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관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2033
한자 地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지관 이야기」 『포천 군지』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0년 - 「지관 이야기」 『포천의 설화』 수록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5년 10월 - 「지관 이야기」 이병찬이 전병호에게 채록
채록지 「지관 이야기」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촌 1리
성격 풍수담
주요 등장 인물 남편|부인|꼬마둥이
모티프 유형 지관 노릇

[정의]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지역에서 지관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지관 이야기」는 돈을 벌어 오라는 부인의 말에 집을 나선 남편은 지관을 잘 대접한다는 부잣집을 찾아가 그 집에서 심부름하는 꼬마의 도움으로 명당자리를 잡아주는 등 지관 일을 계속하여 부자가 되었으나, 끝내 맹인이 되고 말았다는 풍수담이다. 특히 「지관 이야기」의 후반부에서 남자는 꼬마가 떠난 다음에 맹인이 되어 더 이상 지관 일을 못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그의 생명을 보장하기 위한 조처였다.

[채록/수집 상황]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간행한 『포천군지』와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포천 문화원에서 발행한 『포천의 설화』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5년 10월 이병찬이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촌 1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전병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옛날 어느 가난한 부부가 살았다. 그들은 너무 가난하였기 때문에 남의 논에 있는 피를 가져다가 먹고 살았다. 그러던 어느 가을 부인은 남편에게, “배고픈 것이 가장 큰 설움이니 아이들과 배불리 실컷 먹고 죽더라도 오늘 저녁은 벼를 훔쳐서라도 밥을 해 먹어요.”라고 말했다. 아내의 말을 들은 남편은 “그게 소원이라면 그렇게 하지.” 하고는 지게를 지고 남의 논에 가서 볏가리를 지게에다 옮겨 실었다.

그런데 지게를 지고 일어나다가 하늘을 보니 하늘에 별이 총총한 것이 마치 자신에게 벌을 내릴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 볏단을 다 내려놓고 빈 지게를 지고 돌아오게 되었다. 부인은 남편이 벼를 가져오나 해서 창에 구멍을 뚫고 밖을 내다보고 있다가 남편이 빈 지게를 지고 들어오는 것을 보고는 왜 빈 지게로 왔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남편은 “지게에다 볏단을 훔쳐서 짊어지려 하다 보니 하늘에 별이 총총한 것이 금방이라도 불칼이 내릴 것 같아서 도로 내려놓고 왔다오.”라고 말했다. 그래서 그들은 그날 저녁도 굶고 잤다. 다음날 부인은 또 남편에게 하늘에서 벼락이 떨어지더라도 다시 한 번 벼를 훔쳐와 보라고 재촉했다. 남편은 다시 지게를 지고 논으로 향했다. 그러나 하늘의 별을 보는 순간 다시 벌을 받을 것 같은 생각에 그냥 돌아오고 말았다.

그러자 부인은 남편에게 “여보, 우리 동네 박아무개라는 사람은 하늘 천 따지를 몰라도 지관 노릇을 해서 잘 먹고 사는데, 당신은 공부도 그만큼 했으니 지관을 한번 해 보는 것이 어떻겠어요?” 하고 물었다. 그러자 남편은 “지관은 하고 싶으나 쇠가 있어야 하지. 나도 쇠만 있으면 그것 하나 못하겠소?”라고 말했다.

그리하여 부인은 다음날 날이 밝는 대로 박아무개라는 지관의 집에 가서 쇠를 빌려와 남편에게 내어 주며 “제발 나가서 지관 노릇을 해서 돈 좀 많이 벌어 오라”고 하며 내보냈다.

남편은 부인의 등살에 쇠를 허리에 차고 집을 나서기는 했지만 지관 일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다. 그래서 그저 큰길로만 걸어 다녔다. 하루 종일 걷다 보니 어느덧 해는 서편으로 지는데, 돈은 하나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당장 먹고 잘 곳이 없어 막막했다. 어쩔 수 없이 노변의 주막에 들어가 안주인을 불러서는 “오늘 저녁에 하룻밤 자고 갈 수 있느냐”고 물었다. 안주인이 허락을 하여 밥을 먹고 잠은 자게 되었지만, 이번에는 밥값을 주어야 할 것이 걱정이었다. 그런 걱정을 하며 잠깐 잠이 들었는데, 그 사이 주모가 저녁밥을 하려고 나오다가 그 손님이 지관들이 가지고 다니는 쇠를 차고 있는 것을 보았다.

주모는 그 남자가 깨어나자 “당신은 지관이 아니요? 그렇다면 우리 집에서 돈을 주고 잘 것이 뭐 있소. 저 안동네에 가면 권모씨 집이 있는데 거기엔 당신 같은 지관이 수십 명 모여서 공짜로 먹고 자니 당신도 그리로 가는 것이 어떻겠소?” 하고 말했다. 그러자 남자는 마침 돈이 없어 걱정하던 차에 잘 되었다 싶어, 그 집을 찾아가서 주인을 불러 자신이 지관이라 말하고 사랑채로 안내를 받아 들어갔다. 그곳에는 몇 십 명이 되는지 몰라도 지관들이 가득 있었는데, 그들은 대여섯 명씩 구미를 짜 가지고 어느 자리가 명당이라는 둥, 누가 어느 자리를 쓰고 잘 되었다는 등의 얘기를 하고 있었다.

그러는 중에 주인이 고기반찬에 밥을 잘 차려 가지고 왔다. 그는 그것을 실컷 먹고는 한쪽 구석에 기대여 앉아 있다가 잠이 들었다. 주인이 사랑채를 둘러보다 다른 사람들은 다들 무엇인가 얘기하고 있는데, 혼자서 잠을 자고 있는 남자를 보고는 지관들에게 “여러분 미안하지만 당분간 각자 집으로 돌아가서 내가 연락할 때까지 계시오.”라고 말했다. 그리하여 그 남자도 돌아가려고 일어섰다. 그러자 주인이 “당신은 가지 말고 나하고 며칠만 지냅시다.”라며 붙잡았다. 그래서 혼자 남아 며칠 동안 또 대접을 잘 받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 집에서 심부름하는 꼬마둥이가 저녁밥을 가지고 와서는 “내일은 이 집주인이 ‘오늘은 날씨도 좋으니 구경을 갑시다.’ 하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면 당신은 그러자고 대답하고 주인이 좋은 말을 내놓으며 타고 가라 하면 사양하고 당나귀를 타고 가겠다고 하십시오. 그리고 그 당나귀를 제가 인도하게 해 달라고 말하십시오. 당신은 내 말을 들으면 살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죽을 것입니다.” 하고 말했다.

이튿날 아침, 주인이 산 구경을 가자고 하였다. 남자는 어제 꼬마둥이가 말한 대로 꼬마둥이가 인도하는 당나귀를 타고 주인을 따라 나섰다. 길을 나서는데 꼬마둥이가 또, “내가 가다가 말채를 흔들면 주인 보고 ‘여기 경치도 좋고 산세가 좋으니 잠깐 쉬었다 갑시다.’ 하고 말하고 말에서 내려 서 있다가, 내가 말에게 풀을 뜯기다가 말채를 내려놓으면 ‘네가 뭘 안다고 그러냐. 저기 가라’고 호통을 치고 주인에게 ‘이곳이 바로 당신이 찾던 매화락지요.’라고 말하십시오.”라고 시키는 것이었다. 남자는 꼬마둥이가 시키는 대로 하였다.

그러자 주인이 산세를 둘러보더니 “아, 이제 되었다. 이곳이 틀림없는 매화락지요. 이렇게 가까이 두고 수십 년간을 못 찾았다니…….” 하며 기뻐하였다. 그리고 남자에게 돌아가지 말고 함께 살 것을 청했다. 그리하여 남자는 주인의 호의를 떨쳐 버리지 못하고 몇 년간을 거기서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 꼬마둥이가 와서 또 “내일은 ‘애들도 보고 싶고, 마누라도 보고 싶고, 집안이 궁금하니 집에 가겠소.’라고 말하시오. 주인이 못 가게 말리거든 ‘내가 갔다가 또 오더라도, 가야겠소.’라고 하면 주인이 큰 말에 비단이니 음식이니 돈을 잔뜩 실어 줄 것입니다. 그러면 ‘그런 것 다 싫다.’ 하고 꼬마둥이가 이끄는 당나귀를 타고 가겠다고 말하십시오.”라고 하는 것이었다.

다음날 남자는 꼬마둥이가 시킨 대로 하고 길을 떠나게 되었는데, 한참을 가다 그 꼬마둥이가 하는 말이 “여기서 한 20리를 가면 서울서 정승들이 나와 사초를 하고 있는 곳이 있는데, 그러면 큰소리로 ‘시체 없는 무덤에 사초를 하면 무엇하나?’라고 말하십시오. 그 정승들이 ‘네가 어찌 아느냐. 시체가 있으면 당신의 목을 자른다고 할 것이고, 없으면 시체 있는 곳을 가르쳐 달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면 가르쳐 주는 대신 천 냥을 달라 약속을 하고, 내가 가르쳐 준 자리를 파십시오. 그 자리에 시체가 있을 것입니다.”고 하였다.

그 얘기를 듣고 조금 가다 보니 정말 정승들이 사초를 하고 있는 곳이 나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 정승들에게 소리칠 용기가 나질 않았다. 그리하여 주저하고 있는데, 꼬마둥이가 말채를 들고 돌아보는 것이 마치 호랑이가 말채를 들고 돌아보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내가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생각에 꼬마둥이가 시킨 대로 호통을 쳤다. 그리하여 꼬마둥이가 가르쳐 준대로 천 냥을 받고 시체를 찾아 주고, 또 천 냥을 더 받고 명당자리까지 가르쳐 주었다. 그러고 나서 산등성이를 넘어오는데 꼬마둥이가 쉬어 가자고 했다. 큰 바위에 앉아 쉬면서 꼬마둥이가 말했다.

“나는 북두칠성님이 당신에게 가서 먹고 살게 도와주고 부자로 만들어 놓고 오라는 명을 받아 내려온 신이오. 오늘 당신이 집에 가면 벌써 부자가 되어 있을 것이고, 집안 식구들도 잘 살고 있을 것이오. 그러면 방에 들어가서 눈 둘만 내다보일 만큼 구멍을 뚫고 앉아 바깥을 보시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죽을 것이오.”

꼬마둥이는 말을 마치고 온 데 간 데 없이 사라져 버렸다. 남자가 집에 돌아와 보니 정말 자기 집안이 부자가 되어 있었다.

그런데 꼬마둥이가 시킨 대로 문에 구멍을 뚫고 밖을 내다보는 순간 맹인이 되어 버렸다. 그 남자가 유명한 지관이라는 소문이 온 나라 안에 퍼져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아 좋은 자리를 찾아 달라고 하였을 때, 맹인이 된 그는 더 이상 지관 노릇을 할 수가 없었다. 이것은 그가 지관 일에 관하여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꼬마둥이가 떠난 뒤에 앞으로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명당자리를 찾아 달라고 부탁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모티프 분석]

「지관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지관 노릇’이다. 「지관 이야기」는 우리나라 각지에 널리 유포되어 전하는 지관 모티프에 “착하게 살면 하늘이 돕는다.”는 천우신조(天佑神助)의 사상이 연결된 작품이다. 착한 심성의 소유자가 하늘의 도움으로 부자가 되는 「지관 이야기」는 전문적인 이야기꾼의 솜씨를 잘 보여 주는 이야기로서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