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801856 |
---|---|
한자 | 百中 |
이칭/별칭 | 중원/망혼일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집필자 | 김순주 |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옛 경기도 광주군·과천군 일부]에서 음력 7월 15일에 맞는 명절 및 이와 관련된 풍속.
[개설]
백중 은 중원(中元)이라고도 한다. 도교의 삼원(三元) 중 음력 7월 15일을 중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불교 사찰과 일반 가정에서는 특별한 의례를 행하고, 농군들은 호미씻이를 하며 보냈다.
[연원 및 변천]
불교에서는 부처의 제자인 목련(目連)이란 비구가 각종 음식과 백 가지 과일을 중들에게 공양했다는 데서 백종(百種)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날 불교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여는데, 우란분회란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에 떨어진 망령을 위하여 불사를 열어 공양하는 것[『형초세시기』]을 말한다. 민간에서는 백중을 망혼일(亡魂日)로 삼고, 음식을 차려 죽은 부모의 혼을 불러 모셨다. 논농사를 하는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마치고 호미씻이를 하며 농군들을 음식과 놀이로 달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세곡동의 반고개마을에서는 백중을 전후하여 몇 년마다 한 번씩 큰 씨름판을 열었다. 광목을 거는 광목씨름, 베를 거는 베씨름, 그리고 백중 당일에는 송아지를 거는 송아지씨름이 열렸다. 양말, 수건 등의 상품을 아이들에게 주는 아이씨름도 열렸다고 한다. 인근의 송파장에서는 과거[1940년대 무렵]에 훨씬 더 큰 씨름판이 열렸는데, 이때 송파산대놀이도 같이 행해졌다고 한다. 오전에 산대놀이를 하고 오후에는 씨름판이 벌어졌다.
대치동에서는 적당한 마당에 모래를 깔아 윗마을과 아랫마을의 주민들이 편을 갈라 씨름판을 벌였다. 농사일이 바빠 씨름판은 저녁에 열렸다고 한다.
일원본동에서는 인근의 약사(藥師) 절에 가서 돌아가신 노인들을 위해 기도하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