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0361 |
---|---|
한자 | 注院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관휴 |
개설 시기/일시 | 1912년 - 영평군 남면 주원리로 행정구역 정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영평군 남면 주원리에서 포천군 창수면 주원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5년 08월 15일 - 포천군 창수면 주원리 일부가 북한 관할로 들어감 |
변천 시기/일시 | 1954년 11월 17일 - 포천군 창수면 주원리 행정권 수복 |
변천 시기/일시 | 2003년 10월 19일 - 포천군 창수면 주원리에서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로 개편 |
법정리 | 주원리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
성격 | 법정리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2년 행정 구역은 영평군 남면 주원리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남면 주원리·옥병리 전역과 하리면 금주리 일부를 병합하여 주원리라 하고 포천군 창수면에 편입하였다. 1945년 해방과 더불어 38선 이북 지역인 주원리 일부가 북한 치하에 들어갔으나 6·25 전쟁 때 실지(失地)를 회복하여 1954년 11월 17일 행정권이 이양되었다.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이 도농복합시로 승격하면서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가 되었다.
주원리는 종현산[588.5m]의 북동쪽 자락에 위치한다. 북쪽 경계에 영평천이 흐르며, 추동천이 창수면사무소가 위치한 남동쪽에서부터 주원리 북쪽의 영평천으로 흐르고 있다. 이를 중심으로 마을과 소규모의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북쪽에 농경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주원리 북서쪽에서 국도 87호선과 국도 37호선이 접한다. 자연 마을로 구녁골[구멍골, 군자동]·금주동·뒷말·새터[신기]·등에·산취부락·임봉동·절취미·금수정·옥병동 등이 있다. 문화 유적으로는 포천시 향토 유적 제26호로 지정된 옥병 서원(玉屛書院)이 있으며, 포천시 향토 유적 제27호인 김중행 선생 묘(金仲行先生墓)와 포천시 향토 유적 제41호인 창옥병 암각문(蒼玉屛巖刻文)도 있다. 이 외에도 숙혜 옹주 묘(淑惠翁主墓), 주원리 가마터, 주원리 요지와 산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