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368 |
---|---|
한자 | 壽城郡[達城郡]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김호동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역과 달성군 가창면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940년(태조 23) 태조 왕건은 전국의 군현(郡縣) 명칭을 개정하는 개편을 단행하면서, 이때 경덕왕(景德王)[재위 742∼765] 시기 만들어진 수창군(壽昌郡)을 수성군(壽城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사(高麗史)』 권57 지리지 동경 유수관 경주 수성군 조에 “수성군은 본래 신라의 위화군[상촌창군(上村昌郡)이라고도 한다]으로, 경덕왕 때 수창군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1018년(현종 9)에 경주에 내속되었다. 1390년(공양왕 2)에 감무를 두고 해안(解顔)을 겸임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수성군은 본래 신라의 위화군으로 경덕왕 때 수창군으로, 940년 수성군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에 동경 유수관 경주의 속군이 되었다. 주읍은 수령이 파견되고, 속읍은 수령이 파견되지 않아 주읍의 간접적 지배를 받았다. 1390년에 수성군에 감무를 두고 해안현(解顔縣)을 겸임하였다.
수성군은 고려 시대에 동경 유수관 경주에 속하였고, 1394년(태조 3)에는 지방관이 파견되어 대구현에 속하였다.1910년(순종 4) 대구부에 병합되었다가, 1914년 대구부의 27개 면을 분할하여 달성군을 편성할 때 가창면·수성면을 이루었으며, 1980년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형성하였다.
신라 때 수창군은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며, 대구현(大丘縣)과 하빈현(河濱縣)·화원현(花園縣)·팔리현(八里縣) 4개 영현을 거느렸다. 고려 때 수성군으로 고쳤으며,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속군이 되었다. 동경 유수관의 간접적인 지배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