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702
한자 裵克紹
영어공식명칭 Bae Geukso
이칭/별칭 내휴(乃休),묵암(默庵)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19년연표보기 - 배극소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50년 - 배극소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851년 - 김익동·배극소 『상제의집록』 저술
몰년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배극소 사망
거주|이주지 배극소 거주지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배극소 은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묘소|단소 배극소 묘소 - 경상북도 영천군 대창면 용전리
성격 학자
성별
본관 분성
대표 관직|경력 생원

[정의]

조선 후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학자.

[개설]

배극소(裵克紹)[1819~1871]는 류치명(柳致明)의 문인으로 생원시에 합격했으며, 김익동(金翊東)과 함께 『상제의집록(喪祭儀輯錄)』을 편찬하였다.

[가계]

배극소의 본관은 분성(盆城), 자는 내휴(乃休), 호는 묵암(默庵)이다. 아버지는 배상관(裵相觀), 할아버지는 배찬경(裵燦褧), 증조할아버지는 배진방(裵鎭邦), 어머니는 박항돈(朴恒敦)의 딸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며, 부인은 조선국(曺善國)의 딸 창녕 조씨(昌寧曺氏)이다. 배극소의 선대는 청도 지방에 세거하다, 할아버지 배찬경 대에 하양현(河陽縣) 낙산(樂山)[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일대]으로 이거하였다.

[활동 사항]

배극소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가학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성장해서는 동향의 유학자 김익동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1845년(헌종 11)에는 류치명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1849년 고을의 낙육재(樂育齋)에 발탁되었는데, 동학 중 사표(師表)로 추앙받았다. 1850년(철종 1) 철종의 즉위 기념으로 치러진 증광감시복시(增廣監試覆試)에서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그러나 주위의 기대와 달리 관직에는 뜻을 두지 않고 향촌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주력하였다.

1852년(철종 3) 하양에 선조 배원우(裵元佑)·배응남(裵應男)을 기리는 묘우(廟宇)가 건립되자, 이곳에서 후진들을 교육하였다. 1855년(철종 6) 스승 류치명이 장헌세자(莊獻世子)[사도세자] 추존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탄핵을 받아, 지도(智島)에 유배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소식을 들은 배극소는 지도의 스승을 찾아가 뵙고, 그곳에서 가르침을 받고 돌아왔다. 그 외에도 배극소는 최효술(崔孝述)·이종상(李鍾祥) 등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돈우(李敦禹)·류치엄(柳致儼)·권연하(權璉夏)·이만각(李晩慤) 등의 인사들과 교유하였다. 1862년(철종 13) 삼정(三政)의 문란이 심해지자 책문(策文)을 지어 올리기도 했다. 1866년(고종 3) 고을 사람들에 의해 훈장(訓長)으로 추대되어, 봄과 여름에는 과거 공부를 가르치고, 가을과 겨울에는 경전을 강론하였다. 1869년(고종 6) 이웃한 영천군 용산(龍山)에 초옥(草屋)을 짓고 만년을 보냈다.

[학문과 저술]

배극소의 문집으로 6권 3책의 『묵암집(默庵集)』이 전한다. 배극소는 예설(禮說)에 관심이 많아 스승 김익동을 도와 고금의 상제의(喪祭儀)를 엮은 『상제의집록(喪祭儀輯錄)』을 편찬하였다.

[묘소]

배극소의 묘소는 자인현 달지산(達池山)에 처음 마련하였으나, 후에 경상북도 영천군 대창면 용전리 약목곡으로 이장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