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812
한자 -占
이칭/별칭 망월점(望月占), 달점[月占] 치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김명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정의]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뜨는 것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풍속.

[개설]

달점 은 음력 1월 15일 저녁에 달의 색이나 모양을 보고 그해의 풍흉과 비가 적고 많음을 점치는 풍습이다. 이를 망월점(望月占), 달점[月占] 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달점 의 구체적인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다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달빛을 보고 점을 치는데, 달빛이 붉으면 가물 징조이고, 희면 장마가 질 징조이다. 또 달이 뜰 때의 형체, 달의 크기, 달의 출렁거림, 달이 뜨는 위치의 높낮이로 점을 친다.”는 기록에서 달점을 치는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절차]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지역에서는 마을 뒷산을 기준으로 달이 ‘내 뜬다’거나 ‘들이 뜬다’고 말하는데, 달이 내 뜨면[오른쪽 또는 남쪽] 그쪽 마을에 풍년이 들고, 들이 뜨면[왼쪽 또는 북쪽] 왼쪽 마을에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에서는 달빛이 맑고 희면 비가 많이 내리고, 달빛이 붉으면 가뭄이 들 것이라고 말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달점 은 달의 빛깔·모양·두께 등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미리 알아보는 일인데, 달이 남쪽으로 치우치면 비가 많고, 북쪽으로 뜨면 가뭄이 든다고 판단한다. 또한 해가 지면서 달이 뜨면 풍년이 들고, 해가 넘어가기 전에 달이 뜨면 흉년이 든다고 믿는다. 농경 사회에서는 비의 양이 풍년과 흉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이러한 달점이 생긴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