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0802 |
---|---|
한자 | 崔勉植先生功績碑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조준호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891년 - 최면식 출생 |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944년 - 최면식 사망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7년 - 최면식 독립 유공 대통령 표창 추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0년 - 최면식 건국 포장 추서 |
건립 시기/일시 | 1982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0년 - 최면식 건국 훈장 애국장 추서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6년 04월 09일![]() |
현 소재지 | 최면식 선생 공적비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
성격 | 비 |
관련 인물 | 최면식(崔勉植)[1891~1941] |
재질 | 오석(烏石) |
크기(높이 | 180㎝ |
너비 | 60㎝ |
두께) | 32㎝ |
관리자 | 최종규 |
문화재 지정 번호 | 포천시 향토 유적 제20호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포천 출신의 독립지사 최면식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최면식(崔勉植)[1891~1941]은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둘째 아들 위당(緯堂) 최영학(崔永學)의 장남으로, 자는 경소(敬紹), 호는 염재(念齋)이다.
최면식 선생 공적비(崔勉植先生功績碑)는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다.
최면식 선생 공적비는 독립운동가 최면식의 항일 민족 독립 운동에 헌신한 공로와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1982년 포천 독립 유공자 건립 위원회에서 세웠다.
비의 재질은 오석(烏石)으로 높이 180㎝, 너비 60㎝, 두께 32㎝이다.
최면식 선생 공적비는 전면에 ‘독립지사 염재 최선생 공적비(獨立志士念齋崔先生功績碑)’라 쓰여 있고, 옆면에 그의 약력이 기록되어 있다.
1986년 포천시 향토 유적 제20호로 지정되었으며, 최종규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