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0848 |
---|---|
한자 | 茂峯里胎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2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덕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 2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옹주의 태실.
무봉리 태봉(茂峯里胎封)은 1735년(영조 11)에 태어난 영조의 후궁 소생의 옹주 아기씨(翁主阿只氏)의 태실(胎室)이다. 금표(禁標)에 의하여 엄격하게 보호를 받고 있던 이 태실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서 문화재 조사라는 명목 아래 옹주의 태를 담았던 태 항아리가 도굴되었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태봉 등록(胎峰謄錄)』[규(奎) 12893]에 의하면 무봉리 태봉의 주인공은 1735년 9월 19일에 태어난 영조의 후궁 소생의 옹주 아기씨이다. 길지인 당시 포천현 서소흘산면 약사동 소재의 봉우리가 낙점된 후에 같은 해 10월 25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장태 길일(藏胎吉日)인 그해 11월 26일에 안태사(安胎使)로 임명된 도승지 김시형(金始炯)의 책임 아래 공사를 마친 내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마을에서 절골로 올라가는 도로 오른쪽의 태봉골에서 포천시 소흘읍 이곡리의 이곡 초등학교로 넘어가는 지름길인 고갯마루 남쪽 능선에 뾰족한 모양으로 특이하게 솟은 약 230m 높이의 태봉산(胎峰山) 정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도굴된 이후 계속 방치되어 오다가, 최근에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주민들이 마을 느티나무 보호수 앞에 표석과 옹석(甕石)을 옮겨 놓았다.
무봉리 태봉의 석재는 모두 화강암인데, 현재는 옹석과 표석만이 남아 있다. 옹석의 규모는 둘레 3m, 지름 1m, 높이 50㎝인데, 그 위에 높이 23㎝, 지름 1m의 개석이 원래 모습으로 올려 있다. 그 옆에는 대좌(臺座)와 비신(碑身), 그리고 이수(螭首)를 갖추고 있는 표석이 있다. 표석의 대좌 높이는 50㎝, 비신은 89×45×20㎝이다. 비신은 2면 비로 앞면에 ‘옹정십삼년구월십구일축시생옹주아지씨태실(雍正十三年九月十十九日丑時生翁主阿只氏胎室)’이라고 되어 있고, 뒷면에는 ‘옹정십삼년십일월이십육일진시립(雍正十三年十一月二十六日辰時立)’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무봉리 태봉은 금주리 태봉 터 및 주원리 태봉과 함께 포천시에 있던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태봉 관련 유적이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일제 강점기 일본인에 의해서 자행된 도굴과 그 후의 파괴로 원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