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표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728
한자 新昌表氏
영어공식명칭 Sinchang Pyo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광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신창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입향지 백석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상백리 상백마을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죽곡마을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죽곡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조산마을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강청마을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강청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표인려
입향 시조 표계

[정의]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 표인려를 1세조로 하고 표계를 입향조로 하는 세거 성씨.

[연원]

1915년에 조긍섭(曺兢燮)[1873~1933]이 쓴 『신창표씨족보(新昌表氏族譜)』 서문에서는 신창표씨가 상서(尙書) 표대박(表大圤)을 동일한 조상으로 하는데 5~6대가 지나는 동안 전하기도 하고 전하지 않기도 하다가 합문지후(閤門祗侯) 표인려(表仁呂)에 이르러 보계(譜系)[조상 때부터 내려오는 혈통과 집안 역사를 도식으로 나타낸 책]를 새로 시작하는 조상이 되었다고 하였다. 즉 중국 당말 5대 시기 후주(後周)에서 이부상서를 역임하였다고 전하여지는 표대박이 후주가 망하자 광종 때 고려로 귀화하여 신창표씨의 원조(遠祖)[고조할아버지 이전의 먼 조상]가 되었다. 그 후 몇 대를 잃어버렸다가 고려 충숙왕 때 합문지후 등을 지낸 것으로 전하여지는 표인려를 1세조로 삼아 세계(世系)[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계통]를 이어 왔다는 것이다.

정종로(鄭宗魯)[1738~1816]가 쓴 표연말(表沿沫)[1449~1498]의 행장(行狀)[죽은 사람이 평생 살아온 일을 적은 글]에서는 표연말의 고조할아버지를 대부(大夫) 표광원(表光遠), 증조할아버지를 군기시소윤(軍器寺少尹) 표을충(表乙忠), 할아버지를 온수감무(溫水監務) 표하(表河), 아버지를 상주교수 표계(表繼)로 각각 기록하였다. 족보에서 표광원은 표인려의 아들로 수록되어 있다. 『고려사』에서 확인되는 표씨 인물로는 표덕린(表德麟)과 표영(表營) 두 명이 있다. 표덕린은 우왕 초에 밀직부사·전법판사를 역임하였고 공민왕 10년에 김용(金鏞)[?~1363]의 난을 진압하여 김용을 밀양으로 유배를 보낼 때 그 압송을 책임지었다. 표영은 창왕 초에 판사를 지낸 것으로 나타난다.

[입향 경위]

신창표씨의 함양 입향조는 표계이다. 표계는 온수감무 표하의 아들로, 조선 세종 때 고을 동쪽 백석(栢石)[지금의 수동면 상백리 상백마을]에 정착하였다. 표계의 아들이 표연말이다. 표연말은 1472년(성종 3) 문과에 급제한 후 예문관 검열·봉교, 공조좌랑, 사헌부 장령, 홍문관 응교·직제학, 사간원 사간 등 주로 언관직에 종사하였다. 연산군 때 발생한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1498년(연산군 4) 8월 19일 경원(慶源)[지금의 함경북도 경원군]으로 유배 도중 은계역(銀溪驛)[지금의 강원도 회양군 은계]에서 사망하였다.

표계의 후손들 중에는 함양에서 나가 다른 지역에서 세거하다가 뒤에 다시 함양으로 입향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시기를 알 수 없지만 표연말의 후손 표도학(表道學)은 거창에서 들어와 그 자손들이 죽곡(竹谷)[함양읍 죽곡리 죽곡마을]으로 이주하였고, 표연말의 동생 표연한(表沿漢)의 후손 표연성(表淵成)도 거창에서 들어와 서상면 조산(造山)[서상면 상남리 조산마을]으로 이주하였다. 함양군 내에서도 이동이 있다. 영조 때 표연말의 후손 표충인(表忠仁)이 휴천(休川)에서 강청(江淸)[마천면 강청리 강청마을]으로 이주하여 살았다.

[현황]

2018년 기준 함양 지역에 거주하는 신창표씨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2000년의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신창표씨는 전국에 7,805가구 2만 4,822명, 함양군에는 20가구 49명이다. 2015년의 통계는 전국에 2만 8,894명, 함양군이 58명이다. 2000년의 조사에 비해 9명 정도 증가한 것이지만 전체 인구 자체가 적은 편이다. 함양군 내에서 신창표씨와 연관이 있는 지역은 마천면 강청리 강청마을, 수동면 내백리 내백마을상백리 상백마을, 서상면 상남리 조산마을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