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좌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369
한자 京畿左道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오기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390년연표보기 - 경기좌도 설치
폐지 시기/일시 1402년연표보기 - 경기좌도 폐지
관할 지역 경기좌도 - 서울특별시 동작구
관할 지역 경기좌도 금주 -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 지도보기|신대방동지도보기|상도동지도보기
관할 지역 경기좌도 과주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지도보기|본동지도보기|흑석동지도보기|동작동지도보기|사당동지도보기

[정의]

고려 말에 현 서울특별시 동작구 영역을 포함한 왕도 근교 지역을 관할하였던 지방행정구역.

[개설]

경기(京畿)는 왕도의 외곽 지역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국내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경기’라 부르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인 1018년(현종 9)부터였다. 시기에 따라 영역의 조정을 거쳐 고려 말인 1390년(공양왕 2) 경기를 좌도와 우도로 나누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1390년(공양왕 2) 경기를 확장 재편하는 과정에서 이를 도(道) 단위의 지방행정구역으로 편제하고, 수도 개경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도와 우도로 나누었다. 이는 다음 해인 1391년 과전법을 실시하기 위한 사전 작업 중 하나로서, 과전을 비롯한 사전(私田)의 분급 지역을 경기 내로 한정시키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기록]

『고려사(高麗史)』 권56, 지10, 지리1, 왕경 개성부,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 경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6, 경기조에 경기좌도 관련 기사가 있다.

[내용]

경기를 확장하여 좌우로 나누는 과정에서 장단(長湍)·임강(臨江)·토산(兎山)·임진(臨津)·송림(松林)·마전(麻田)·적성(積城)·파평(坡平)을 경기좌도로 하였다. 또한 문종 대의 제도에 의거하여 양광도(楊廣道)의 한양(漢陽)·남양(南陽)·인주(仁州)·안산(安山)·교하(交河)·양천(陽川)·금주(衿州)·과주(果州)·포천(抱川)·서원(瑞原)·고봉(高峯)과 교주도(交州道)의 철원(鐵原)·영평(永平)·이천(伊川)·안협(安峽)·연주(漣州)·삭녕(朔寧)을 좌도에 예속하도록 하였다. 이 중 금주과주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영역을 포함한다.

[변천]

조선왕조 개창 및 한양 천도 이후에는 한양을 중심으로 경기좌우도의 영역을 재설정하였으며, 1402년(태종 2) 두 도를 합하여 경기좌우도라 칭하였다가 1413년(태종 13) 영역을 재조정하면서 좌도와 우도를 완전히 합하여 경기도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영역은 지속적으로 경기좌도 및 경기도의 영역으로 편제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양왕 대의 경기 확장 및 좌우 분할 과정에서 경기의 영역은 이전의 고려 문종 대와 비슷한 규모로 확장되었으며, 조선 초에 한양을 중심으로 경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영역을 포함하는 고려 경기의 동남 지역이 조선의 경기도 관할로 편제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