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장릉사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693
한자 莊陵史補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장릉사보』 간행
편찬 시기/일시 1796년 12월연표보기 - 『장릉사보』 편찬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문헌|전적
편자 편집: 이의준(李義駿)|윤광보(尹光普) 참교: 이의준|박기정(朴基正)|성대중(成大中)편교: 이서구(李書九)
권책 6권 3책[필사본]|6권 3책[목판본]
규격 25.0×17.2㎝[필사본]|28.4×19.4㎝[목판본]

[정의]

1796년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이서구단종에 관한 모든 사적을 모아 편찬한 책.

[편찬/간행 경위]

『장릉사보(莊陵史補)』정조의 명으로 병조참지 이의준(李義駿)과 전 교리 윤광보(尹光普)가 편집한 것을 토대로, 이서구(李書九)의 편교(編校)와 이의준·박기정(朴基正)·성대중(成大中) 등의 참교(參校)를 거쳐 완성하였다. 1796년(정조 20) 12월 정사본(精寫本)이 이룩되었으나 인간(印刊)되지는 못하고, 필사본으로 보전되다가 1914년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1796년 필사본의 크기는 25.0×17.2㎝이고, 1914년 목판본의 크기는 28.4×19.4㎝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6권 3책으로, 앞에는 편찬 전말을 밝힌 전문(前文)과 봉교자(奉敎者) 명단, 총목(總目)·범례·인용 서목이 있다. 인용 서목에는 『노릉지(魯陵志)』·『장릉지(莊陵志)』를 비롯하여 등 74종이 망라되고 있다. 다음은 장릉도(莊陵圖)·사릉도(思陵圖)·자규루도(子規樓圖)·관풍헌도(觀風軒圖)·청랭포도(淸冷浦圖)·정업원도(淨業院圖)·창절사도(彰節祠圖)·민충사도(愍忠祠圖) 등 도면과 건물 위치 및 주위의 지리 등의 해설문이 있다.

권1에는 단종의 탄생에서 폐서인 및 사사(賜死), 왕비 송씨의 승하, 숙종·영조 연간의 추존과 장릉·사릉의 추봉, 1791년 안평 대군 등을 장릉에 배식(配食)[배향]한 사실, 권2에는 배식 충신(配食忠臣)의 사적, 권3에는 사사 제신(死事諸臣)의 명단, 권4에는 양릉 숭봉 사실(兩陵崇奉事實), 권5에는 제신 포증 시말(諸臣褒贈始末)과 사육신 등 모든 관련 신하의 정려(旌閭)·증직·배식의 사실, 권6에는 잡철(雜綴), 권7에는 숙종 대왕 어제(肅宗大王御製) 등 어제, 부제신 대찬(附諸臣代撰), 권8에는 제신 찬술(諸臣撰述)·제로릉문(祭魯陵文)·노릉지발(魯陵志跋)·노릉 지덕암 중건기(魯陵旨德庵重建記)·단종실록 후기(端宗實錄後記)·장릉 정자각 상량문(莊陵丁字閣上樑文)·사릉 정자각 상량문(思陵丁字閣上樑文) 등 관계 사적에 대한 글, 권9에는 제신택술(諸臣擇述) 등의 시들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장릉사보』의 편찬 목적은 범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윤순거(尹舜擧)의 『노릉지』와 권화(權和)의 『장릉지』 등이 모두 사찬(私撰)으로 체재가 같지 않고 내용이 부실하여 실록을 위주로 상핵(詳核)을 취하고 기재는 근엄하게 하려는 것에 있었다. 장릉 사적을 그림과 상편·하편·유편(類編)·별편(別篇)으로 나누어 망라하여 충절을 기리는 유교 정치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이용자 의견
정** 혹시 단종세자시절에 익위였던 정사종의 행적은 있나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사종 관련 항목은 없습니다만 영월문화대전이 편찬중에 있으므로 향후 확인이 필요합니다. 관련자료를 보내주시면 관련 항목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9.09.0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