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451 |
---|---|
한자 | 新官里遺蹟 |
영어공식명칭 | Remains of Singwan-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관리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홍성우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9년 7월 14일~2009년 12월 30일 - 신관리 유적 발굴 |
---|---|
현 소재지 | 신관리 유적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관리 |
원소재지 | 신관리 유적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관리 |
성격 | 유적 |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관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적.
[위치]
신관리 유적은 함양군의 동북쪽인 함양읍 백천리~용평리 일원에 있으며 약 2.9㎞ 길이에 이르는 길고 폭이 좁은 도로 개설 구간이다. 위천 북안으로부터 약 1.2㎞ 거리에 있는 신관리 관변마을 서쪽 충적저지(沖積低地)인 논경작지와 북동쪽으로 이에 연한 구릉 정부~사면말단부 그리고 백천리 중간마을 서쪽의 구릉 사면말단부에서 충적저지로 이어지는 경사변환점에 있다.
[형태]
신관리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토기가마·토기가마 관련 폐기장·수혈유구, 고려시대 건물지·수혈유구·우물·도로유구·석축호안시설, 조선시대 분묘·건물지·수혈유구 등이 확인된다.
발굴조사는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 분포범위에 대해 2009년 7월 14일부터 동년 12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발굴조사 구역은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Ⅰ구역에서는 고려시대 건물지 7동 및 적심건물지 10동, 수혈유구 27기, 우물 2기, 기와가마 1기, 석축호안시설이 부가된 구하도, 구, 도로유구 1기 등이 조사되었다. Ⅱ-1구역에서는 삼국시대 토기가마 4기, 수혈유구 10기, 조선시대 분묘 6기, 근대 집수시설 등이 조사되었다. Ⅱ-2구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건물지, 수혈유구, 조선시대 분묘 15기, 주혈군 등이 조사되었다. 삼국시대 유구에서는 고배·기대·대호·장경호·단경호·소옹·이기재·이상재, 고려시대 유구에서는 도질토기·자기·명문와·괴면와·당초문와당·인화문와당·금동여래불상, 조선시대 유구에서는 자기와 기와가 출토되었다.
[현황]
지형적으로는 함양군의 동북쪽인 함양읍 백천리~용평리에 걸쳐 약 2.9㎞ 길이에 이르는, 동-서로 길고 폭이 좋은 구간이다. Ⅰ구역은 위천의 북측 충적저지인 ‘용삼들’ 일부를 포함하는데, 경지정리 되어 논으로 운용되고 있었으며 북서측으로 고읍지로 추정되는 저구릉까지 완경사를 이루며 놓아지는 미지형을 이루고 있다. Ⅱ구역은 신관리 ‘관변마을’ 북측의 침식성 구릉들로 중앙 곡부를 중심으로 이어 면한 서측[높이 200m]과 동측[높이 186m]의 구릉경부~사면부에 해당되는데, 주로 과수원과 밭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Ⅲ구역은 백천리 ‘중간마을’ 북서측의 침식성 구릉 말단부로 현재는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신관리 유적은 도로 개설에 따른 구제발굴로 최소한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유구의 분포상태로 보아 주변 지역, 특히 Ⅰ구역 중심으로는 고려시대 읍성과 관련, 동시대의 함양군 중심구역으로서 건물지 등의 생활유구가 분포되었을 것이 예상됨으로 향후 주변 지역의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