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51
한자 白鷺洲巖刻文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조선 시대 - 백로주 암각문 조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백로주 암각문 강남 대학교 학술조사단에서 발굴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백로주 암각문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지도보기
성격 암각문
관련 인물 양사언(楊士彦)|양만고(楊萬古)|조경(趙絅)|송시열(宋時烈)

[정의]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암각문.

[개설]

백로주(白鷺洲)영평 8경 중 하나로 알려진 유명한 경승지이다. 만세교와 금주산(金珠山)에서 흐르는 물이 합쳐지면서 수량이 풍부하고, 현재도 포천의 대표적인 휴양지로 손꼽히고 있다. 이곳 가운데에 우뚝 솟은 바위산이 있는데, 백로주는 중국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이백(李白)의 시 구절인 ‘이수중분백로주(二水中分白鷺洲)’에서 인용하여 지은 것이다.

[건립 경위]

백로주 암각문(白鷺洲巖刻文)이 위치한 지역은 포천의 명사인 양사언(楊士彦), 양만고(楊萬古), 조경(趙絅) 등을 비롯하여 송시열(宋時烈) 등이 찾아와 배를 타고 즐겨 놀던 곳이다.

[위치]

국도 43호선을 따라 포천시 신북면 만세교리의 만세교를 지나서 북쪽으로 약 1.5㎞를 더 가면 백로 바위가 나오는데, 그 맞은편에 위치한다.

[형태]

첫 번째 암각문의 규모는 82㎝×185㎝이며, 해서체로 “백로주(白鷺洲) 기묘추철원부사동강서(己卯秋鐵原府使東岡書)”라고 새겨져 있다. 백로주는 40㎝×45㎝의 크기로 크게 새겼고, 나머지 글자들은 15㎝×13㎝의 크기이다. 기묘년 가을 철원부사 동강이 썼다는 내용인데, 동강이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두 번째 암각문의 규모는 42㎝×105㎝이며, 글자 크기는 6㎝×6㎝이다.

“산유백운주백로(山有白雲洲白鷺) 운수로거수로운(雲隨鷺去隨鷺雲) 산운주로상수처(山雲洲鷺相隨處) 아방한정공일군(我方閒情一群) 소주(素洲)”라고 새겨져 있으며, 시를 지은 소주가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세 번째 암각문의 규모는 58㎝×104㎝이며, 글자 크기는 21㎝×24㎝이다.

“만세립극(萬歲立極) 중성공지(衆星拱之)”라고 새겨져 있는데, 관리가 충정을 드러내기 위해 새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네 번째 암각문의 규모는 26㎝×120㎝이며, 글자 크기는 25㎝×25㎝이다. “평양북신(平陽北辰)”이라고 새겨져 있다.

다섯 번째 암각문은 “이승응(李承膺) 신응우(申應雨) 최□성(崔□成) 솔(率) 나유영(羅有英) 최재경(崔載敬) 조세옥(趙世玉) 위각북(爲刻北) 신석십(辰石十) 이대자(二大字) 용서(龍西) 지(志)”이라고 새겨져 있어 화봉산 암각문과 마찬가지로 용서(龍西)유기일(柳基一)이 쓴 것을 알 수 있다.

[현황]

백로주 암각문은 4기가 알려지고 있었는데, 1997년 1월에 1기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현재 모두 5기의 암각문이 존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백로주 암각문이 있는 지역은 양사언, 양만고, 조경, 송시열 등 포천 지역의 명사들이 와서 배를 타고 즐겨 놀던 곳이며, 현재도 포천의 대표적인 휴양지이다. 또한 1997년에 새롭게 발견된 암각문은 용서 유기일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는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로 포천 지역에서 화서학파(華西學派)의 학풍을 잇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따라서 백로주 암각문과 포천 지역에서의 유학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