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0761 |
---|---|
한자 | 茂朱邑住民自治- |
영어공식명칭 | Muju-eup Office |
이칭/별칭 | 무주읍 사무소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향학로 49[읍내리 31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설립 시기/일시 | 1914년 - 무주면 사무소 설립 |
---|---|
개칭 시기/일시 | 1979년 5월 1일 - 무주면 사무소에서 무주읍 사무소로 개칭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2년 - 무주읍 사무소 제1회 무주 읍민의 날 개최 |
현 소재지 | 무주읍 주민자치센터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향학로 49[읍내리 316] |
성격 | 공공 기관 |
전화 | 063-320-5705 |
홈페이지 | 무주읍 주민자치센터(http://mujueup.muju.go.kr)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무주읍 관할 행정 기관.
[개설]
무주읍 주민자치센터는 전라북도 무주군을 구성하고 있는 6개 읍·면[무주읍, 무풍면, 설천면, 적상면, 안성면, 부남면] 중 무주읍의 주민 생활과 관련한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며, 주민들의 문화, 복지, 여가 활동 등을 위해 별도로 주민 자치 기구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설립 목적]
무주읍 주민자치센터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현재의 무주읍 지역이 읍내, 당산, 오산, 장백, 내도, 대차, 용포, 가옥 등 8개 법정리로 개편되면서 무주면으로 칭해졌다. 무주면의 초대 면장은 황태옥(黃泰玉)으로 1944년 11월부터 1945년 12월 31일까지 재임하였다. 1979년 5월 1일 전국 군청 소재지의 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무주면도 무주읍으로 승격되었다. 2017년 현재 무주읍은 8개의 법정리, 31개의 행정리로 구획 편성되어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읍 방위 협의회 운영, 역대 읍장 회의 운영, 자율 방범대 지원, 축제 등 문화 관광, 가족 관계 등록 및 제 증명 발급, 신원 조회, 민방위, 취학 아동, 희망 복지 지원, 저소득층 발굴 및 지원, 여성 복지 및 다문화 가정 지원, 주거 환경 개선, 자활 근로, 아동 보육, 이재민 구호, 차상층 지원, 노인 복지, 장애인 복지, 복지 사각 지대 발굴 조사 및 찾아가는 복지 상담, 농지 취득, 산림, 공공 비축미 매입, 수리 시설물 등 한해 대책, 농업 소득 및 부농 기획, 친환경 농업, 축산 진흥, 안전 재난, 정수장 운영 및 관리, 취수장 운영 및 관리, 환경 미화 등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현황]
2017년 2월 1일 현재 무주읍 주민자치센터는 읍장[1명]과 부읍장[1명] 아래 총무[4명], 민원[3명], 맞춤형 복지[4명], 산업[3명], 개발[3명], 정수장[4명], 취수장[4명], 환경 미화[10명] 등의 부서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총 37명이 근무하고 있다. 관할 면적은 총 79.4㎢이며, 임야 58.02㎢, 경지 10.37㎢[전 6.35㎢, 답 4.02㎢], 기타 11.01㎢로 구성되어 있다. 2017년 4월 현재 관할 세대수 및 인구수는 4,213세대, 9,594명[남 4,782명, 여 4,812명]이다.
관할 행정 구역[8개 법정리, 31개 행정리] 내 주요 기관으로는 무주 중앙 초등학교, 무주 초등학교[병설 유치원], 무주 중학교, 무주 고등학교, 무주 교육 지원청, 무주군 보건 의료원, 무주 우체국, 무주 경찰서, 주계 파출소, 무주 농협, 무주 군청, 농업 기술 센터, KT 무주 지점, 무주 공공 도서관, 무주군 법원, 무주군 선거 관리 위원회 등이 있다. 문화 체육 교육 시설로는 무주 예체 문화관, 반딧불 체육관, 무주 전통 공예 테마 파크, 무주 국제화 교육 센터 등이 있다. 주민 자치 센터에서는 수채화, 한지 공예, 석채화, 요가, 쑥뜸 요법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무주읍 주민자치센터는 무주읍 주민의 편의를 위한 행정 업무 이외에도 읍민 화합과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등 주민 생활의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