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식물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022
한자 植物相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이소희

[정의]

경기도 포천지역에 서식하는 식물의 종류상.

[개설]

포천시는 경기도 동북쪽에 위치하여 강원도와 접경을 이루고, 남서쪽은 의정부시에 접해 있으며 시내에 소재하는 광릉 시험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보호된 산림의 보고(寶庫)로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포천시 광릉 시험림은 일제 강점기에 설립한 것으로, 그 면적은 1913년 설립 당시 2,286㏊이었으나 그 후 주변의 국유림을 편입시켜 1939년에는 2,302㏊로 늘어났다. 1941년에는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소재의 산림 105㏊를 서울의 시험림 일부와 교환하여 2,406㏊로 증가하였다가 1965년에는 용도 폐기 등으로 2,313㏊로 다시 감소하였다. 1980년대에는 시험림에 인접한 임자 없는 임야(林野)를 흡수하였고, 그 후 1986년 남양주군 진접면 내각리 소재의 임야 115㏊를 국방부로 이관하고 대토(代土)로 35㏊를 인수하였다.

1988년에는 임업 연수원 부지로 6.7㏊를 이관하고 개재지(介在地)[사이에 끼어 있는 땅]를 교환하는 등 면적이 변동되어 1990년에 이르러 2,235㏊로 면적이 감소되었다가 1993년에는 임업 연수원에서 관리하던 남양주군 화천면 율정리 소재의 시험림 5㏊를 중부 임업 시험장으로 이관함에 따라 1993년 말 2,240㏊가 되었다.

포천시에는 광릉 시험림에 속하는 죽엽산[竹葉山][600m]과 수리봉[蘇利峯][536m]이 있어서 두 산 사이에 시험 모표 및 수목원 등 각종 시설이 있으며, 왕방산[737m], 해룡산[661m], 청성산[289m], 불정산[585m], 주금산[813m], 운악산[935m], 천주산[424m], 종현산[588m], 관모봉[585m], 금주산[569m], 원통산[567m], 국사봉[1,168m], 강씨봉[830m], 명성산[922m], 불무산[644m], 은장산[456m], 보장산[585m] 등 산지가 많이 발달하여 있다.

포천시에서 가장 북동쪽에 위치한 백운산(白雲山)[840m]은 일대의 세 봉우리[죽엽산·수리봉·백운산] 중에서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6·25 전쟁 이전에는 북한에 속해 있었으며, 과거에는 자연림으로 덮여 있었으나 6·25 전쟁을 전후하여 격심하게 파괴되어 원시적인 자연림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현재는 대부분이 낙엽 활엽수의 2차림(二次林)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백운산 서쪽 비탈면 일부와 동쪽 비탈면의 상당히 넓은 부분에는 거의 극상림(極相林)에 가까운 숲이 아직 남아 있다.

죽엽산 일대의 광릉 시험림은 우리나라 삼림대(森林帶)의 온대 중부에 속한다. 소나무, 전나무 등의 침엽수와 참나무류, 서어나무, 단풍나무류, 물푸레나무 등의 낙엽 활엽수가 혼생하는 천연림으로 발달하여 오다가 1913년에 시험림지로 제정됨에 따라 1916년 처음으로 인공 조림을 하였다. 1929년 제1차 경영단이 편성된 후에 임상을 개량할 목적으로 잣나무, 낙엽송, 잎갈나무, 전나무, 리기다소나무, 방크스소나무 등의 침엽수 인공 조림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리봉 주변 지역 약 347㏊ 숲은 우리나라 온대 활엽수림의 극상림으로 시험림 설정 당시 학술 보존림으로 지정하여 자연 상태를 유지하여 왔다. 현재까지 비교적 보존이 잘 유지하고 있어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국내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학술 연구 보존림을 제외한 지역의 대부분은 여러 시험을 위한 조림이 이루어졌으며, 1990년에는 변화된 시험림의 임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항공 사진 촬영과 현지 조사를 통한 소반(小班)[산림 경영의 편리를 위하여 임시로 세분한 구역] 재조정과 각 임소반에 대한 임상도(林相圖)를 작성하였다. 1993년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임종별 면적과 구성비는 천연림이 1,200㏊로 54%이었으며, 인공 조림 면적이 986㏊로 44%이었고, 시험림 및 수목원 관리를 위한 지역은 37㏊로 2%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 조사 현황]

포천 지역의 산지를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수리봉

1997년 전승훈과 석동임에 의한 광릉 수리봉의 자연 환경 생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수리봉에 분포하는 식물종은 61과 120속 161종[147종, 13변종, 1품종]이 조사되었다. 특히 포천 국립 수목원이 위치한 수리봉 북쪽 비탈면 산기슭에는 기후, 지형적 조건으로 식물 종 다양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간섭으로부터 오랫동안 보호되었기 때문에 식생학적으로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식물 종으로는 가래나무, 산벚나무, 고로쇠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음나무, 은방울꽃, 당단풍, 당개지치, 풀솜대, 피나물, 큰개별꽃, 애기나리, 삿갓나물, 벌깨덩굴, 앵초, 큰괭이밥, 회잎나무, 남산제비꽃, 으름덩굴 등이 있었다.

광릉 학술 보존림 구역 내 해발 고도 200~300m 지점에는 졸참나무를 우점종으로하는 극상림이 발달하고 있으며 서어나무, 까치박달, 팥배나무, 산벚나무, 풍게나무, 층층나무,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음나무, 고로쇠나무, 복자기, 물푸레나무, 국수나무, 참개암나무, 노린재나무, 생강나무, 덜꿩나무, 개옻나무, 작살나무, 참회나무, 단풍취, 대사초, 잣나무 어린 나무, 애기나리, 선밀나물, 피나물, 우산나물, 다릅나무 어린 나무, 참나물, 광릉골무꽃, 천마, 나나벌이난초, 더덕, 은방울꽃 등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용암리에서 수리봉 정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경우, 해발 고도 200m 이하의 저지대에는 상수리나무·전나무·물푸레나무·고로쇠·당단풍·까치박달이 우점하고 있으며, 소나무도 생육하고 있지만 주변 활엽수가 확대되면서 점차 고립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본 식물로는 노랑물봉선·앉은부채·천남성·큰애기나리·노루오줌·은방울꽃·참반디 등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고, 해발 고도 300m부터는 서어나무림이 우점하며, 졸참나무·신갈나무·팥배나무·쪽동백나무·산가막살·삽주·서덜취·둥굴레·은대난초·자난초·원추리 등이 함께 출현하는 군집들이 있다.

해발 고도 400m 이상 정상부 능선에는 신갈나무·서어나무·굴참나무·까치박달이 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음나무와 잣나무의 치수(穉樹)[어린 나무]를 비롯하여 쪽동백나무·바위말발도리·말나리·비짜루 등이 하층에 출현한다. 정상부에는 산벚나무, 때죽나무, 조록싸리, 병꽃나무, 작살나무, 다릅나무, 개옻나무, 신갈나무 등이 숲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명성산

1999년 김영동과 김성희에 의하여 작성된 명성산과 인근 산지의 자연 환경 생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명성산에 생육하는 관속 식물은 91과 258속 345종 63변종 8품종으로 총 416분류군이 조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양치식물은 7과 10속 15종, 나자 식물은 2과 5속 7종, 피자 식물 중 쌍떡잎식물은 81과 196속 267종 51변종 7품종, 외떡잎식물은 11과 47속 62종 12변종 1품종으로 합계 69분류군이었다.

명성산의 식물상을 가장 대표할 만한 장소는 산정 호수에서 산안 고개에 이르는 남쪽 비탈면과 주능선 일대이며, 이 지역에서 명성산 전체 식물종의 약 60%가 확인되었다. 이 지역은 물이 많아 습하여 굴참나무·신갈나무·생강나무 등의 군락이 있는 자인사 일대, 그리고 국수나무와 신갈나무 등이 많은 산정 호수 지역을 포함한다. 특히 약사령에서 내약사동에 이르는 계곡 일대는 군부대가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적어 비교적 식물상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성산은 기본적으로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명성산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명성산의 북측에 해당하는 철원군 갈말읍 싸리골 일대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매자나무 군락이 존재하고, 여우 고개에서 여우봉에 이르는 남쪽 비탈면 해발 고도 400m 지역에서는 소나무가 순림을 형성하고 있으며, 삼각봉 일대의 칼날과 같은 암봉과 안덕재에서 내려오는 분지에는 대규모 억새풀 밭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산정 호수부근에는 느티나무, 쪽동백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물푸레나무 등의 목본류와 꿀풀, 골무꽃, 다래, 괭이사초, 붓꽃 등의 초본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자인사 입구 굴참나무림에는 양치식물인 넉줄고사리·그늘개고사리·개고사리·족제비고사리와 나자 식물인 소나무, 피자 식물인 자작나무·산뽕나무·붉나무·작살나무·물푸레나무·피나무·둥굴레·하늘나리·참반디·물봉선·왕머루·향유·배초향·산씀바귀·수리취·우산나물·쥐꼬리새 등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봉 일대에는 노린재나무·들메나무 등이 있었으며, 남산제비꽃·외제비꽃·나도송이풀·당잔대·방아풀·송장풀·쉽사리·쇠서나물·구절초·자주쓴풀·파란여로·산부추를 확인하였다. 산정은 초지로 억새밭을 이루고 있었으며, 등룡 폭포 일대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혼합림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물가 바위틈에 잔털제비꽃·돌단풍·미치광이풀·진달래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여우골 여우 고개 일대에는 일본잎갈나무가 조림되어 있었고, 국수나무·꼬리조팝나무·산초나무·참싸리·돼지풀·각시취·엉겅퀴·고들빼기·맑은대쑥·원추리 등이 조사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여우 고개에서 여우봉에 이르는 등산로에는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혼합림을 이루고 있었으며, 자귀나무·칡·층층나무·곰딸기·메꽃·까마중 등의 단순한 식생이 확인되었다. 여우봉 일대는 소나무림과 초지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노루발·산부추·억새 등의 생육이 확인되었고, 덕재골 일대에서는 바위고사리·좀깨잎나무·참오동나무·쪽동백나무·박주가리·환삼덩굴·마디풀·며느리밑씻개·명아주·서양말냉이·속속이풀·산딸기·중대가리풀·돌피·민하늘지기 등이 보고되었다.

소나무·조팝나무·병꽃나무 등이 많은 약사령 일대는 비교적 습한 지역으로, 양치식물인 구실사리·개고사리·관중·십자고사리·잔고사리·황고사리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현화 식물인 매자나무, 산철쭉, 물참대, 바위말발도리, 야광나무, 층층나무, 홀아비꽃대, 선밀나물, 병조희풀, 회리바람꽃, 노루오줌, 피나물, 익모초, 새끼꿩의비름, 개감수, 딱지꽃, 담쟁이덩굴, 등골나물, 개미취, 얼레지, 처녀치마, 은방울꽃, 족도리풀 등이 자라고 있었다.

내약사동 일대에서는 신갈나무림과 매자나무림이 혼재하고, 백당나무·눈괴불주머니·괭이밥·까치수영·기름나물·용담·갈퀴나물·마타리·원추리·산부추·여뀌·짚신나물·큰꼬리새·새포아풀이 채집된 바 있으며, 약사동에서 삼각봉을 잇는 도로와 외약사동에서 명성산의 능선을 잇는 군부대 도로 건설은 도로 침하와 산사태로 주변 식생의 파괴가 우려되었다.

산정 호수에서 산안 고개에 이르는 도로에는 소나무·리기다소나무·잣나무가 도로의 좌우측에 식재되어 있었으며, 조팝나무·고광나무·고추나무·붉나무·풀싸리·꽃마리·애기수영·왕미꾸리광이·애기똥풀·제비꽃·졸방제비꽃·할미밀망·곰딸기·삼지구엽초·흰바디나물·왕머루·돌나물·며느리밥풀꽃·달맞이꽃·가는쑥부쟁이·오이풀·돌피·산쑥·큰구슬붕이·까치수영·잔대·단풍잎돼지풀·층층이꽃·조개나물·무릇·원추리·각시둥글레·김의털·수크령·오리새·참억새 등이 확인되었다. 산안 고개에서 명성산에 이르는 등산로에는 노간주나무, 뽕나무, 함박꽃나무, 붉은병꽃나무, 노린재나무, 꽃마리, 털장대, 뫼제비꽃, 큰개별꽃, 세잎양지꽃, 쥐오줌풀, 둥글레가 생육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3. 운악산

2002년 이현우와 노환춘에 의하여 보고된 운악산의 자연 환경 생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운악산의 식생은 주능선을 중심으로 보존된 자연 식생으로서 소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상수리나무 군락 및 활엽수 혼효림과 대상 식생[substitute vegetation]으로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잣나무 조림지, 밤나무 조림지, 아까시나무 조림지 등이 있었다. 신갈나무 군락은 조사 지역의 대표적인 식생으로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의 경우 수령 10~15년인 신갈나무를 비롯하여 굴참나무·산벚나무·물푸레나무·생강나무·당단풍·개옻나무 등이 교목 및 아교목층을 형성하고, 소나무 군락은 하천 변의 전석지(轉石地) 또는 산 정상과 능선을 따라 잔존림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상수리나무 군락은 민가 주변에 출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청계천, 조종천 등 하천의 호안을 따라서 버드나무, 갯버들, 달뿌리풀 등이 군생하고 있으며, 골풀, 갈대, 물억새, 여뀌, 환삼덩굴, 달맞이꽃, 강아지풀, 바랭이, 망초, 개망초, 황새냉이,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닭의장풀, 국수나무, 돌단풍, 바위떡풀 등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구 입구에서 운악산 현등사 구간에는 산민들레, 개별꽃, 알록제비꽃, 산꿩의다리, 대사초, 현호색, 도깨비부채, 고깔제비꽃, 노루삼, 나도개감채, 산괴불주머니, 큰괭이밥, 콩제비꽃, 족도리풀, 꽃다지, 양지꽃, 말냉이, 돌단풍, 족제비고사리, 황새냉이, 꽃마리, 각시붓꽃, 처녀치마, 당단풍, 만주고로쇠, 귀룽나무, 올벚나무, 왕버들, 눈갯버들, 참회나무, 신갈나무, 돌배나무, 매화말발도리, 진달래, 산철쭉, 딱총나무, 노랑물봉선, 곰딸기, 며느리밑씻개, 꼭두서니, 모시대, 주름조개풀, 멸가치, 뱀딸기, 영아자, 담쟁이덩굴, 파드득나물, 이삭여뀌, 큰도둑놈의갈고리, 고사리, 둥굴레, 등골나물, 비짜루, 참반디, 개박하, 산꿩의다리, 잔고사리, 산딸나무, 붉나무, 좀깨잎나무, 산새풀, 용수염,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관중, 고사리삼, 눈빛승마, 작살나무 등이 출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운악산 현등사 인근 능선부에는 애기나리, 참취, 애기며느리밥풀, 며느리밥풀꽃, 참으아리, 뚝갈, 미국쑥부쟁이, 삽주, 금마타리, 부추, 우산나물, 마타리, 바위채송화, 돌양지꽃, 파리풀, 용수염, 긴잎갈퀴, 겨이삭, 큰기름새, 새, 기름나물, 각시원추리, 개갈퀴, 담배풀, 노간주나무, 신갈나무, 작살나무, 노린재나무, 산초나무, 참싸리, 참회나무, 고로쇠나무, 물박달나무, 미역줄나무, 십자고사리, 독보리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악산 능선의 서측으로 운주사에서 청룡암 구간에는 수영·개다래·미나리냉이·새모래덩굴·까치수영·홀아비꽃대·산개고사리·닭의장풀·으아리·닭의덩굴·큰개별꽃·노루오줌·며느리밑씻개·바위채송화·밤나무·측백나무·작살나무·신갈나무·노린재나무·국수나무·떡갈나무·구실사리·털중나리·하늘말나리·초롱꽃·은방울꽃·개옻나무·참회나무·철쭉·노린재나무 등이 있으며, 대원사 부근에는 개사상자·고비·덤불쑥·미국쑥부쟁이·질경이·모시물통이·새삼·단풍잎돼지풀·그늘돌쩌귀·붉은대동여뀌·진득찰·주름조개풀·향유·사철쑥·길뚝개꽃·산씀바귀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운악산 북측의 노체 고개 부근의 비포장도로를 따라 백령풀, 도라지, 털갈매나무, 싸리, 달뿌리풀, 참억새, 가는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 마타리, 미국미역취, 방아풀, 자주방아풀, 용담, 청미래덩굴, 미국가막사리, 매발톱나무, 미꾸리낚시, 흰꽃여뀌, 여뀌, 환삼덩굴, 지칭개, 바랭이,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 족제비싸리, 길뚝사초, 괭이밥, 소리쟁이, 벌완두, 애기똥풀, 명아주, 꿩의밥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악산의 귀화 식물로는 닭의덩굴, 말냉이, 달맞이꽃, 백령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길뚝개꽃,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실망초, 망초, 미국미역취, 독보리, 큰조아재비 등이 조사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8.09 행정동 명칭 현행화 가평군 하면 하판리 ->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