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현리 절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86
한자 金峴里寺址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21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동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6년 9월연표보기 - 금현리 절터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지표 조사 시작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8년 4월연표보기 - 금현리 절터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지표 조사 종료
소재지 금현리 절터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212 (N37°49'50.1"/ E127° 12'02.3"(159m)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약 1,652.89㎡[500평]

[정의]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폐사된 것으로 보이는 절터.

[변천]

금현리 절터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문헌에서는 찾을 수 없다. 다만 일제 강점기에 조사된 기록인 『조선 보물 고적 조사 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 “금현리의 서남쪽 약 4정(町)[400m]에 있다. 전부 경지화되어 있다. 죽엽산의 북쪽 기슭에 있다. 기와 파편이 흩어져 있다. 그 밖에 초석은 일부 남아 있다”라고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1977년에 편찬한 『문화 유적 총람』에 “죽엽산의 북록(北麓)[북쪽 기슭]에 있는데 와편이 산재하고 초석 일부가 잔존한다. 사명(寺名)과 유래는 미상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동국 여지지(東國輿地志)』, 『경기 읍지(京畿邑誌)』 등의 문헌에 성불사(成佛寺)라는 사찰이 주엽산(注葉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주엽산은 현재의 지명은 물론 지도에서는 찾을 수 없고, 다만 죽엽산이 보일 뿐이다. 그러나 각 지리지에 표기된 주엽산의 위치가 현재의 죽엽산과 동일함을 볼 때 이곳의 절터는 문헌에 기록된 성불사 터일 가능성이 짙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기록을 종합해 볼 때 『신증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된 1530년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금현리 절터는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죽엽산 북쪽 기슭에 형성된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지는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212번지이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6년 9월~1998년 4월 금현리 절터에 대해 단국 대학교 사학과에서 지표 조사를 하였다. 유구(遺構)는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기와 및 백자 조각이 일부 확인되나, 절터와 관련된 유물인지는 알 수 없다.

[현황]

약 1652.89㎡[500평] 규모로 추정되는 금현리 절터는 사찰이 남동향으로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작을 위해 대부분 흙이 깎여 나간 상태이고, 남쪽은 공장 부지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