다 거사가 연기되자 장인 정창손에게 고하여, 사육신은 물론 상왕으로 물러나있던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영월로 유배 보낸 장본인이다. 김질은 그 공으로 좌익공신에 책록되어 좌의...
-
조선 시대 포천 출신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강중(剛中), 호는 불정산인(佛頂山人). 아버지는 홍유손(洪𥙿孫)이다. 홍지성(洪至誠)[1528~1597]은 천성이 고결하고 아담하며, 사람됨이 고아(高雅)하고 검솔(儉率)하였다. 몸가짐과 접물(接物)하는 태도가 세상 사람들과 자못 비슷하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그를 특이하다고 비웃는 자가 많았다. 이항복(李恒福)을 사우(...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왕방산인(王訪山人).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를 지낸 홍순성(洪順成)이다. 홍춘수(洪春壽)는 경기도 포천시에서 출생하였다. 1564년(명종 19) 갑자(甲子) 식년시 을과(乙科) 3위로 급제하여 충순위에 임명되었다. 얼마 후 벼슬을 멀리하고 지금의 포천시 선단동에 은거하며 후세를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였으며, 왕방산...
-
조선 후기 포천 현감을 지낸 문신. 홍태윤은 중인 출신이었으나 사람 됨됨이가 워낙 훌륭해서 고을의 수령을 거쳐 현관(顯官)의 벼슬길에 오른 인물이다. 그러나 출세한 후에도 지극히 겸허(兼虛)하여 현감의 위의(威儀)를 갖추어 행차를 하다가도 마을 어른이나 친족, 친구들을 만나면 수레에서 내려 깍듯이 수인사(修人事)[일상의 예절]를 나누었다고 한다. 본관은 남양(南陽). 대한제국군의...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덕기(德基), 호는 화곡(華谷).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서성(徐渻)이고, 아버지는 서경우(徐景雨)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성염(成恬)의 딸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서원리(徐元履)[1596~1663]는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었고, 복시에서 장원하여 명성을 떨쳤다. 세자익위사 세마를 거쳐 왕자사부로 심양에서 봉림...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대리는 일동면이 관할하는 6개 법정리 중 하나이다. 역마를 먹이던 곳이라고 하여 수터, 쉿터 또는 수대, 화대, 수기, 휴기라 하였다. 또한 연꽃이 물에 떠 있는 형상의 명당자리가 있어, 꽃이 있는 장소나 터라는 의미로 화대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유래도 전한다.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일동면 화대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 2리에 있는 조선 시대 가마터. 화대리 가마터는 포천시 일동면 화대 2리 강수봉 아래 양물골 내 한나물골 주말 공원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잡목이 우거져 있으나 남서향의 낮은 언덕에 길이 14m, 폭 5m에 걸쳐 소토와 자기 조각이 수습되어 가마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능선 아래로는 등산로와 작은 개울이 있다.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등산로를...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화대리에는 지청동(芝靑洞)·운담·휴기[숫터]·맥구·한나무골[多木洞]·무리동·사기막·마고동[마곡]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지청동은 무리울에서 흘러내려 오는 맑은 물을 받는 연못 때문에 처음엔 지청동(池靑洞)으로 불렸으나 지금은 지청동(芝靑洞)이라고 쓴다. 심씨네 제청(祭廳)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운담은 무른대미...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있는 산. 원래는 꽃뫼[花山]라고 불렸는데 산 인근에 위치한 화산 서원에서 수학하는 선비들이 화봉산이라고 부르면서 이름이 바뀌었다고 전한다. 또한 임진왜란 때 이 산 위에서 횃불을 피워 위험을 알렸기에 화봉산으로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화봉산은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위치한 야트막한 산이다.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예로부터 평야에 부채를...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암각문. 화봉산 암각문(花峰山巖刻文)에는 “평양은 요의 도읍지이고, 화표는 요가 위정자에 대하여 민원을 표시하도록 길가에 세웠던 표목의 명칭이다. 여기에서 평양은 포천을, 화표는 표지를 뜻한다. 요와 순의 도를 이어받아 서술하여 밝히고 공자의 학문과 도를 배우노니 공격은 모든 사악을 이기노라. 계사년[1893, 고종 30] 봄에 최익...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법정리 8개 가운데 하나로 면의 남서부에 위치한다. 화산 아래에 있다고 해서 화산말 또는 화산이라 불렀다. 한편으론 마을에 시우정(時雨亭)이 있어서 시우골, 시우동으로도 불렀다. 1912년 행정구역상 포천군 가산면 가산리였다. 1914년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할 때 가산면 추곡리와 방축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산리에 편...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에 있는 이항복(李恒福)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진 서원. 화산 서원은 처음 백사 서원으로 불릴 때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옥금동에 위치하였으나, 이후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산16-1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화산 서원은 화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뒤쪽에는 산을 등지고 앞쪽으로는 시야가 트이면서 들이 바라다 보이는 산기슭에 터를 잡았다. 화...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리는 가산면이 관할하는 법정리 8개 가운데 하나로 면의 남서부에 위치한다. 화산 아래에 있다고 해서 화산말 또는 화산이라 불렀다. 한편으론 마을에 시우정(時雨亭)이 있어서 시우골, 시우동으로도 불렀다. 1912년 행정구역상 포천군 가산면 가산리였다. 1914년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할 때 가산면 추곡리와 방축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산리에 편...
-
1825년 성해응이 이항복을 모신 화산 서원의 중수를 기념하여 지은 기문. 「화산 서원 중수기(花山書院重修記)」는 1825년(순조 25)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1760~1839]이 이항복(李恒福)[1556~1618]을 모신 화산 서원(花山書院)을 손질하여 고친 것을 기념하여 지은 중수기(重修記)이다. 화산 서원은 1720년(숙종 46)에 국가에서 인정한 사액 서원으로 ‘...
-
19세기 서세동점(西勢東漸)[서양 세력이 차차 동쪽으로 옮김]의 위기가 닥치자 정통 주자학(朱子學)을 공부한 지식인들은 위정척사 운동으로 이에 맞섰다. 위정척사 운동은 반침략·반외세의 정치사상으로서, 성리학적 세계관과 지배 체제를 강화하여 일본과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식이었다. 당시 이를 주도하였던 대표적인 조직이 화서 학파였다. 화서 학파는 경기도 양근에서 이항로...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은거한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庵)·청하자(靑霞子). 증조할아버지는 은산군사(殷山郡事) 박소(朴蘇)이고, 할아버지는 성균관 사 박지흥(朴智興)이며, 아버지는 우윤(右尹)을 지낸 박우(朴祐)이다. 어머니는 당악 김씨(棠岳金氏)이다. 기묘명현으로 충주 목사를 지낸 박상(朴祥)의 조카이다. 박순(朴淳)[1523~1589]은 1...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화숙(和叔). 이조년(李兆年)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직(李稷)이고, 할아버지는 이사후(李師厚)이다. 아버지는 태종의 부마인 성원위(星原尉) 이정녕(李正寧)이며, 어머니는 태종 이방원(李芳遠)과 소빈 노씨(昭嬪盧氏) 사이에서 태어난 숙혜 옹주(淑惠翁主)이다. 이집(李諿)[1438~1509]은 일찍...
-
조선 후기 영평에 거주했던 이서구가 화적연을 소재로 하여 지은 오언 고시의 한시. 「화적연(禾積淵)」은 영평에 거주하였던 조선 후기의 문신 척재(惕齋) 이서구(李書九)[1754~1825]가 ‘영평 8경’ 중에 하나로서 영평현의 사람들이 기우제를 지내던 화적연을 보고 지은 한시이다. 이서구는 박학한 학자이자 동시에, 이덕무(李德懋)[1741~1793], 박제가(朴齊家)[1750~18...
-
1882년 4월 3일 포천 출신의 유학자 최익현이 친구들과 금강산 유람 중에 들린 화적연을 소재로 하여 지은 한시. 「화적연(禾積淵)」은 1882년(고종 19) 4월 3일에 포천 출신으로 개항기의 애국지사인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여러 친구들과 함께 금강산(金剛山)을 향하여 떠나는 길에 화적연에 들러 지은 한시이다. 「화적연」은 최익현의 문집 『면암집(勉...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사정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 산포지. 화적연(禾積淵)은 영평 8경(永平八景) 가운데 한 곳이다. 운천에서 신철원으로 가는 국도 43호선을 타고 가다가 동송 방향으로 좌회전하면 한탄강의 근흥교가 나온다. 근흥교를 건너 바로 좌회전하여 산길을 1.1㎞ 정도 가면 화적연이 있다. 이곳에 화적연 휴게소라는 음식점이 있다. 오른쪽으로는 청성 교육대라는 군부대가 있...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에 있는 전기 조명 장치 제품 제조업체. 화진 라이팅은 가로등, 보행등 및 부품을 연구 개발하고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439-5번지에서 태양 공업으로 설립되었다. 1990년 가로등 업계 최초로 원형 베이스 커버를 개발하여 의장 등록을 했으며, 서울에 제2공장을 설립하였다. 2006년에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리...
-
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에 있는 건강식품 제조업체. 아이기스 화진 엔앤에이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월 1일 화진 앤앤에이취라는 상호로 설립되었고, 2월 2일 화진 엔앤에이치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나 2월 26일 다시 엔앤에치로 변경하였다. 2006년 1월 엔앤에치에서 화진 엔앤에이치로 변경하였고 2011년 아이기스 화진 엔앤에이치로 변경하여 현재에...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르고 더불어 사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며 소질을 계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로 탐구하는 창조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씩씩하게’이다. 1934년 3월 1일에 포천 공립 간이 학교로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15일에 개교하였다. 1944년 4월 5...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 6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현 6리 산제는 매년 음력 9월 1일 저녁에 화현면 화현 6리의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운악산신과 신목(神木)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화현 6리 산제는 옛날부터 매년 지내 오던 마을의 공동 제의로서, 제상의 방식에 커다란 변화는 없으나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화현리는 화현면이 관할하는 3개 법정리 중 하나로 면의 동쪽에 위치한다. 고개에 꽃이 많이 핀다고 해서 화현이라고 했는데, 양지 바른 곳이라고 해서 양지말이라고도 불렀다. 1912년 행정 구역은 포천군 동촌면 화현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화현리 일부를 명덕리에 편입하고 지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지금의 화현리가 되었으며, 내동면과...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조선 전기 분청사기 가마터.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산190번지에 있는 운악산 자연 휴양림 매표소를 지나 조금 들어가면 오른편으로 보이는 잔디 광장에 위치한다.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약 1,695㎡[512.74평] 규모로 운악산 일대에 자연 휴양림 조성을 계획한 산림청이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 의뢰해 2004년...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조선 전기 분청사기 가마터.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산190번지에 있는 운악산 자연 휴양림 매표소를 지나 조금 들어가면 오른편으로 보이는 잔디 광장에 위치한다.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약 1,695㎡[512.74평] 규모로 운악산 일대에 자연 휴양림 조성을 계획한 산림청이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 의뢰해 2004년...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화현리에는 달인동·우시동·강구동·신기동·양지동·선촌동·영선동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달인동은 광대소·달은현·돌복소·필복소라고도 불린다. 절벽 앞에 아주 큰 소가 있었는데 이 소에 가로 질러 줄을 매고 광대가 춤을 추며 줄을 탔기 때문에 광대소라고 불렀다. 우시동은 비시락골이라고도 불린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늘 구름이 끼고 당...
-
경기도 포천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화현면은 포천시에 소속된 11개 면 가운데 하나로 법정리 3개[화현리·명덕리·지현리]와 행정리 13개를 관할하고 있다. 시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다. 지역 내에 적군의 동향을 살펴 중앙에 봉화로 알리던 봉화현(烽火峴)이라는 산봉우리가 있어 화재 또는 화현(火峴)이라 불렸으나 ‘불고개’라는 이름이 어감이 좋지 않다 하여 ‘꽃 화(花)’ 자로 고쳐...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화현면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현면사무소는 그중 화현면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화현면사무소는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지...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화현면 담당 행정 기관. 경기도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소흘읍·군내면·내촌면·가산면·신북면·창수면·영중면·일동면·이동면·영북면·관인면·화현면·포천동·선단동 등 1개 읍, 11개 면,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현면사무소는 그중 화현면 지역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화현면사무소는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의 행정 서비스와 주민 복리 증진을 지...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에 있는 저수지. 화현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57년에 착공하여, 1958년에 준공하였다. 화현 저수지의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10㏊,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천이나 저수지에 모여드는 구역의 면적]은 55㏊이다. 총저수량은 8만 3...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삼율리·중리와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의 경계에 있는 산. 고려 충렬왕 때 민지(閔漬)가 쓴 「보개산 석대기(寶盖山石臺記)」에 따르면 그가 보개산 심원사에 머물 때 환희봉에서 지장보살이 체현한 것을 보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널리 퍼지며 환희봉을 지장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환희봉이라는 이름은 민지가 지장보살이 모습을 드러낸 것을 목격하고 환희심이 일어...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유교리에 있는 저수지. 황새목 저수지는 홍수 예방과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5년에 착공하여, 1945년에 준공하였다. 황새목 저수지의 수혜 면적[한국 농어촌 공사 또는 포천시가 관리하는 농업 생산 기반 시설물로부터 이익을 받는 면적]은 없고, 유역 면적[분수령을 경계로 하여 강우가 하천이나 저수지에 모여드는 구역의 면적]은 49㏊이다. 총저수량은 2만...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회중(懷中), 호는 국촌(菊村). 명재상 익성공 황희(黃喜)의 9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주부(主簿) 황효겸(黃孝謙)이며, 아들은 황재중(黃在中)이다. 황엽(黃曄)[1666~1736]은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궁촌(宮村)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육예(六藝)를 배웠는데, 특히 예서(禮書)와 악서...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미경(美卿). 익성공 황희(黃喜)의 10세손으로, 아버지는 황엽(黃曄)이다. 황재중(黃在中)[1701~1730]은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궁촌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 황엽을 닮아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범상치 않았다. 역리(易理)를 깊이 탐구하여 9세 때 흑백 바둑돌로 음양 팔괘(陰陽八卦)를 포열하였고, 16세...
-
조선 시대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경문(景文), 호는 지천(芝川). 영의정 황희의 6세손으로 아버지는 행호분위 부호군(行虎賁衛副護軍) 황열(黃悅)이다. 황정욱(黃廷彧)(1532~1607)은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에서 출생하였다. 1552년(명종 7) 사마시에 합격하고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이 되고 정언, 응교, 문학,...
-
고려 전기 포천 지역에 있었던 지방 행정 구역. 풍양현(豊壤縣)은 고려 초 이전에 황양(荒壤)으로 불리던 명칭을 개칭한 것이다. 1018년(현종 9)부터는 양주(楊州)에 속하였다가, 이후에 포주(抱州)에 속하였다. 조선 전기인 1419년(세종 1)에 다시 양주로 이속시켰다. 고려 건국 초 지방 제도의 개편 과정에서 설치된 지역이다. 『고려사(高麗史)』 권56 지리지 1 양광도조에...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열녀. 숙종 때의 학자로 의학뿐 아니라 지리에 정통하여 『여지도(輿地圖)』를 만들고 『지도연의(地圖衍義)』를 저술한 황엽(黃曄)이 전주 이씨의 남편 황효겸(黃孝謙)의 종손이다. 황희의 6세손인 주부(主簿) 황효겸의 처 전주 이씨는 병자호란 때 오랑캐의 능욕을 피하기 위해 지니고 있던 칼로 자결하였다. 포천에는 12명의 정문을 받은 열녀가 있는데, 그 중 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와 군내면, 화현면에 걸쳐 있는 산. 천주산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과거에 두문산이나 회룡산이라고도 불렸다고 하는데, “두문이란 옛 절은 이제는 터만 남았네. 기암과 고목 그리고 푸른 솔 붉은 단풍 아름답기가 천작이라, 내 오래 이 산에 살고 싶다”고 한 양사언(楊士彦)이 남긴 글에 따르면 과거 이 부근에 두문사라는 절이 있었고, 그로...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과 양주시 회암동 사이에 있는 고개. 천보산 기슭에는 신라 때부터 있던 대사찰인 회암사가 있었는데, 회암 고개라는 지명은 이 절의 이름과 관련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회암 고개의 다른 이름으로 호얌 고개가 있는데, 이 지명은 인근에 있던 호얌사라는 절 때문에 붙은 것이라 전한다. 호얌사는 아마도 회암사의 변형이라 여겨진다. 전승에 따르면 이 호얌사는 절에 빈대...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과 양주시 회암동 사이에 있는 고개. 천보산 기슭에는 신라 때부터 있던 대사찰인 회암사가 있었는데, 회암 고개라는 지명은 이 절의 이름과 관련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회암 고개의 다른 이름으로 호얌 고개가 있는데, 이 지명은 인근에 있던 호얌사라는 절 때문에 붙은 것이라 전한다. 호얌사는 아마도 회암사의 변형이라 여겨진다. 전승에 따르면 이 호얌사는 절에 빈대...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회여(晦汝), 호는 송천(松泉). 우의정 조연(趙涓)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조구(趙緱)이다. 조경(趙絅)의 조카이다. 조위명(趙威明)[1640~1685]은 7세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작은아버지 조경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음보로 세자익위사 부수(世子翊衛司副率)가 되었다가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있는 조선 후기 종실 회평군 이명의 묘. 회평군(懷平君) 이명(李明)[1827~1844]은 본관이 전주(全州)이고, 초명은 이원경(李元慶)이며, 시호는 효민(孝愍)이다. 할아버지는 은언군(恩彦君) 이인(李䄄)이며, 아버지는 전계 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이고, 어머니는 완양 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전주 최씨(全州崔氏)이다. 철종(哲宗)의 이복형이다. 회...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효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녀 이씨」는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효녀 이씨가 자신의 위험을 돌보지 않았다는 효행담이다. 1984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보면, 이씨는 이기(李紀)의 처이다. 그녀가 아직 출가하기 전의 일이었다. 어느 날 그의 어머니를 범이 물고 잡아먹으려 하자, 이...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효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녀 최씨」는 최씨가 아버지에게 닥친 호환을 용기를 내어 물리쳐서 효녀의 정려를 받았다는 이야기이다. 1984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를 보면, 최씨는 첨지 정기(鄭璣)의 처이다. 최씨가 아직 출가하기 전의 일이었다. 어느 날 범이 내려와, 그녀의 아버지를...
-
조선 후기 박세채가 새벽에 포천을 떠나며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효발포천(曉發抱川)」은 조선 후기의 문신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1631~1695]가 길을 재촉하느라 새벽에 포천을 떠나며 지은 한시이다. 「효발포천」은 박세채의 문집 『남계집(南溪集)』 외집(外集) 권(卷) 1에 수록되어 있다. 외집 권 1에는 시(詩)와 소(疏)가 실려 있다. 시는 170여 수가 연대순으로...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효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부」는 착한 며느리가 홀시아버지를 잘 봉양하고 새장가를 들였는데, 새로 온 시어머니가 부자여서 잘 살게 되었다는 효부담이자 행운담이다. 1992년 10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1차 답사 자료집』-포천읍에 수록되어 있다.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포천 문화원에서 간행한 『포천의 설화』에도 전재...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유학자 김평묵이 조상의의 처 함평 이씨의 효행으로 받은 정려에 대하여 지은 기. 「효부 함평 이씨 정려기」는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유학자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黙)[1819~1891]이 1816년(순조 16) 조상의(趙尙義)의 처 함평 이씨의 효행(孝行)에 나라에서 내린 정려(旌閭)에 대하여 지은 기(記)이다. 효부 함평 이씨의 효행은 포천의 유학(幼學)...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효숙(孝叔), 호는 수졸재(守拙齋). 아버지는 연선 부원군(延善府院君) 이국주(李國柱)이고, 어머니는 민침(閔琛)의 딸이다. 이우민(李友閔)[1514~1574]은 1534년(중종 29) 생원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병과 11위로 급제하였다. 1547년(명종 2) 예문관 검열로 첫 관직을 제수 받았고,...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보성 오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자 보성 오씨」는 효자 오백주(吳伯周)[1643~1720] 가문과 관련된 이야기로서, 범바위의 유래를 설명하는 암석 유래담이다. 이외에도 현재 포천 지역에는 「축석령과 오백주」, 「효자 오백주 이야기」 등과 같이 오백주와 관련된 여러 편의 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다. 1992년 10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