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만허포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880
한자 挽許抱川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흥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0년 - 「만허포천」 저자 이준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 「만허포천」 이준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5년 - 「만허포천」 저자 이준 사망
성격 한시
작가 이준

[정의]

1632년 이준이 포천 현감 허교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만허포천(挽許抱川)」은 조선 후기의 문신 이준(李埈)[1560~1635]이 1632년(인조 10) 포천 현감(抱川縣監)에 부임하여 1636년(인조 14)까지 재직한 허교(許喬)[1567~1632]의 죽음을 애도하여 지은 한시이다. 「만허포천」은 이준의 문집 『창석집(蒼石集)』가운데 「창석선생속집」권(卷) 1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추산잠희별회개(秋山暫喜別懷開)[가을 산세에 잠깐 기뻤으나 이별의 회한이 펼쳐지네]

흉부나지격월애(凶訃那知隔月哀)[달과 멀어지는 슬픔을 흉한 부고는 어찌 알까]

정결칠주민리복(政潔七州民吏服)[청렴하게 다스려서 일곱 고을의 백성과 아전들이 복종했지만]

명궁일석귀신시(命窮一夕鬼神猜)[귀신이 시기하여 하룻밤에 수명을 다했네]

영교허연진간체(寧敎許椽塵間滯)[]

요상정양해상회(遙想旌陽海上回)[멀리 정양(旌陽)[중국 위진 남북조 진나라의 선인(仙人)]이 바다 위를 순회한 일이 생각나노니]

적선저간여경원(積善佇看餘慶遠)[선을 쌓고 기다려 보면 기대 이상의 경사가 많아서]

명주슬하유삼매(名珠膝下有三枚)[이름난 구슬이 무릎 아래에 세 점이나 생긴다네]

[특징]

「만허포천」「구포천만」과 함께 포천 현감을 역임했던 인물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로 당시 사대부 문화의 한 형태를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