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0444 |
---|---|
한자 | 茂朱鄕校內碑石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264-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
집필자 | 최범호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96년 - 김흥근 출생 |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870년 - 김흥근 사망 |
현 소재지 | 무주향교 내 비석군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264-1 |
성격 | 비석군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김흥근(金興根)|박종유(朴宗有)|윤성선(尹性善)|심능술(沈能述)|최원(崔瑗)|박대화(朴大華)|백남수(白南洙)|채의석(蔡義錫)|윤병하(尹炳夏)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관찰사 김흥근 영세 불망비 134㎝[높이]|51㎝[너비]|28㎝[두께]행부사 박종유 영세 불망비 134㎝[높이]|51㎝[너비]|31㎝[두께]행부사 윤성선 영세 불망비 146㎝[높이]|46㎝[너비]|11㎝[두께]행부사 심능술 영세 불망비 148㎝[높이]|53㎝[너비]|21㎝[두께]행부사 최원 영세 불망비 135㎝[높이]|52㎝[너비]|22㎝[두께]현감 박대화 영세 불망비 112㎝[높이]|48㎝[너비]|16㎝[두께]행부사 최원 흥학 개화비 84㎝[높이]|35㎝[너비]|10㎝[두께]군수 백남수 기적비 93㎝[높이]|31㎝[너비]|12㎝[두께]군수 채의석 기적비 105㎝[높이]|47㎝[너비]|17㎝[두께]전 경찰 서장 윤병하 공적비 106㎝[높이]|37㎝[너비]|14㎝[두께]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무주향교 내에 모여 있는 비석군.
[개설]
관찰사 김흥근(金興根)[1796~1870]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기경(起卿), 호는 유관(游觀)이다. 순조 때 급제하여 검열·대교(待敎) 겸 보덕(兼輔德)·이조 참의 등을 거쳐 전라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헌종 때 안동 김씨의 권세를 믿고 방자하게 행동하였다 하여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아 전라도 광양현[현 전라남도 광양시]에 유배되기도 하였으나, 철종이 즉위하여 다시 안동 김씨가 세도를 잡자 후에 영의정까지 올랐다.
백남수(白南洙)는 제16대[1964년 7월~1966년 5월] 무주 군수를 역임하였는데, 대민 행정을 강화하고 군민들에게 자조 정신을 발휘하는 등 농촌 지도 사업과 산림 육성을 강화하는 데 공이 컸다. 채의석(蔡義錫)은 제20대[1969년 7월~1971년 8월] 무주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푸른 새 무주 건설'이라는 지표를 내세워 군민들 삶의 질적 향상과 향토 방위 조직을 강화하는 데 공이 컸다.
[건립 경위]
무주향교 내 비석군은 대부분 불망비(不忘碑)로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비 10기를 무주향교 안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비석의 주인은 모두 9명으로 그중 행부사 최원의 비석이 2기이다.
[위치]
무주 군청에서 무주 농협 사거리 방면으로 100m 이동한 후 무주 농협에서 우회전하여 단천로로 450m 정도 가면 우측에 무주향교가 나온다. 무주향교 대성전 앞뜰 오른쪽에 무주향교 내 비석군이 있다.
[형태]
무주향교 내 비석군은 화강암으로 된 비갓이 없는 석비이다. 관찰사 김흥근 영세 불망비는 높이 134㎝, 너비 51㎝, 두께 28㎝이다. 행부사 박종유(朴宗有) 영세 불망비는 높이 134㎝, 너비 51㎝, 두께 31㎝이다. 행부사 윤성선(尹性善) 영세 불망비는 높이 146㎝, 너비 46㎝, 두께 11㎝이다. 행부사 심능술(沈能述) 영세 불망비는 높이 148㎝, 너비 53㎝, 두께 21㎝이다. 행부사 최원(崔瑗) 영세 불망비는 높이 135㎝, 너비 52㎝, 두께 22㎝이다. 현감 박대화(朴大華) 영세 불망비는 높이 112㎝, 너비 48㎝, 두께 16㎝이다. 행부사 최원(崔瑗) 흥학 개화비는 높이 84㎝, 너비 35㎝, 두께 10㎝이다. 군수 백남수 기적비는 높이 93㎝, 너비 31㎝, 두께 12㎝이다. 군수 채의석 기적비는 높이 105㎝, 너비 47㎝, 두께 17㎝이다. 전 경찰서장 윤병하(尹炳夏) 공적비는 높이 106㎝, 너비 37㎝, 두께 14㎝이다.
[금석문]
금석문은 각각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다.
관찰사 김공 흥근 영세 불망(觀察使金公興根永世不忘) 활민위공(活民爲公) 축공자자(祝公自玆) 공조 지망(公朝之望) 무인차○(茂人次○) 정유(丁酉) 9월(九月) 일립(日立)
행부사 박후 종유 청덕 애민 영세 불망비(行府使朴侯宗有淸德愛民永世不忘碑) 무술(戊戌) 8월(八月) 일립(日立)
행부사 윤후 성선 영세 불망비(行府使尹侯性善永世不忘碑) 기사(己巳) 5월 일(五月日)
행부사 심후 능술 영세 불망비(行府使沈侯能述永世不忘碑)
행부사 최후 원 영세 불망비(行府使崔侯瑗永世不忘碑) 두소기치(杜召其治) 제증 이렴(齊曾以廉) 일비하기(一碑何旣) 만구자석(萬口自石)
현감 박공 대화 영세 불망비(縣監朴公大華永世不忘碑)
행부사 최후 원 흥학 개화비(行府使崔侯瑗興學開化碑) 소제치사(蘇齊治事) 개구어사(蓋求於斯) 화무장서(華務藏書) 사역유여(斯亦有餘)
군수 백남수 기적비(郡守白南洙紀績碑) 이의위리(以義爲利) 우도계할(牛刀鷄割) 민심열복(民心悅服) 군모괄목(郡貌刮目) 단기 4299년 병오(丙午) 9월(九月) 상일(上日) 무주향교 립(茂州鄕校立) 진양(晋陽) 하천수(河千秀) 찬(撰) 밀양(密陽) 박종무(朴宗茂) 서(書)
군수 채의석 기적비(郡守蔡義錫紀績碑)
전 경찰 서장 윤공 병하 공적비(前警察署長尹公炳夏功績碑) 단기 4291년 원월(元月)
[현황]
무주향교 내 비석군은 대부분 화강암을 사용하였으나 마모가 심하여 내용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비는 오른쪽에서부터 관찰사 김흥근 영세 불망비, 행부사 박종유 영세 불망비, 행부사 윤성선 영세 불망비, 행부사 심능술 영세 불망비, 행부사 최원 영세 불망비, 현감 박대화 영세 불망비, 행부사 최원 흥학 개화비, 군수 백남수 기적비, 군수 채의석 기적비, 전 경찰 서장 윤병하 공적비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비석을 수집해 옮겨 온 배경이나 시기, 원래 있던 자리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무주 군내에 흩어져 있던 불망비를 한 곳에 모아 보존하는 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