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50
한자 半月山城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
시대 선사/청동기 시대
집필자 김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반월산성 유적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포천 반월성 발굴 조사 중 발견
현 소재지 반월산성 유적 - 군내면 구읍리 산 5-1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단국대학교 사학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26
성격 유적
관련 인물 이성구(李聖求)
소유자 국유[포천시]
관리자 포천시
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

[정의]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반월산성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로 추정되는 유적.

[개설]

반월산성(半月山城)은 해발 284.5m의 청성산(靑城山)에 축조된 반월형의 테뫼식 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1,080m이다. 전체적인 형상이 반달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서 반월산성이라고 불리는데, 포천 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에 있는 산성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다.

[건립 경위]

1995년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반월산성 1차 발굴 조사를 할 때 장대지에서 3동의 건물 터가 확인되었다. 그중에서 동편의 건물 터 부근에서 민무늬 토기 조각과 어망추가 출토되었다. 또한 헬기장 주변의 건물 터인 가-7트렌치에서 홈자귀가 출토되었고, 라-2트렌치에서는 어망추, 라-3트렌치에서는 방추차가 출토되었다.

[위치]

포천읍에서 동쪽으로 포천천을 건너 지방도 325호선을 따라가면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가 나오고, 여기에서 군내 면사무소 옆으로 포장도로를 따라 성 내부까지 오를 수 있다. 반월산성 유적(半月山城遺蹟)청성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지는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산5-1번지이다.

[형태]

출토된 주요 유물들을 보면, 홈자귀는 날 부분이 넓고, 배 부분에는 둥근 홈이 남아 있다. 가로 단면은 등 쪽이 둥근 터널 형태이며, 날 부분에는 사용한 흔적이 잘 남아 있다. 암질은 개차돌이고, 크기는 길이 10㎝, 너비 3.5㎝, 두께 3.3㎝이다.

어망추는 중앙부에 약간 볼록한 원통형으로 중앙에 지름 0.8㎝의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현상으로 보아 한쪽 방향에서 관통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표면은 매끄럽게 다듬었는데, 군데군데에 손가락으로 누른 흔적이 있다. 태토는 가는 모래가 섞인 점토이고, 적갈색의 경질 어망추이다. 규모는 길이 5.2㎝, 지름 3㎝이다.

방추차는 원형으로 중앙에 지름 1.2㎝의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데, 현상으로 보아 양쪽 방향에서 관통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양 단면 중에서 한 면은 곱게 정선하였으나, 다른 면은 거칠게 조성하였다. 태토는 가는 모래가 섞인 점토이고, 황갈색의 경질 방추차이다. 규모는 지름 4.3㎝, 높이 1.3㎝이다.

[현황]

반월산성은 1994년 지표 조사를 한 후에 1995년부터 1차 발굴 조사를 하여 2001년까지 여섯 차례의 발굴 조사와 두 차례의 성벽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백제에 의해 축성되어 삼국 시대는 물론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활용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 사적 제403호로 지정되었는데, 반월산성 유적도 이에 의하여 정비 보호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반월산성 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토기 조각과 어망추 등이 출토되어, 반월산성이 축조되기 이전부터 포천 지역에는 사람들이 살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