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781
한자 李恒福先生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1082-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엄익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556년 - 이항복 출생
조성 시기/일시 1618년연표보기 - 이항복선생묘 조성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18년 - 이항복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52년연표보기 - 이항복선생묘 신도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75년 09월 05일연표보기 - 이항복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항복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재지정
현 소재지 이항복선생묘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1082-11지도보기
성격
양식 원형 쌍분
관련 인물 이항복(李恒福)[1556~1618]|안동 권씨(安東權氏)
봉분 크기/묘역 면적 봉분 지름 620㎝|높이 170㎝, 묘역 면적 474㎡[143.39평]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기념물

[정의]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항복의 묘.

[개설]

이항복(李恒福)[1556~1618]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등이다.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1589년 예조 정랑으로 정여립(鄭汝立) 모반을 처리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병조를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가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평생 청렴결백한 관리로 당파에 휩쓸리지 않았고, 문장 또한 뛰어났다. 신흠(申欽)이항복 신도 비명에서 “조정에 당파 싸움으로 서로를 겨눈 지 40년이 넘어 현인이나 불초를 막론하고 어느 쪽을 표방하지 않은 자 없었다. 그러나 공만은 홀로 중립을 취하여 기울어지 않음이 태산의 높은 봉우리와 같이 높으니 감히 어느 누구도 헐뜯지 못하였다[朝廷黨此相傾四十年餘 賢不肖莫不標榜而 公獨中立不倚 屹乎如泰山喬嶽 人不敢訾而]”라고 하였다.

저서로 『사례 훈몽(四禮訓蒙)』·『주소 계의(奏疏啓議)』·『노사 영언(魯史零言)』 등이 있으며, 이순신 충렬 묘비문(忠烈廟碑文)을 지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포천의 화산 서원과 북청의 노덕 서원에 배향되었다. 배위는 정경부인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1537~1599]의 딸이다.

[위치]

포천에서 국도 43호선을 이용하여 내촌 방면으로 가다가 하송우리 사거리에서 좌측 지방도 360호선 도로 내촌 방면으로 이동하여 서원교에서 우측 지방도 383호선[마정로]로 금현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오성교 앞에서 좌측 ‘오성길’로 250m 진행하면 왼편에 이항복선생묘(李恒福先生墓)가 보인다. 주소지는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1082-11번지이다.

[형태]

금현리 작은 구릉에 진좌술향(辰坐戌向)[동남쪽을 등지고 서북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자리하고 있는데, 봉분을 부인 안동 권씨와 쌍분(雙墳)으로 조성하였다. 묘역의 상단에는 봉분과 묘비 및 혼유석이 자리하고, 아랫단에는 상석(床石)·향로석(香爐石)·망주석 1쌍·양관 조복(梁冠朝服)의 문인석 1쌍 등이 배치되었다. 또 봉분의 양 옆쪽과 좌우 문인석의 앞쪽에 차양 끈을 매는 연봉형(蓮峰形)의 차양석(遮陽石) 4개를 박아 놓았다. 조선 중기 소박한 사대부 묘역 양식을 보여 준다.

[현황]

이항복선생묘에서 우측으로 10여m 떨어진 곳에 둘째 부인 금성 오씨(錦城吳氏) 무덤을 따로 조성하였다. 또 묘소 아래 약 20m 지점에 앞면 3칸·옆면 2칸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 있으며, 사당 오른쪽에는 1652년(효종 3) 세운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이항복선생묘는 1975년 9월 5일 경기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1.30 주소지 변경 금현리 산4-2 를 금현리 1082-11번지로 변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