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000320
한자 景明鄕
영어공식명칭 Gyeongmyeong-hyang
이칭/별칭 영명(榮明)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정 시기/일시 1409년 - 경명향 전주부에 편입
관할 지역 경명향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지도보기

[정의]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일대에 설치되었던 특수행정구역.

[개설]

경명향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내에 있었던 특수행정구역이었으나, 경명향 치소는 어디였는지 알 수 없다.

[제정 경위 및 목적]

경명향은 특수행정구역으로 설치되었으며, 전주관내에는 경명향(景明鄕)과 제견향(堤見鄕)이 있었다.

[관련 기록]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鄕二, 景明、 [一云榮明.] 堤見. 所二, 豆毛村、陽良. [太宗九年, 以都觀察使尹向陳言, 道內縣鄕所部曲, 皆合于本官. 今錄古屬者, 以備後日之稽考耳. 後皆倣此.]”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진산군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珍山郡 [중략] 越境, 全州古任內景明鄕 陽良所之地越高山 雲梯五十一里, 入郡西.”

『여지도서』 보유편 전라도 완산지 고적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景明鄕(一云榮明 在府北一百二十里) 陽良所(在紆州東北 右陽村鐵所)”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33권, 전라도 전주부, 고적조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경명향(景明鄕) 영명(榮明)이라고도 한다. 부의 북쪽 1백 20리에 있다. 양량소(陽良所) 우주(紆州)의 동북쪽, 즉 우양촌(右楊村) 철소(鐵所)에 있다.”

『대동지지』 전주 방면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경명향(景明鄕)·북일백(北一百)·두모촌(豆毛村)은 이성(利城) 땅이다.”

『반계수록』 보유 권1, 군현제, 각읍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全州之景明鄕.當入高山”

『완산지』 성씨 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金林裵印(景明)”

[내용]

경명향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내에 있었던 향이다. 전주부[전라북도 전주시]에서는 북쪽으로 120리 떨어진 곳에 있었다. 경명향은 조선 시대 고산현의 북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월경지였다. 『세종실록지리지』 진산군(珍山郡)[현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일대]조에는 군의 서쪽에 경명향양량소가 있었다고 되어 있다. 경명향양량소는 1409년(태종 9)에 관찰사 윤향(尹向)[재임 1407~1409]의 진언으로 전주의 직촌으로 편성되었다. 『완산지』에는 경명의 성씨로 김(金), 임(林), 배(裵), 인(印)을 기록하고 있다. 유형원은 『반계수록』에서 월경지(越境地)를 정리해 경명향을 고산에 편입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명향 치소는 현재 어디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변천]

경명향은 1409년(태종 9) 전주부에 편입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