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57
한자 抱川永松里先史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 158-2
시대 선사/선사,고대/초기 국가 시대,조선/조선
집필자 김동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선사/신석기 시대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조성
문화재 지정 일시 1994년 7월 2일연표보기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경기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경기도 기념물 재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4년 07월 16일연표보기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한양 대학교 박물관에서 현장 조사 및 발굴조사 착수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4년 09월 14일연표보기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한양 대학교 박물관에서 현장 조사 및 발굴조사 종료
현 소재지 포천영송리선사유적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 158-2 (N38°00'26"/E127°13'24")지도보기
성격 선사 유적
관련 인물 이우형
면적 73.121㎡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기념물

[정의]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 있는 신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유적지.

[개설]

포천영송리선사유적(抱川永松里先史遺蹟)은 포천에서 선사 시대 유적으로는 최초로 조사된 곳이다. 포천영송리선사유적은 골재 채취를 하기 위해 중장비가 동원되어 굴착하던 중 포천 향토사가인 이우형에 의해 발견되었고,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경기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화유산 보호의 책임이 있는 감독관청의 관리 소홀과 토지 소유자 및 골재 채취업자의 문화재 인식의 이해 결여로 유적의 많은 부분이 훼손되었으며 결국 사회 문제로 확산되어 긴급 구제 발굴을 하기에 이르렀다.

[위치]

포천영송리선사유적국도 43호선을 가다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근방의 38휴게소에서 전곡으로 통하는 국도 37호선을 따라 전곡 방면으로 좌회전하여 3㎞ 정도 영평천의 하류, 즉 서쪽으로 이동한 지점이다. 이 지점은 영평천의 북쪽으로 꽤 넓은 평야가 전개되고 그 위를 전곡으로 가는 도로가 나있다. 강의 남쪽 기슭은 낮은 구릉을 기대고 흐르며 서쪽으로 포천에서 넘어오는 지방도 325호선을 따라 나 있는 좁은 평야가 연결되고 있다. 영평천포천천과 합류를 한 후에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서 영중면 영평리로 오면서 남쪽으로 휘어 흐르고 있다. 그래서 포천영송리선사유적이 있는 지점은 흐름의 안쪽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유로 이곳에 단구성 퇴적물(段丘性 堆積物)이 남아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포천영송리선사유적은 A, B, C 3개 지역으로 나누어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A지구에서는 원삼국 시대 주거지 2개소, 토기 군집 1개소가 발굴되었다. B지구에서는 원삼국 시대 주거지 3개소가 확인되었다. C지구에서는 유구(遺構)의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포천영송리선사유적의 발굴 조사 결과 모두 5기의 원삼국 시대 주거지와 토기 출토 유구, 조선 시대 건물 터로 추정되는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포천영송리선사유적은 서울 이북의 중부 지역에서 원삼국 시대 유구가 최초로 발굴된 곳으로 강릉 안인리, 춘천 중도, 하남 미사리 유적 등과 같이 한반도 중부 지방의 특성이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원삼국 시대 문화가 황해도·평안도 지방과 경기 지방의 문화적인 연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며 동해안 지역의 원삼국 문화가 한강 유역과 연결되는 상황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삼국 토기의 발달 과정을 보여 주는 자료가 발굴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민무늬 토기의 전통이 원삼국 토기에 남아 있는 양상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94년 7월 2일 경기도 기념물 제14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