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잣 따는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86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9년 10월 11일 - 「잣 따는 소리」 이소라가 조순동에게 채록
채록지 「잣 따는 소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 2리
가창권역 「잣 따는 소리」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일대
성격 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가창자/시연자 조순동[1922, 남]

[정의]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잣을 따면서 부르는 노동요.

[개설]

「잣 따는 소리」는 잣을 많이 생산하는 신북면에서 잣을 딸 때에 불리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때 불리는 「올라간다」 곡은 이 지역의 특색 있는 나무꾼 소리[올라간다-이요/ 올라하 가네/ 어덜떨 거리고/ 나 올라가노라]를 원용한 것이다. 「올라간다」는 가사의 나무꾼 소리 내지 풀나무 깎는 소리는 연천군 미산면 「울어리 소리」와 고흥군의 「산떨이」에도 있지만 이들과 곡이 같지 않다. 그러나 그 외의 「올라간다」나 파주군 적성면의 것과는 상관된다.

[채록/수집 상황]

1989년 10월 11일 민요학자인 이소라가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 2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조순동[남, 67]의 창을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포천 민요의 음조직을 보면 무반음 전음계인 도레미솔라의 5음계 중에서 솔선법[솔라도레미]과 미선법[미솔라도레]이 주로 나타나고, 라선법과 도선법도 나온다. 영중면 김만수의 나무꾼 소리인 「올라간다」는 드물게 보이는 레선법이 쓰인다.

[내용]

올러 가아하아안다 흐이/ 올라만 가-안다--/ 상상봉꼬-혹 대기로호/ 잣따러 올러만 가하--네.// 올라 갈젠/ 다리가 떨려/ 내려를 올적엔/ 숨이 차네.// 잣주어라/ 잣주어라/ 연에루 연방에/ 잣떨어진다.//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이 진다고/ 서러를 마라.// 너는야/ 춘삼월 되면/ 다시나 피어서/ 오건마는.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포천 민요는 연천군, 가평군 및 중서 북부 경기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도 강원도[원주 이북] 영향권에 있는 민요로서, 「포천 메나리」와 「조상맞이」 등을 통해 포천 지역민의 창의적이고 밝은 품성이 두드러진다.

[현황]

현재는 잣 농사를 짓는 농가도 많이 줄었고, 「잣 따는 소리」도 ‘포천 메나리 보존회’에 의해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형편이다. 더구나 잣을 수확하는 인부들이 외지인들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전승은 더욱 어렵다.

[의의와 평가]

포천에 메나리가 널리 알려진 것은 강원도의 영향이라 하겠으나, 「포천 메나리」를 통해 선율과 가창 방법 및 가사에 있어서 개성을 가미시키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조상맞이」, 「잣 따는 소리」가 채집되고, 경기도의 일반 상사형 「논맴 소리」에서 조금 벗어난 요소는 포천 민요의 창의력을 보여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