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증정군유백운산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29
한자 贈鄭君遊白雲山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흥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95년 - 「증정군유백운산수」 저자 허목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82년 - 「증정군유백운산수」 저자 허목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92년 무렵 - 「증정군유백운산수」를 수록한 『기언』 간행
배경 지역 백운산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성격 한시
작가 허목

[정의]

조선 후기 허목영평현백운산에 유람을 가는 정 선생에게 보낸 한시.

[개설]

「증정군유백운산수(贈鄭君遊白雲山水)」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미수(尾叟) 허목(許穆)[1595~1682]이 영평현(永平縣)에서 동쪽으로 24㎞ 정도 떨어진 지점의 백운산(白雲山)으로 유람을 가는 정(鄭) 선생에게 보낸 한시이다. 「증정군유백운산수」허목의 문집 『기언(記言)』 권(卷) 63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증정군유백운산수」[백운산의 산수를 유람하러 가는 정 선생에게 보냄]의 제목 옆에는 “용주옹상여아유우경백운지약(龍洲翁嘗與我有耦耕白雲之約) 금송군(今送君) 증고풍일수(贈古風一首) 시회(示懷)[일찍이 용주(龍洲) 조경(趙絅)[1586~1669] 어르신과 더불어 나란히 백운 계곡에서 농사짓자고 약속하였기에 지금 정 선생을 보내며 고풍(古風)체 한시 한수를 보내어 소회(所懷)를 보인다]”라는 주석이 달려 있다. 용주 조경과 같은 남인과 어울리는 영평 백운산에 대한 허목의 추억을 보여 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송군백운산수유(送君白雲山水遊)[백운산에 유람 가는 그대를 전송하며]

어군백운산수기(語君白雲山水奇)[그대에게 백운산의 아름다움을 말하리]

산지석뢰뢰(山之石礧礧)[백운산의 바윗돌 울툭불툭 나오고]

산지수의의(山之水漪漪)[백운산의 계곡물 잔잔히 흐른다네]

산중지인다고기(山中之人多古氣)[백운산의 사람들 예스러운 기운이 많아]

서리자족무쟁기(鋤犁自足無爭欺)[농사로 만족할 뿐 다른 욕심 없어라]

아차종지간뢰사(我且從之簡耒耜)[나도 또한 따르고자 농기구를 챙겼다가]

원추저닉궁년추(遠追沮溺窮年推)[장차 노년에 접어들면 천천히 따르리]

[의의와 평가]

영평의 백운산 자락은 산수가 아름다워 수많은 사대부들이 살고자 꿈꾸던 곳이다. 그러하기에 허목조경과 함께 백운 계곡에서 농사짓자고 약속을 하였을 것이다. 「증정군유백운산수」는 이러한 백운산 자락의 아름다운 풍경과, 그곳 사람들의 인심을 잘 보여 주며, 나아가 같은 남인으로서의 허목조경의 친분도 보여 주는 한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