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600336 |
---|---|
한자 | 華城隆陵-榧子- |
영어공식명칭 | Korean Plum-yem of Yungneung Royal Tomb, Hwaseong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보호수 |
지역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안녕동 18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양섭 |
최초 식재 시기/일시 | 1509년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식재 추정 |
---|---|
보호수 지정 일시 | 2009년 9월 16일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504호로 지정 |
보호수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 |
소재지 |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안녕동 187-1] |
학명 |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ex Forbes) K. Koch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나자식물문〉소나무강〉개비자나무목〉개비자나무과〉개비자나무속 |
수령 | 약 510년 |
관리자 | 문화재청 |
[정의]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개비자나무.
[형태]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는 높이 4m, 가슴높이 줄기둘레 최대 80㎝, 뿌리 근처 둘레 최대 1.07m, 수관 폭 동서 방향 6.40m, 수관 폭 남북 방향 6.3m이다. 나무의 줄기가 지면부에서 셋으로 갈라져 지면에 붙어 자라다가 비스듬히 위쪽으로 성장하였다. 세 개의 줄기들은 수관도 각각 별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서 보지 않으면 마치 세 그루의 개비자나무가 각각 자란 것처럼 보인다.
[생태]
개비자나무는 상록 침엽 관목으로, 한반도 특산종이다. 경기도와 충청북도 이남에 자생하며, 계곡이나 숲속의 습윤한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는 약 3m 정도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잎은 선형이며 녹색이다. 깃모양처럼 두 줄로 배열하며, 주맥이 양면에 도드라진다.
꽃은 4월에 피는데 암수딴그루로 수꽃은 편구형이고 연한 갈색이며 길이는 5㎜ 내외다. 10여 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꽃자루에 20~30개씩 달린다. 암꽃은 2개씩 달리며, 10여 개의 뾰족한 녹색 포로 싸이는데 길이는 5㎜ 정도다. 열매는 육질씨껍질로 싸인 붉은색 구과로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17~18㎜다.
수피는 짙은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면 벗겨진다. 정원수, 공원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생장이 빠른 특성 때문에 쉽게 녹화가 가능하다. 목재는 기구재로, 열매는 맥주의 안주로 애용된다. 종자는 기름을 채취하여 식용, 등유용으로 사용한다. 또는 체했거나 회충을 구제하고자 할 때 달이거나 잘 볶아서 복용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에 대한 구체적인 문헌 기록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융릉 재실 내에 위치한 것으로 보아 융릉의 축조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화성 융릉이 현 위치로 이장된 것은 1789년(정조 13) 10월인데,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는 그 크기로 보아 수명이 500년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므로 융릉이 축조되기 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황]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는 융건릉 관리사무실이 있는 재실의 안마당에 있다. 나무 주위에 직경 약 1m 정도의 원형으로 돌을 둘러 세우고 복토를 해 놓았다. 나무의 서쪽과 북쪽으로는 비교적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나 동쪽으로는 건물의 담장이, 남쪽으로는 수관의 끝부분이 건물의 추녀에 닿을 듯하다.
2010년에 복토를 30㎝가량 제거한 이후 신초성장 및 엽색의 변화가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 상태는 50~70%를 유지하며, 수간 수피 상태는 가운데 외과수술 부위를 제외하고 양 테두리 부분만 남아 있다. 또한 엽밀도에서도 불량으로 나타나 종합적인 건강 상태는 불량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인 개비자나무에 비해 키가 4m에 이르고 줄기의 둘레도 80㎝에 이르는 노거수이므로 2009년 9월 16일 천연기념물 제504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510년이다.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근처에는 천연기념물 지정 안내판 1개소와 15㎝ 내외의 경계석이 총 연장 길이 15m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I형 수목 지지대 4개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