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0847 |
---|---|
한자 | 萬歳橋里胎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산4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덕원 |
훼손 시기/일시 | 일제강점기 - 만세교리 태봉 훼손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738년(영조 14)![]() |
현 소재지 | 만세교리 태봉 - 신북면 만세교리 산47 |
성격 | 태봉(胎封) |
관련 인물 | 영조(英祖)|유건기(兪健基) |
크기(높이 | 193㎝[표석] |
너비 | 43㎝[표석] |
폭) | 18㎝[표석] |
문화재 지정 번호 | 포천시 향토 유적 제23호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옹주의 태실.
만세교리 태봉(萬歳橋里胎封)은 1738년(영조 14)에 태어난 영조의 후궁 소생의 옹주 아기씨(翁主阿只氏)의 태실(胎室)이다. 금표(禁標)에 의하여 엄격하게 보호를 받고 있던 이 태실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서 문화재 조사라는 명목 아래 옹주의 태를 담았던 태 항아리와 지석(誌石)이 도굴되었고, 현재는 표석과 개석(蓋石)만이 남아 있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태봉 등록(胎峰謄錄)』[규(奎) 12893]에 의하면 만세교리 태봉의 주인공은 1738년 1월 19일에 태어난 영조의 후궁 소생의 옹주 아기씨이다. 길지인 당시 포천현 북면 만세교리 동변 을좌(乙坐) 신향(辛向) 소재의 봉우리가 같은 해 2월 16일에 태봉으로 낙점되어 장태 길일(藏胎吉日)인 그해 3월 26일에 안태사(安胎使)로 임명된 우승지 유건기(兪健基)의 책임 아래 공사를 마친 내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의 만세교에서 남쪽으로 500m 정도의 거리에 있는 태봉산(胎峰山) 정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소지는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 산47번지이다.
현재는 표석과 개석만이 남아 있는데, 표석은 사각형 비좌(碑座)와 비신(碑身), 그리고 이수(螭首)를 갖추고 있으며, 규모는 193×43×18㎝이다. 비신은 2면 비로 앞면에 ‘건륭삼년정월이십구일축시생옹주아지씨태실(乾隆三年正月二十九日丑時生翁主阿只氏胎室)’이라고 되어 있고, 뒷면에는 ‘건륭삼년삼월이십육일오시립(乾隆三年三月二十六日午時立)’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개석의 지름은 83㎝이고, 중앙에는 직경 8㎝의 낮은 보주(寶珠)가 있다.
현재 옹석(甕石)은 땅속에 묻혀 있고, 화강암의 표석과 개석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다. 만세교리 태봉은 송우리 태봉 및 성동리 태봉과 함께 포천시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태봉 관련 유적이며, 현재 향토 유적 제23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