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산.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약사동] 사람들이 산의 북쪽을 바라보았을 때 소의 뿔을 닮았다고 하여 각흘봉(角屹峰)이라 했다고 한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의 경계를 잇는 산이다. 동쪽으로 강원도 철원군 서면, 남쪽으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서쪽으로 철원군 갈말읍에 접한다. 북동쪽에 광주산맥과 명성산으로 능선이...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갈월리에서 발원하여 금동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갈월천은 갈월이라는 마을 지명에서 유래한다. 갈월은 소둔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마을이다. 땅이 비옥하여 칡넝쿨이 무성하게 우겨져 그 사이로 비치는 달빛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하여 칠월, 치월이라고 하였는데, 한자 표기 과정에서 칡 갈(葛)자를 써서 갈월이 되었다. 갈...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대리와 가평군 북면 적목리의 경계에 있는 산. 『해동 지도(海東地圖)』 「영평현 지도(永平縣地圖)」를 보면 강씨봉의 북쪽에는 왕망산(旺望山)이, 남쪽에는 도성촌(道城村)이 그려져 있다. 「가평군 지도(加平郡地圖)」에는 동쪽으로 명지봉(明芝峯)과 도성 고개[道城嶺]가 그려져 있고, 남서쪽으로 운악산(雲岳山)이 그려져 있다. 『팔도 지도(八道地圖)』...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삼율리에서 발원하여 중리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건지천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하천으로 곳곳에 형성된 작은 소와 관련된 전설이 많이 전한다. 특히 궁예(弓裔)와 관련된 전설이 많은데, 교동 마을 부근의 가마소는 연못이 가마솥을 엎어 놓은 모양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그리고 그 앞에 작은 폭포는 폭포소, 용이 놀았던 소라고 해서 이름 붙여진 용소, 궁예가...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는 고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검단이로 넘어가는 곳에 자리한 고개라서 검단이 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검단이 고개가 시작되는 안양동은 안양사(安養寺)라는 절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도 주초석이 남아 있고 기와편이 발견된다. 그리고 절터 뒤에는 영의정을 지낸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 선생의 묘소가 있다. 이 묘를 쓰기 위해 절을 철거하였다...
-
경기도 포천지역에 분포한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안부. 고개에 대한 한자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높고 큰 고개에는 영(嶺)[예를 들어 진부령·대관령]이 사용되며, 그 밖에 치(峙)[예를 들어 팔량치·우금치]나 현(峴)[예를 들어 아현·대현]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개는 함경산맥에 있는 금패령[1,676m]이다. 경기도 포천시는 경기 동북...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삼율리와 사정리·초과리의 경계에 있는 산. 관인면이 철원군에 속해 있을 때 철원군의 최남단에 위치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궁예(弓裔)가 태봉국을 세우고 철원에 도읍을 정할 때 동송읍 이평리 금학산(金鶴山)[947m]과 고남산 가운데 어느 산을 남산(南山)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신 회의에 붙였다고 한다. 이때 고남산이 남산으로 결정...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서 발원하여 가산면 방축리에서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고모천은 마을 지명인 고모리에서 유래되었다. 고모리는 ‘효부 고 씨 할머니의 묘 앞이라 하여 묘앞 또는 고뫼앞, 고모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고모리에 있는 노고산은 어떤 사람이 늙은 고모님[姑, 할미]을 모시고 그 산 밑에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늙을 노’[老] 자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에 있는 고개. 옛날에 국상이 나면 백립을 쓰고 제사를 지내면서 곡을 하던 곳이라고 하여 곡봉재라고 부르게 되었다.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앞뜰인 ‘신배’에서 신북면 금동리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고개이다....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와 일동면 수입리 경계를 이루는 산 관모(冠帽)는 모자를 총칭하는 뜻으로, 산의 모양이 갓처럼 생겨서 관모봉이라 부른다. 한편, 관모봉은 깃대봉이라고도 하는데, 일제 강점기 때 세부 지적 측량을 위하여 깃대를 꽂았던 곳이라 하여 유래되었다.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 3리 양문 산업 단지와 일동면 수입 4리 산내지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금주산에서 북쪽...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영북면·일동면·이동면 경계에 있는 산. 『해동 지도(海東地圖)』에 “관음산은 현 동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관음산은 영평현 동쪽 30리 지점에 있다.”라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영평현 북쪽 25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관음보살(觀音菩薩)이 산마루에 바랑을 벗어 놓고 갔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는...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광덕산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에 걸쳐 있는 계곡. 광덕산에서 발원한 계곡이므로 광덕산의 명칭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광덕리는 사내면 지역으로 광덕산 밑이 되므로 광덕골 또는 광덕동(廣德洞)이라고 하였다. 광덕 계곡은 광덕산에서 화악산[1,468m]으로 이어지는 계곡으로 북한강으로 흐르는 사내천 상류에 있다. 계곡물을 따라 암반과 절벽,...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로 넘어가는 고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를 넘나드는 광덕 고개[廣德峴]는 지역의 명칭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캐러멜 고개’라는 특이한 이름도 갖고 있다. 6·25 전쟁 당시 이 지역을 관할하던 사단장이 급경사로 굽이도는 광덕 고개를 오를 때마다 차량 운전병들에게 졸지...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있는 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광덕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철원군 서면에 걸쳐 있다.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1,152m]·대성산(大成山)[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923m]...
-
경기도 포천시를 포함한 경기도 동부와 북동부의 산지를 포함하는 산맥. 경기도 동부[포천시, 가평군, 양주시 일대]와 북동부의 험준한 산지가 포함된 광주산맥은 태백산맥의 철령(鐵嶺) 부근에서 갈라져 서울 근처에 달한다. 광주산맥은 태백산맥의 금강산(金剛山) 부근에서 시작하여 남서 방향으로 서울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로, 북서쪽은 추가령 구조곡(楸哥嶺構造谷), 남동쪽은 북한강(北漢江)...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수원산에서 발원하여 군내면 용정리에서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군내면은 조선 시대 포천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현내면이라고 부르다가 1905년 군청이 현재의 시청 자리인 신읍동으로 옮기면서 군내면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포천 관아가 있었던 지역을 옛 관아가 있었던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구읍리라고 하였고, 지역 이름을 따라 하천의 명칭을 붙였다. 구읍천은 직...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장암리와 가평군 북면 적목리 경계에 있는 산. 『여지도(輿地圖)』에는 관음산(觀音山) 동쪽에 국망산(國望山)으로, 『팔도분도(八道分圖)』에는 관음산 동쪽에 망국산(望國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망국산은 영평현 동쪽 50리에 있고 남쪽으로 화악(華岳)과 이어져 있다.”라고 되어 있다. 국망봉은 산이 크고 능선이 억세며 골이 깊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심곡리와 동두천시 불현동의 경계에 있는 산. 조선의 세조는 과거를 후회하고 말년에 산수를 벗 삼아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찾고 수렵에 취미를 가졌다. 하루는 신하들과 함께 칠봉산에 사냥을 나왔다. 수렵할 때는 사방위 중에서 어느 한 곳을 정하여 시사(示射)를 하고 그 다음에 사냥이 시작되는데, 이 관례대로 왕은 칠봉산에서 동북방으로 마주보이는 왕방산의 주...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에서 내촌면 신팔리로 넘어가는 고개. 수원산을 넘어가는 고개에 바위굴이 있어서 굴고개, 굴현(窟峴)이 되었다. 또한 배밭이 있어서 배밭 고개라고도 불렀으며, 고개가 높기 때문에 상재라고도 불렸다. 현재 수원산에 있는 고개라 하여 일반적으로 수원산 고개로 부른다. 굴고개는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논배 마을에서 수원산 고개를 넘어 가평군 조종면 현리, 청평면...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와 영북면 산정리·운천리 경계에 있는 고개. 이 고개를 이동면에서는 굴고개라고 부르고 영북면에서는 낭유리 고개라고 부른다. 영북면 운천리를 구룰이라고 불렀으며, 굴고개는 운천리의 지명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굴고개는 관음산[732m]과 사향산[664m] 사이 계곡부에 형성된 고개로 고개 정상의 해발 고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굴고개[낭유리 고개]는 이동면...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종(權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정려. 권종[1554~1592]은 포천 출신의 문신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에 금산 군수로 부임하여 광주 목사로 있던 사촌 동생 권율과 국난에 대처할 것을 기약하였다. 권종이 먼저 군사를 이끌고 전주에 도착하였으나, 당시 전라도 관찰사가 그의 나이가 많다는 것을 이...
-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운경(雲卿), 호는 수은(睡隱). 찬성사 권근(權近)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금산 군수 권종(權悰)이다. 아버지는 공릉 참봉을 역임한 권현(權晛)이며, 어머니는 의금부도사 이희삼(李希參)의 딸이다. 권진(權縉)[1572~1624]은 1597년(선조 30)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과 수찬, 형조 정랑, 장령, 교리,...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와 일동면 길명리의 경계에 있는 산. 금주산은 일제 강점기에 영중 광산이라는 금광이 있어 반세기가 넘게 채금을 하였으며, 이후에는 금주 광산에서 채광하였다. 금주산의 명칭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금(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지도에는 금주산(金柱山, 金主山) 등 다양하게 표기되고 있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에는 (金珠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해발...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서 발원하여 방축리를 거쳐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가산면 금현리에서 발원한 하천이라 금현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금현리라는 명칭은 마을 위치가 죽엽산 아래여서 쇠재 또는 철현(鐵峴) 또는 금현(金峴)이라 한데서 유래했다. 금현천 주변은 포천에서 손꼽히는 충적 평야 지역으로 축석령을 지나 포천천을 따라 펼쳐진 포천 뜰의 일부가 이에 해당된다. 금현천은...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와 창수면 가양리의 경계에 있는 산. 금화봉의 명칭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며, 고지도에는 금화산(金花山), 금화봉(錦花峰)으로 표기되어 있다. 한편, 산 중턱에 아기 바위가 있어 옛날에 아기산 또는 애기산이라 불리기도 했다. 금화봉은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 백로주에서 창수면 가양리로 가는 길이기도 해서 고개 이름이 금화봉 고개로 불렸다. 금화봉은 포천시 영중...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에 있는 양사언을 배향한 사당. 길명사는 조선 전기 4대 문장가 중 한 사람인 봉래 양사언(楊士彦)[1517~1584]을 봉향하는 사당으로,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 산175-1번지에 있다. 평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 시야가 트인 들이 위치해 있다. 1988년 사당 건립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여 건립 발기를 하였고, 청주 양씨...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에서 발원하여 화현면 명덕리에서 명덕천에 합류하는 하천. 포천시 일동면 길명리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므로, 지명을 따서 길명천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지방 2급 하천으로, 유역 면적은 8.86㎢, 총 유로 길이는 4.45㎞로 비교적 짧은 하천이다. 길명천의 수질은 2.mg/ℓ[4.3~2.0mg/ℓL]로 2~3급의 비교적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서식하는...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활동했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이중(而中), 호는 졸탄(拙灘). 증조할아버지는 생원 김숙필(金叔弼)이고, 할아버지는 홍문관 대사성 김식(金湜)이다. 아버지는 현릉 참봉 김덕무(金德懋)이며, 어머니는 윤인(尹麟)의 딸 파평 윤씨(坡平尹氏)이다. 김권(金權)[1549~1622]은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80년(선조 13) 별시 문과에 을과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에 있는 효자 김기병(金基炳)의 정려. 김기병의 본관은 안산이다. 1879년(고종 16)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에서 김흥섭(金興燮)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천성이 온후하고 효심이 지극하여 부모님과 웃어른을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17세 되던 해 모친이 병석에 눕게 되자 온갖 정성으로 봉향하여 출천지효(出天之孝)라고 칭찬이 자자하였다. 김기병 효자...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활동했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원(而遠), 호는 율강(栗崗)·촌로(村老)이다. 경기도 장단군에서 출생했으며, 좌찬성 평호공(平胡公) 김개(金漑)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사복 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좌승지에 증직된 김찬(金讚)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효자 김성발(金聲發)·김성옥(金聲玉)의 형이다. 김성대(金聲大)[1...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은거했던 문신. 김수용(金壽龍)[1457~151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477년(성종 8)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다가 홍문, 정자(正字), 사인(舍人)을 역임하였다. 1480년(성종 11) 주서(注書)가 되었고, 1483년(성종 14) 홍문관 수찬에 임명되었다. 1496년(연산군 2) 홍문관 직제학이 되었고, 그 해 8월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
-
경기도 포천 옥병 서원에 제향된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 증조할아버지는 김극효(金克孝)이고, 할아버지는 김상관(金尙寬)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金光燦)이며, 어머니는 목사 김내(金琜)의 딸이다. 형은 김수흥(金壽興)이다. 김수항(金壽恒)[1629~1689]은 1645년(인조 23) 반시(泮試)에 수석하고, 1...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경인(敬仁), 호는 과욕재(寡慾齋). 아버지는 김상성(金相星)이다. 김양심(金陽心)[1725~1777]은 화양사(華陽寺)에서 수학하였다. 1747년(영조 23) 봄에 실시한 춘당 대정시(春塘臺庭試)에서 급제하여 바로 승정원 가주서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7월 승문원으로 옮겨 부정자를 제수 받았으며, 9월에는...
-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서 활동했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해주 목사 나성두(羅星斗)의 딸인 안정 나씨(安定羅氏)이다.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이 형이고, 성리학과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김창흡(金昌翕)이 동생이다. 김창협(金...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三淵).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해주 목사 나성두(羅星斗)의 딸인 안정 나씨(安定羅氏)이다.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과 예조판서·지돈령부사 등을 지낸 김창협(金昌協)이 형이다. 김창흡(金昌翕)[1653~ 1722]...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대교천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서 시작되어 철원군 동송읍을 거쳐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와 경계를 이루다가 철원 고석정 부근에서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포천시 구역으로는 약 2㎞가 속한다. 대교천은 북한의 강원도 평강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대지를 덮었다가 침식해 형성된 하천으로,...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서 발원하여 영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도평천의 명칭은 도평이란 동네 이름에서 유래하였는데, 본래는 도리평(桃李坪) 또는 도리돌이라 불리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정 때 영평군 이동면 도평리로 바뀌었다. 도리돌은 지금 도평 1리와 도평 4리를 합쳐서 부르는 마을 이름인데 이 마을에서 살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한 사람들도 다시 돌아와 산다는...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연곡리에 있는 김성대(金聲大) 등을 배향한 사당. 동음사는 안산 김씨 선조인 촌로(村老) 김성대와 그의 동생 반성재(反省齎) 김성발(金聲發), 동구(東丘) 김성옥(金聲玉) 및 청풍 김씨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등 네 명을 봉향한 사당이다. 김성대의 자는 이원, 호는 율강·촌로이다. 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하였으며 72세 때 진사시에 응시하였을 때 숙종이 제릉...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용정리에 있는 고개. 옛날에 한양에서 원님이 올 때는 한내천을 건너서 구읍으로 왔다고 한다. 이 고개에서 한내천을 내려다보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이곳에서 원님이 오는 것을 망을 보았다고 하여 망 고개[望峙]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한 군인들이 고개 위에서 적의 움직임을 살핀다는 뜻으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어원적으로 ‘망(望)+치(峙)’에 고개가 덧...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운악산에서 발원하여 지현리에서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현재는 화현면 중심부로 흐르는 하천을 명덕천이라 부르나 이전에는 육송정천이라 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육송정천(六松亭川)은 포천현(抱川縣)의 동쪽 25리에 있는데, 현등산에서 흘러나와 북쪽으로 흘러 만세교(萬歲橋)에 이르러 한천과 합쳐져 백로주로 흘러 들어간다.”고 되어 있다. 『대동지지...
-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도 철원군의 경계에 있는 산. 명성산(鳴聲山)은 한자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속칭 울음산이라고도 한다. 전설에 의하면 왕건(王建)에게 쫓기어 피신하던 궁예(弓裔)가 이 산에서 피살되었다고 하며, 궁예가 망국의 슬픔을 통곡하자 산도 따라 울었다고 하는 설과, 주인을 잃은 신하와 말이 산이 울릴 정도로 울었다고 하여 울음산이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다. 높이 923m이...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포천 지역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민속놀이는 옛날부터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여러 가지 놀이로 향토색을 지니며, 전통적으로 해마다 행하여 오는 놀이를 말한다. 민속놀이는 흔히 민속 오락, 민속 경기, 민속 유희, 민속 예능, 전승 놀이, 향토 오락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것은 민속놀이라는 개념 속에는 즐김을 나타내는 오락성, 아름다움을 추...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에서 양주시 양주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 경기도 양주시 백석말로 넘어가는 고개이자 흰 돌이 많다고 하여 백석이 고개로 불렀다. 또는 회암사 신도들이 시주를 하려고 백 석이나 되는 곡식을 지고 넘었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도 전한다. 백석 고개, 백석현(白石峴)이라고도 한다. 백석이 고개는 현재 고개의 기능은 상실했으며, 축석령~백석이 고개~덕고개 등...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에 걸쳐 있는 산. 흰구름이 항상 끼여 있어 ‘하얀 구름에 쌓인 산’이라는 뜻의 백운산(白雲山)이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백운산의 높이는 904m로, 강원도 북부 지방에서 남쪽으로 내려온 광주산맥의 줄기로 뻗은 능선상의 한 봉우리이다. 광덕산[1,046m]·국망봉[1,168m]·박달봉[800m]·도마치봉·개이빨산 등과 같은 높은 봉우리가...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과 화천군의 경계를 흐르는 계곡.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과 강원도 화천군의 경계인 광덕 고개를 넘자마자 시작되어 사창리까지 8㎞가량 이어지는 계곡이다. 물이 맑고 깨끗해서 그냥 떠서 마셔도 될 정도이고, 계곡 변 숲속에서는 야영을 할 수 있다. 주변 광덕 계곡이나 백운 계곡에 비해 한여름에도 비교적 한적한 편이어서 호젓하게 피서를 즐길 수 있다. 찾아가려면 화천...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운산리·오가리의 경계에 있는 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보장산(寶藏山)은 영평현 서쪽 10리 지점에 있다.”고 되어 있고,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보장산은 영평현(永平縣)의 서쪽 15리에 위치하며 불곡산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이다.”라고 되어 있다. 보장산은 옛 영평군 당시 읍 뒤 주산인 불곡산[지금의 불무산으로 추정됨]의 산맥으...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서 발원하여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서 왕숙천에 합류하는 하천. 하천 유역 중 남양주시 부평리에 봉선사가 있어 이를 하천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봉선사천이 흐르는 구간 내에 포천 국립 수목원의 산림 보호 구역이 있으며, 유네스코에서 생물권 보존 권역으로 지정하여 생태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하천에는 독중개, 동사리, 빠가사리, 참마자, 모래무지, 버들...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산정 호수에서 발원하여 운천리, 문암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부소천(釜沼川)의 유역 중 현재 영북면 제1 기갑 여단 영내에 가마소 폭포가 있는데, 부소천은 한자로 가마소가 있는 하천[가마소천]이라는 의미이다. 부소천은 한탄강의 지천으로 하류에는 용암 대지가 형성되어 있고, 현무암 침식 하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하류로 갈수록 주상 절리 협곡...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와 소회산리를 지나 야미리와 경계를 이루는 산.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불곡산(佛谷山)은 영평현 고을 뒤 주산이다.”라고 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불곡산은 양주목 북쪽 3리에 있다.”고 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에 “불곡산은 창수면 오가리, 영중면 영평리에 있다.”라는 되어 있는 것을 볼 때 불무산의 옛...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서 운영하는 정보화 마을. 대회산리의 한탄강 방면에 자리한 마을로, 행정안전부[현 안전행정부]가 지정한 정보화 마을이다. 대회산리는 포천시청에서 30여㎞ 북쪽에 자리하는데, 불무산과 은장산 등의 큰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하여 대회산리라 이름 하였다. ‘비둘기낭’이란 이름은 마을 인근의 비둘기낭 폭포에서 유래하였다. 비둘기낭 폭포는 한탄강 변의 주상절...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와 직동리 사이에 있는 고개. 고모리로 통하는 장령(長嶺)의 모습이 흡사 비둘기가 나는 모습과 같다 하여 ‘비득재’라 일컫는다. 한자어로는 구현(鳩峴)이라고 한다. 지대가 높고 험준하여 그동안 밀양 박씨가 들어와 자리를 잡았으나, 개척이 미진한 상태이다. 비득재는 소흘읍 고모리의 노고산과 죽엽산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고개이다. 비득재의 북쪽에서 발원한 하...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사직리에서 이동면 노곡리를 거쳐 영평천에 합류하는 하천. 포천시 일동면 사직리에서 발원한 하천으로 지명 명칭을 따서 사직천이라 하였다. 지방 2급 하천으로, 총 유역 길이는 4.6㎞, 유역 면적은 6.34㎢이다. 하천 폭은 15~35m 내외이다....
-
경기도 포천시에서 주변 지면보다 수백m 이상 높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지형. 경기도의 산지는 황해도와 경기도의 경계를 이루는 마식령산맥, 강원도 북부에서 남남서 방향으로 달리는 광주산맥, 강원도 오대산 부근에서 남남서 방향으로 달려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선을 이루는 차령산맥에 의해서 대체적인 윤곽이 결정된다. 마식령산맥은 오랜 기간 동안 침식을 받은 구릉성 산지로서, 천마산[7...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를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국사봉[547m]의 엄준한 산악 지형 내를 흐르는 하천이라는 의미에서 산내천(山內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산내천은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와 동두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국사봉에서 발원하여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를 거쳐 한탄강으로 들어간다. 산내천에 ‘열두 개울’이라 불리는 지명이 있는데...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에 있는 호수. ‘산중의 우물과 같은 호수’라는 뜻으로 산정 호수라 부르며, 그 부근 마을을 산정리라 한다. 산정 호수의 북쪽에는 궁예(弓裔)의 만년을 슬퍼하며 산새들이 울었다고 하여 붙여진 명성산(鳴聲山)[923m]이 있다. 남쪽에는 관음산(觀音山)[733m]이 솟아 있고, 서쪽으로는 망무봉(望武峰)[294m] 등으로 둘러싸인 낮은 곳에 사방에서 계류가...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와 이동교리에서 양주시 삼숭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에는 석문현(石門峴)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석문령(石門嶺)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문헌인 『포천 읍지(抱川邑誌)』, 『양주 읍지(楊州邑誌)』, 『해동 지도(海東地圖)』, 『여지도(輿地圖)』, 『광여도(廣輿圖)』, 『동여도(東輿圖)』에도...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이를 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신일(愼日)·달도(怛忉) 등이라고도 한다. 이는 대개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근대 국가에 와서는 신정(新正)으로 일...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에서 발원하여 연천군 청산면을 거쳐 신천에 합류하는 하천. 수동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와 덕둔리, 연천군 청산면을 거쳐 흐르다가 신천과 합류한다. 총 유역 길이는 15.22㎞, 유역 면적은 43.15㎢, 하천 폭은 50~90m이다. 2012년 수해 복구 사업과 생태 하천 복원을 위한 하천 개선 복구 사업을 완료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와 가산면 우금리, 내촌면 신팔리와 경계를 이루는 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원산(水源山)은 포천현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포천현(抱川縣)의 동쪽 7리에 있고 현등산(懸燈山)에서 산줄기가 뻗어 나와 고을의 진산(鎭山)을 이룬다. 그리고 이 수원산 큰 산줄기가 계곡을 지나 주엽산(注葉...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 금주산에서 발원하여 명덕천을 거쳐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수일천은 수일동(水日洞)이라는 마을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수일동은 ‘마을의 골짜기가 깊어 맑은 물과 수목이 어우러진 아름답고 수려한 경관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수일천은 금주산[569m]에서 발원해 깊은 골짜기를 지나 흐르기 때문에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지방 2급 하천으...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수입리에서 발원하여 영평천에 합류하는 하천.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수입리에서 발원한 하천이므로 지명 명칭을 따서 수입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방 2급 하천으로, 총 유역 길이는 13.9㎞, 유역 면적은 58.71㎢이다. 하천의 폭은 편차가 큰 편으로 10~80m 정도 된다. 주변에 청동기 시대의 무덤으로 알려진 탁자식 유형의 수입리 지석묘가 있다....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 왕방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포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신읍천은 현대에 새로 조성된 신읍(新邑)인 포천시 신읍동을 가로질러 흐르므로 지역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신읍천은 일반적으로 호병천으로 불리는데 마을의 지형이 호리병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읍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총 유역 길이는 3.6㎞, 유역 면적은 4.41㎢이다. 하천의 폭은 10~50m...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야미리에서 발원하여 서두천과 합류하고 영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야미(夜味)란 동네 이름에서 야미천이란 이름이 유래하였다. 야미리에는 옛날부터 소나무 숲이 울창해서 밤이면 도둑이 자주 출몰하였다고 하며, 도둑들이 밤이면 재미를 본다고 하여 야미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에 이곳에 절세미인이 있었는데 원님이 사냥을 핑계 삼아 나와서 이 여인과 재미를...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와 강원도 철원군 서면의 경계를 이루는 계곡. 포천시 이동면과 강원도 철원군 서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자등현에서 발원한 계곡이다. 약사동 계곡은 자연 마을인 약사동(藥寺洞)에서 따온 명칭이다. 약사동은 약사 터가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지역에 약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이 절은 고려 때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안약사[內藥寺洞]와 바깥약사[...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일(道一), 호는 감호(鑑湖)·돈호(遯湖)·비로도인(毗盧道人). 증조할아버지는 양제달(楊悌達)이고, 할아버지는 돈령부 주부 양희수(楊希洙)이며, 아버지는 조선 전기 4대 문장가이자 서예가로 유명한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이다. 양만고(楊萬古)[1574~1655]는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였다. 1603년(...
-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응거(應擧), 호는 풍고(楓皐). 증조할아버지는 병마절도사를 기낸 양치(楊治)이고, 할아버지는 양제달(楊悌達)이며, 아버지는 돈령부 주부를 지낸 양희수(楊希洙)이다. 어머니는 송환정(宋環貞)의 딸이다. 조선 전기 4대 문장가 중 한 명인 양사언(楊士彦)과 양사기(楊士奇)가 동생으로, 삼 형제 모두 시문에 뛰어났다. 양사준(楊...
-
조선 전기 포천 지역에 은거한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퇴은(退隱). 증조할아버지는 도첨의 시중 양기(楊起)이며, 할아버지는 찬성사 양지수(楊之壽)이고, 아버지는 경안공(景安公) 양천진(楊天震)이다. 조선 전기 4대 서예가로 꼽히는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이 증손이다. 세종 대 단종의 유모였던 양혜빈(楊惠嬪)의 숙부이기도 하다. 양치(楊治)[1400~1483...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 향교 터. 영평 향교(永平鄕校)는 조선 시대 영평군[현재 포천시 북부 지역]에 소재하였던 향교로 1938년 철폐되어 현재 터만 남아 있다. 영평 향교는 1173년(명종 3) 창건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594년(선조 27) 중건해 성리학의 강학과 유림의 제향을 병행해 오면서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다. 19...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광덕산에서 발원하여 일동면·영중면·창수면을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영평군은 1914년 포천군과 최종적으로 통합하기 전 현재 포천시의 북부 지역을 관할하던 행정 구역으로, 영평천은 영평군의 이동면·일동면·영중면·창수면을 가로질러 흐르는 주요 하천이었다. 영평천은 지역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영평천은 옛 영평 지역의 치소가 있던 영송리 일대를 지나...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에서 발원하여 창수면 중앙을 관통하는 영평천에 합류하는 하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금수정(金水亭)은 “영평현(永平縣) 서쪽 7리에 있고, 옛 부사(府使) 김확(金矱)이 창건한 누정(樓亭)”으로 되어 있다. 한냉기 앞의 개울을 오가리 개울이라 부르고 있는데 한냉기도 오가리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명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다섯 갈래의 길이 있었으므로...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서 동두천시 탑동으로 이어지는 고개. 오지는 벽돌과 같은 옹기를 뜻하고 재(滓)는 옹기를 굽고 난 찌꺼기를 뜻한다. 옛날 오지재 주변에 가마터가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오지재는 왕방산과 해룡산을 이어주는 고개로, 한북 정맥 왕방 지맥의 한 지점이다. 해룡 마을에서 넘어가는 고개라서 해룡 고개라고도 부른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로로 이용하고 있다. 오...
-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선단동·신북면과 동두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포천시의 진산으로 불려온 왕방산은 많은 전설과 유래가 전하는 명산이다. 신라 시대인 872년(헌강왕 3)에 도선(道詵) 국사가 정업을 닦을 때 국왕이 친히 행차하여 격려하였다 하여 왕방산이라 불렀고, 그 절을 왕방사라 했다고 전해진다. 왕방사지에는 30여 년 전에 청매화상(靑梅和尙)이 보덕사[지금의 왕산사]를 복원...
-
경기도 포천지역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청해(靑海). 자는 진지(鎭之), 호는 송계거사(松溪居士). 개국공신 이지란(李之蘭)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이인기(李麟奇)이고, 어머니는 감찰 이경(李敬)의 딸인 전주 이씨(全州李氏), 부인은 우의정 정언신(鄭彦信)의 딸이다. 이중로(李重老)[1577~1624]는 일찍이 7세 때 어머니가 죽자 비록 어린 나이기는 하...
-
조선 전기 포천 현감을 지낸 문신이자 기인(奇人).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토정(土亭).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를 추증 받은 이장윤(李長潤)이며, 아버지는 우봉 현령 이치(李穉)이다. 우의정 김극성(金克成)이 외할아버지이다. 이지함(李之菡)[1517~1578]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인 이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포천 출신의 독립지사 최면식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최면식(崔勉植)[1891~1941]은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둘째 아들 위당(緯堂) 최영학(崔永學)의 장남으로, 자는 경소(敬紹), 호는 염재(念齋)이다. 최면식 선생 공적비(崔勉植先生功績碑)는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다. 최면식 선생 공적비는 독립운동가 최면식의 항일 민족 독립 운...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포천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 항일 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庵). 아버지 최대(崔岱)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며, 부인은 청주 한씨(淸州韓氏)이다. 최익현(崔益鉉)[1833~1906]은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서 출생하였다. 9세 때인 1841년 김기현(金琦鉉)의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에 있는 개항기 포천 출신 의병장 최익현의 생가 터. 가채리에서도 최익현이 태어난 마을은 경주 최씨(慶州崔氏)가 많이 살고 있어서 최가채리라고도 불렀다. 이 마을은 450여 년 전 경주 최씨의 중시조인 한산 군수 최수준[1472~1527]이 낙향하여 자리를 잡고 살기 시작한 듯하다. 최익현은 1833년(순조 33) 12월 5일[음력]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
-
강원도 평강군 현내면 상원리에서 발원하여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을 지나 임진강에 합류하는 하천. 한탄강의 명칭 유래와 관련된 전설로는 ‘궁예(弓裔)가 왕건에 쫓겨 도망치다 이곳에서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 되었다는 설과 6·25 전쟁 때 피난을 가다가 한탄강을 만나 건너지 못하고 한탄했다고 해서 한탄강이라고 불렀다는 구전이 있다. 그러나 문헌상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