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질 공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2175
한자 地質公園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동원

[정의]

지구 과학적으로 중요하고 보전 가치가 높은 지질 명소뿐만 아니라 훼손된 지질학적 관련 지역[폐광산, 절개지, 지질 발생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희귀하고 교육 가치가 높은 지질 명소[Geosite]를 보존·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

[개설]

지질 공원은 지질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고고, 생물 등 지질 명소 주변의 다양한 분야를 함께 활용하고 있다. 지질 공원은 세계 지질 공원망[GGN], 유럽 지질 공원망[EGN], 아시아-태평양 지질 공원망[APGN] 등 네트워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범세계적 지질 유산 보존·활용 프로그램이다.

[지질 공원의 특징]

지질 공원은 유네스코 3대 보호 제도[세계 유산(자연·문화), 생물권 보전 지역, 세계 지질 공원]로 알려져 있으며, 행위 제한이 가장 적고 지질·역사·문화·생태 등 다양한 유산과의 복합체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이다.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다른 보호 제도와 달리 보호와 활용을 조화시키는 제도[용도 지구 설정 및 지역 주민 재산권 제약 없음]이다.

지질 공원의 경계는 분명한 경계선을 갖으며, 행정 구역, 자연적 상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공원 크기는 최소 면적을 제한하지 않으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면적을 요구하고 있다[세계 지질 공원망 기준].

[국가 지질 공원]

국가 지질 공원은 국가적으로 지질학적 중요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국가에서 정하는 기준에 부합되는 활동을 수행하는 지역 지질 공원을 국가에서 인증[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가 인증]하는 공원이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지질 공원[2012. 12. 27.], 울릉도·독도 지질 공원[2012. 12. 27.], 부산 지질 공원[2013. 11. 27.], 강원 평화 지역 지질 공원[2014. 3. 31.], 청송 지질 공원[2014. 3. 31.]이 국가 지질 공원으로 인증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2014년 5월 현재 포천·연천 지역과 광주광역시, 인천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 등 여러 지역에서 국가 지질 공원을 추진 중에 있다.

[세계 지질 공원]

세계 지질 공원이란 세계 지질 공원망[Global Geoparks Network, GGN]의 회원으로 가입된 국가 지질 공원을 말하며, 유네스코의 특별 지원 활동 중 하나이다. 세계 지질 공원망은 2004년 2월에 결성되었으며, 2013년 9월 현재 우리나라의 제주도 세계 지질 공원[2010. 10. 1.]을 포함한 30개국 100개소 세계 지질 공원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 지질 공원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한 후 현지 실사 등을 통해 자격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인증을 받은 후 4년마다 재평가를 통해 회원 자격을 심사받게 된다.

[참고문헌]
  • 한국 지질 공원망(http://www.koreageoparks.kr)
  • 세계 지질 공원망(http://www.globalgeopark.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