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척재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697
한자 惕齋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척재집』 등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척재집』 영인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문헌|전적
저자 이서구(李書九)
간행자 조선총독부 중추원|오성사
권책 16권 8책[1932]
규격 29.0×20.5㎝

[정의]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서구의 시문집.

[저자]

이서구(李書九)[1754~1825]는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이원(李遠)의 아들이자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외손이다. 조선 후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이다.

외할머니에게서 자랐고, 외숙에게 당시(唐詩), 『사기(史記)』·『통감(通鑑)』 등을 배웠다. 16세 때 박지원(朴趾源)을 만나 문장을 배웠고, 시문과 금석(金石)·육서(六書) 등을 읽었다. 1774년(영조 50) 가을 문과정시에 급제하여 시강원 사서, 홍문관 교리, 한성부 판윤, 평안도 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문자학(文字學)과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었다.

한 번도 연행(燕行)에 오르지 않았으나, 홍대용(洪大容)과 박지원의 문하에 출입하며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실학자들과 교유하면서 현실 문제, 조선의 역사와 자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2세 때 이덕무 등과 함께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참여하여 ‘사가시인’ 또는 ‘실학 사대가(實學四大家)’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이서구의 5세손 이순용(李淳鎔)이 소장한 사본(寫本)을 1932년 조선 총독부 중추원에서 등사하였다. 또 이를 저본으로 1986년에 오성사(旿晟社)에서 2책으로 영인하였다.

[형태/서지]

원집 16권과 연보를 합해 8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사본[1932]의 크기는 29.0×20.5㎝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서문과 발문은 없다. 권1은 오언 절구와 육언 절구 21수, 칠언 절구 84수, 권2는 오언 고시 63수, 권3은 칠언 고시 24수, 오언 율시 111수, 칠언 율시 81수가 수록되어 있다.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며 지은 시들이 많은데, 「송이무관수초재심장염조입연(送李懋官隨蕉齋沈丈念祖入燕)」은 심염조(沈念祖)의 수행원으로 연경에 가는 이덕무를 전송하며 지은 시이다.

권4~6은 소계(疏啓) 81편과 주의(奏議) 6편인데, 소계의 대부분은 사직 상소이다. 그중 「논이가환사사우승지소(論李家煥事辭右承旨疏)」는 1793년(정조 17) 이가환(李家煥)이 그의 종조부 이잠(李潛)의 신원을 청한 일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권7은 대책(對策) 3편인데, 「문체책(文體策)」은 문체의 변화는 세도(世道)의 쇠퇴와 융성에 달려 있으니, 현재의 당면 과제는 문체를 순정(醇正)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세도를 부양하기 위해 성학(聖學)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내용이다.

권8은 명(銘) 2편, 찬(贊) 2편, 서(書) 25편, 변(辨) 2편, 서(序) 3편, 기(記) 1편, 제(題) 3편, 발(跋) 3편, 잡지 1편이다. 그중에는 연경의 태학(太學)에 있는 석고(石鼓)를 주제로 지은 「석고서(石鼓序)」, 정조에게 『상서(尙書)』를 강독하면서 기록한 글을 모아 엮은 『상서강의』에 붙인 「상서강의서(尙書講義序)」 등이 있다. 권9는 제문 24편, 행장 1편, 묘표 1편, 묘지 9편, 묘갈 2편, 전(傳) 1편, 잡저 2편이다. 권10~15는 상서 강의(尙書講義), 권16은 시강의(詩講義), 중용 강의, 논어 강의이며, 아들 이시영(李蓍永)이 쓴 연보가 별도로 있다.

[의의와 평가]

이덕무·유득공·박제가와 함께 후사가(後四家)의 하나인 이서구의 문집으로, 18~19세기 시단(詩壇)의 모습과 함께 중국 문인과의 교유 및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