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460 |
---|---|
이칭/별칭 | 발헤기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혜정 |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여럿이 마주 보고 앉아 서로 다리를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민속놀이.
[개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10세 전후의 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서로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가는 놀이로 ‘발헤기’라고도 한다. 주로 겨울철에 방안에서 많이 하는데, 특히 정월대보름이나 명절 때 다리세기놀이를 하였다.
[연원]
다리세기놀이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온돌을 기본 주거생활로 삼았던 전통에서 발생한 놀이로 짐작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다리세기놀이는 신체의 일부인 다리를 이용하며, 앉아서 하는 놀이이다.
[놀이 방법]
다리세기놀이는 보통 서너 명의 아이들이 서로 마주 앉아 다리를 엇갈리게 뻗은 후 오른쪽 다리부터 노래에 맞추어 손바닥으로 한 번씩 짚으면서 센다.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다가 노래의 끝에 ‘탱’이나 ‘총’ 등에 해당하는 다리는 오므리고 다시 노래를 부르면서 다리를 센다. 노래에 맞추어 다리는 세는 행동을 몇 번이고 거듭하다가 먼저 두 다리를 다 오므린 사람이 이기게 된다. 이긴 사람은 뒤로 물러앉아서 구경을 하고 제일 마지막까지 남은 다리의 주인공이 꼴찌가 된다. 꼴찌가 된 아이는 다른 아이들이 시키는 대로 재롱을 부려야 한다.
광주광역시에서 불렀던 다리세기놀이의 노래는 다음과 같다.
1. 광산구 송산동 내동마을
한 다리 천 다리/ 느그 삼춘 어디 갔냐/ 오가리 걸고 화순 간다/ 어끙저끙 포수가 ‘탱’
2. 북구 일곡동
한 다리 두 다리 열두 다리/ 느그 삼촌 어디 갔냐/ 담뱃대 물고 측간에 갔냐/ 뒷동산에 밤 따러 갔다
3. 남구 칠석동 칠석마을
이 거리 저 거리 각 거리/ 천두 만두 두만두/ 재약 발라 새양강/ 오리 신지 사리육
4. 남구 덕남동 덕남마을
한 다리 두 다리 열두 다리/ 한 다리 두 다리 메구데/ 메구 삼춘 어디가 외삼밭에 외따러 가/ 오끔조끔 주재기 ‘총’
5. 서구 유덕동 유촌마을
한 다리 만 다리 열두 다 / 느그 삼촌 어디 갔냐/ 뒷동산에 뽕 따러 갔다/ 오끔조끔 부지 ‘땅’
6. 동구 운림동 성촌마을
한 다리 두 다리 것청 내청/ 사사 원님 기불 딛고/ 오루롱 초루롱/ 두두기 ‘총’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다리세기놀이는 춥고 긴 겨울날 밖에서 놀이를 할 수 없었던 아이들에게 방 안에서의 지루함을 달랠 수 있는 실내 놀이가 되었다.
[현황]
현재는 거의 전승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