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2016
한자 -怨讐-孝子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 『포천 군지』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0년 -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 『포천의 설화』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5년 9월 -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 『제4차 답사 자료집』-일동면·이동면 수록
성격 신이담|효행담|모방담
주요 등장 인물 효자|할아버지|호랑이|이웃 사람
모티프 유형 호환|복수|횡재|모방

[정의]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이동면 지역에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는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겠다는 아들이 어떤 할아버지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원수도 갚고 부자가 되었다는 신이담이자 효행담이다. 또한 욕심이 많은 이웃 사람은 부자가 된 아들을 따라 하다가 그만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는 모방담이기도 하다. 포천시의 일동면이동면에는 높은 산에 둘러싸인 산악 지대로 인하여 호랑이와 관련된 설화가 많이 전승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1995년 9월 대진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간행한 『제4차 답사 자료집』-일동면·이동면에 수록되어 있다. 1997년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포천 군지』와 2000년 이근영·이병찬 등이 엮고 포천 문화원에서 간행한 『포천의 설화』에도 전재되어 있다.

[내용]

옛날에 아들 하나만 데리고 사는 여자가 있었는데, 그 아들이 커서 엄마에게 물었다.

“엄마, 나는 왜 아버지가 없어?”

“네 아버지는 산에 갔다가 호랑이한테 물려 죽었단다.”

“그러면 내가 호랑이를 잡아서 우리 아버지 원수를 갚을 테야.”

그러고 아이는 혼자서 산으로 올라갔다. 한참을 가다 보니 조그마한 오막살이집에서 불이 반짝반짝했다. 그 집에는 머리가 하얀 할아버지가 살고 있었다.

“너 어떻게 여기에 왔느냐?”

“우리 아버지가 산에 오신 걸 호랑이가 잡아먹어서, 아버지 원수를 갚으러 왔습니다.”

“응, 그러면 여기 꼼짝 말고 가만히 있어라.”

할아버지가 새끼를 꼬더니, 망태기를 만들어 아이를 그 안에다 쏙 집어넣었다. 그렇게 해서 망태기를 낭떠러지에 있는 큰 나무 꼭대기에다 매달아 놓았다.

한밤중이 되자, 호랑이들이 거기에 매달려 있는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모여들었다. 그러나 나무에 오르지 못하는 호랑이들은 나무 꼭대기를 쳐다보고 뛰어오르다가 그만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져 죽어버리곤 했다. 한참 후에 할아버지가 올라와 망태기를 끌어내려 주었다. 내려와서 보니 호랑이가 낭떠러지 밑에 수북하게 죽어 있었다. 그래서 그 호랑이 껍데기를 벗겨다 팔아서 부자가 됐다.

어느 날 한 이웃이 찾아와 어떻게 부자가 됐느냐고 물어, 산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해 주었다. 그러자 그 사람도 자기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고 산으로 할아버지를 찾아갔다. 할아버지가 새끼를 꼬아 망태기를 만들어 들어가라고 하자, 그 사람이 말하기를

“할아버지, 나는 쏙 집어넣지 말고 모가지만 내놔 줘요.”

했다. 그렇게 해서 나무 꼭대기에 매달아 놨다. 이윽고 밤이 되자 무서운 호랑이들이 와서 으르렁대고 여기저기 뛰어 다녔다. 호랑이를 보고 놀란 이웃 사람은 움직이다가 그만 망태기가 벗겨져 땅에 떨어져 죽어버렸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의 주요 모티프는 ‘호환(虎患)’, ‘복수’, ‘횡재’, ‘모방’ 등이다.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에서 할아버지는 효자가 호랑이에게 복수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부모를 위하는 효자의 지극한 마음은 초월적인 능력을 지닌 할아버지도 움직이게 하였다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아버지 원수 갚은 효자」의 후반부는 또한 착한 아들은 복을 받지만, 반대로 욕심이 많은 이웃은 ‘도깨비 덕본 사람 좇아 하다 망한 사람’처럼 따라 하다가 벌을 받는다는 모방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