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봉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661
한자 騏峰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02년연표보기 - 『기봉집』 간행
편찬 시기/일시 1802년연표보기 - 『기봉집』 편찬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문헌|전적
저자 이시성(李時省)
편자 최석정(崔錫鼎)
권책 4권·부록 2책
규격 29.5×18.9㎝

[정의]

1802년 간행된 포천 출신의 문신인 이시성의 시문집.

[저자]

이시성(李時省)[1598~1668]은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이다. 본관은 경주, 자는 자삼(子三)‚ 호는 기봉(騏峰)이다.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종손(從孫)으로 12세부터 이항복에게서 수학하였다. 1650년(효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춘추관 기주관을 지내고, 회양 부사·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편찬/간행 경위]

산일된 형태로 전해지던 이시성의 저술을 후손 이기환(李箕煥) 등이 수집하여 최석정(崔錫鼎)이 산정하여 1802년(순조 2)에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4권 부록 2책의 활자본[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으로, 크기는 29.5×18.9㎝이다.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기봉집(騏峰集)』 첫머리에 간행 경위와 의의를 서술한 이경일(李敬一)의 서문이 있고, 권1에는 오언 고시 6수, 칠언 고시 5수, 오언 절구 47수, 칠언 절구 138수, 권2에는 오언 율시 45수, 칠언 율시 131수, 권3에는 칠언 율시 95수, 권4에는 서(序)·기(記)·설(說)·서(書)·논책(論策)이 실려 있다.

그 중 「송풍안군조공부간성군서(送豊安君趙公赴杆城郡序)」는 강원도 간성 수령으로 부임하는 조흡(趙潝)[?~1661]을 전송하는 글이고, 「포상헌기(苞桑軒記)」는 저자 자신의 재실을 ‘포상’이라 이름 지은 연유를 설명한 것이다. 또 「귀신자이기지양능설(鬼神者二氣之良能說)」은 귀신은 음양의 2기(氣)가 자생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장자(張子)의 지적을 설명한 글이며, 「논책」중에서 별시에서 합격한 논책에서는 임금이 요순과 문무를 본받아 인사를 닦고 왕정을 이루어 폐단을 제거하고‚ 신료들이 요순과 문무의 신하들처럼 임금을 보필하면 천지가 평안하고 음양이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4편이 수록되어 있는 『기봉집』에는 병자호란을 겪은 뒤 국가의 방비책에 대한 것과 『주역(周易)』의 이해에 대한 것이 있는데, 당시 정치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