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어포천묵매도행」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08
한자 魚抱川墨梅圖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엄익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9년 - 「어포천묵매도행」 저자 이시발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26년 - 「어포천묵매도행」 저자 이시발 사망
성격 한시
작가 이시발

[정의]

조선 후기 이시발이 포천 출신의 화가 어몽룡의 묵매 그림을 보고 느낀 감흥을 적은 한시.

[개설]

「어포천묵매도행(魚抱川墨梅圖行)」은 조선 중엽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벽오(碧梧)인 이시발(李時發)[1569~1626]이 경기도 포천 출신의 선비 화가인 어몽룡(魚夢龍)[1566~1617]의 묵매(墨梅) 그림을 노래한 행체시(行體詩)이다. 어몽룡은 본관이 함종(咸從)이고, 자는 견보(見甫)이며, 호는 설곡(雪谷)·설천(雪川)이다. 특히 매화 그림을 잘 그려서 어몽룡의 묵매와 이정(李霆)[1554~1626]의 묵죽(墨竹)[대나무 그림], 그리고 황집중(黃執中)[1533년~?]의 묵포도(墨葡萄)[포도 그림]를 삼절(三絶)이라 하였다. 「어포천묵매도행」이시발의 문집 『벽오유고(碧梧遺稿)』 권 1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보통 한시 제목의 끝에 행(行)이 붙는 것을 ‘행체시’라 하는데, 중국 한나라 악부시(樂府詩)에서 나온 시체(詩體)의 하나로 자기의 감정이나 사물을 거침없이 가볍게 노래하는 형식이다.

[내용]

『벽오유고』에 실린 「어포천묵매도행」[포천 어몽룡의 묵매 그림을 노래함]의 내용을 일부 번역과 함께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어후금지고 묵매세독보(魚侯今之顧 墨梅世獨步)[이제 어 현감을 보매 그의 묵매화가 세상에 독보적이니]

운향오고인 매아획원소(雲鄕吾故人 媒我獲願素)[하늘나라 내 친구가 날 통해 평소 소원을 이루었네]

제봉원기령외객 팔폭운람삼옥수(題封遠寄嶺外客 八幅雲藍森玉樹)[제목 쓰고 봉하여 멀리 영외의 손에게 부치니, 여덟 폭 구름 낀 남관엔 옥수가 빽빽하네]

고당육월시전병 일좌빙상경세막(高堂六月試展屛 一座氷霜驚歲暯)[유월의 높은 마루에 한 번 병풍을 치매, 온 자리에 얼음 서리 세모(歲暮)에 놀라누나]

서호유령만수춘 간취명지빙추토(西湖庾嶺萬樹春 揀取名枝騁秋兔)[서호와 유령에는 온갖 나무에 봄이 왔고, 이름난 가지 가려 취하여 가을 토끼 초대하네]

사야로간상출몰 곡직횡사각진취(槎枒老幹相出沒 曲直橫斜各盡趣)[비죽하게 돋은 줄기 나타났다 사라지고, 굽었다 곧았다 비스듬히 기울며 각기 흥취를 다하였네]

일주언건세불발 일주전도수수발(一株偃蹇勢不拔 一株顚倒垂垂發)

일주횡말담연흔 일주반후룡호골(一株橫抹淡煙痕 一株半朽龍虎骨)

혹유측수의철장 혹유굴신여언월(或有側秀倚鐵杖 或有屈身如偃月)

혹유경지쌍직용 혹여투교상규결(或有瓊枝雙直聳 或如鬪蛟相糾結)

소소밀밀자천진 반개반락무분별(疏疏密密自天眞 半開半落無分別)

국사용안변칠탄 광평심장의석철(國士容顏變漆炭 廣平心腸疑石鐵)

무취지의하용향 의족방지형색말(無臭至矣何用香 意足方知形色末)

정신회득천기숙 수법교괄조화굴(精神會得天機熟 手法巧刮造化窟)

백화지중매시형 세한심사릉상설(百花之中梅是兄 歲寒心事凌霜雪)

환차령락일하속 전안방비무십일(還嗟零落一何速 轉眼芳菲無十日)

쟁여차전신 장점사시활(爭如此傳神 長占四時活)

권지불영회 천리가제설(卷之不盈懷 千里可提挈)

불수만현재 하로역사절(不須滿縣栽 何勞驛使折)

막장피차론진가 승진표격오능설(莫將彼此論眞假 勝眞標格吾能說)

군불견(君不見) 삼춘장모투화풍겸우(三春將暮妬花風兼雨)

차매하증일점수표불(此梅何曾一點隨飄拂)

[특징]

이시발은 저서로 『주변록(籌邊錄)』과 『벽오유고』를 남기었고, 벼슬은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이시발의 문집 『벽오유고』 권 1에 편차된 여러 작품 중에서 「화산반구정차판상운(花山伴鷗亭次板上韻)」 이하 「용추(龍湫)」까지는 1599~1604년에 지은 것이란 주(註)가 있다. 「어포천묵매도행」도 여기에 포함되는데, 어몽룡은 1604년에 전의 현감(全義縣監)[현 충청남도 연기군]이었다.

[참고문헌]
  • 한국 고전 번역원 한국 고전 종합 DB(http://db.itkc.or.kr)
  •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