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795
한자 杖-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김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놀이 장소 장치기 - 포천시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봄|겨울

[정의]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나무 막대기[채]를 이용해서 공을 치며 즐기는 놀이.

[개설]

장(杖)치기는 겨울에서 봄 사이의 농한기에 청년들이 채와 공을 만들어 편을 갈라 공을 치며 노는 신체 단련형 민속놀이이다. 장치기는 놀이 방식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장치기는 나무 채로 구멍에 공을 쳐 넣는 방식, 말을 타고 공을 쳐서 구문(毬門)에 넣는 방식, 그리고 땅 위에서 공을 쳐서 구문에 넣는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것은 각각 현재의 골프·폴로·필드하키 등과 비슷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공을 위주로 놀이를 표현하면 공치기이고, 공을 치는 채를 위주로 표현하면 장치기라고 한다. 한자로는 타구(打毬)·격구(擊毬)·격방(擊棒)·방희(棒戱)·농장희(弄杖戱)·장구(杖球)라 하고, 각 지역에서는 ‘공치기·타구놀이·얼레공치기·짱치기·짱공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연원]

장치기 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지만, 격구를 간소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 가장 성행하였고, 조선 초기에는 궁중이나 상류 사회의 놀이였다. 특히 조선 세종 때 격구가 무과(武科)에 채택되면서 이를 연마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땅 위에서 행하는 장치기가 성행하였다가 18세기 중기에 격구가 무과에서 빠지면서 민간으로 흘러 들어가 민속놀이로 변천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놀이 도구는 ‘짝지’ 또는 ‘구장(毬杖)’이라고 하는 ‘채’와 ‘짱공’을 사용한다. 짝지는 끝이 안으로 구부러진 소나무나 뽕나무로 만들며, 크기는 대체로 90~150㎝이다. 짱공은 어른 주먹 정도의 크기로 소나무의 마디 부분을 둥글게 깎아 만드는데, 그 위에 가죽을 입히기도 하고 새끼로 뭉쳐서 만들기도 한다. 놀이 장소는 광장이나 공터, 풀밭, 논바닥 등에서 한다.

[놀이 방법]

경기장 중앙선 한가운데에 동그라미를 그려 공을 놓을 구멍을 파 두고, 그 구멍에 1보(步)와 7보 반경으로 원을 그린다. 중앙선에서 좌우 각각 50보 정도의 거리에 대나무로 윗막이가 없는 구문을 세운다. 구문의 너비는 5보 정도로 하여 기둥과 중앙선을 평평하게 긋고, 사방에는 종선을 그어 공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경기를 시작할 때는 각 팀의 주장이 한 명씩 나와서 중앙선의 구멍 앞에서 땅공[공을 허공에 던져 놓고 치는 공]을 쳐서 공이 멀리 날아간 편이 첫 공인 구멍공[원의 중심에 파 놓은 구멍에 놓고 치는 공]을 쳐서 놀이를 시작하고, 다음부터는 진 편이 첫 공을 친다. 공이 구문으로 들어가면 한 점을 얻는다. 양 팀이 서로 5점 나기 또는 10점 나기로 정하고, 먼저 난 편이 이긴다.

심판은 딱딱이를 쳐서 경적을 삼고, 상대편을 식별하기 위하여 너비가 있는 청색·홍색의 색띠를 두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장치기 는 마을 주민의 체력 단련과 단합뿐만 아니라 마을의 풍년을 기원하고 안녕을 위한 놀이다.

[현황]

장치기 는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공통의 놀이이며 포천 지역에서도 6·25 전쟁 이전까지 많이 성행하였지만, 현재는 축구 등 운동 경기의 보급으로 자연스럽게 도태된 상태이다. 포천 지역에서는 나무꾼끼리 편을 짜서 금을 긋고 문을 만들어 놓고 하였는데, 지금의 아이스하키와 유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