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면암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629
한자 勉庵集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면암집』 간행
복간 시기/일시 1931년 8월연표보기 - 『면암집』 복간
소장처 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성격 전적|문집
저자 최익현
간행자 최영조|최재창|곽한소|문제보|곽진종
권책 원집 40권, 속집 2권, 부록 4권 합 23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7×15.5㎝
어미 상흑어미(上黑魚尾)
권수제 면암선생문집(勉庵先生文集)
판심제 면암집(勉庵集)

[정의]

포천 출신의 문인인 최익현이 저술한 글을 모아 1909년 간행된 문집.

[개설]

조선 후기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한 대표적 인물인 포천 출신 최익현의 시문집이다. 1909년과 1931년 두 차례 활자로 간행되었으며, 모두 48권 24책이다. 저자의 위정척사 사상과 활동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본관은 경주이고, 경기도 포천현 내북면 가채리에서 출생하였다. 가세가 기울자 단양으로 이사한 뒤 9살 때는 김기현(金琦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1세 때 다시 양근으로 이사해, 화서 이항로를 찾아가 수학하였다. 22세 경 포천의 가채리로 돌아왔으며, 23살 때인 1855년(철종 5) 문과에 급제,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제수되었다. 이후 주서와 지평·정언·이조 정랑 등을 역임하였고, 1873년(고종 10) 동부승지를 사직하는 상소가 논란되었으나 이것이 계기가 되어 호조 참판에 제수되었다.

호조 참판 역시 사직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이로 인해 추국을 받은 뒤 제주에 위리안치되었다. 1875년 해배되었고, 1876년 일본의 통상 요구에 대해 홍재구·유인석 등과 함께 결사적으로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흑산도에 유배되었다. 1885년 을미사변의 발발하고 단발령이 단행되자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렸다.

이후에도 최익현의 위정척사 운동은 계속되었고,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청토오적소」를 올리고 조약의 무효와 을사오적의 처단을 주장하였다. 1906년 전라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로 압송되었고, 그곳에서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최익현 사후인 1907년부터 아들 최영조(崔永祚)가 중심이 되어 친족인 최재창(崔載昌)과 곽한소(郭韓沼)·문제보(文濟普)·곽진종(郭進鍾) 등이 합 46권 23책으로 편찬하여 1909년 간행하였다.

이후 저자의 문인들 사이에서 간행되지 않고 일제에 압수된 8책을 복간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면서, 1931년 8월 호남의 문인 조우식(趙愚植)·정상길(鄭相吉) 등이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기존 문집과 함께 복간이 이루어졌다. 이때 속집 권3~4와 연보 1판을 증보하여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23책의 목활자본으로, 크기는 20.7×15.5㎝이다. 권수에 면암선생문집(勉庵先生文集)이라 되어 있으며, 판심 제목은 면암집(勉庵集)이다. 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1909년에 간행된 『면암집』 본집은 원집 40권, 속집 4권, 부록 4권 합 24책이다. 권수에 총목이 있고, 권마다 목록이 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본집 권1·2에는 시(詩) 303수, 권3~5에는 소 30편, 권6~15에는 서(書) 452편, 권16에는 잡저 53편, 권17~19에는 서(序) 101편, 권20~22에는 기 87편, 권23·24에는 발 68편, 명 3편, 찬(贊) 1편, 고축(告祝) 12편, 제문 7편, 권25에는 비(碑) 12편, 신도비(神道碑) 11편, 권26~30에는 묘갈 137편, 권31~34에는 묘표(墓表) 146편, 권35·36에는 묘지(墓誌) 46편, 권37~39에는 행장(行狀) 55편, 권40에는 유사(遺事) 2편, 전(傳) 7편 등이 실려 있다.

속집 권1에는 시 17편, 서(書) 87편, 권2에는 서(書) 7편, 잡저 4편, 서(序) 3편, 기 9편, 신도비 1편, 묘갈 2편, 묘표 10편, 권3에는 시 10편, 서(書) 58편, 잡저 10편, 서(序) 3편, 기 12편, 권4에는 발 3편, 제문 1편, 행장 2편, 유사 1편, 부록 권1~4에는 연보(年譜) 등으로 구성되었다.

내용 중에는 흥선 대원군의 정치를 규탄한 1868년(고종 5)의 「장령시언사소(掌令時言事疏)」와 1873년(고종 10) 11월 3일에 올려 그를 하야하게 한 유명한 「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辭戶曹參判兼陳所懷疏)」, 1876년(고종 13)에 체결된 병자수호조약의 부당성을 오불가론(五不可論)으로 지적하며 조약을 반대한 우국충정이 담겨져 있는 「지부복궐척화의소(持斧伏闕斥和議疏)」, 1895년에 발표된 단발령의 야만성을 규탄한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 등의 상소문이 수록되었다. 1906년 4월 11일의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疏)」와 순국 직전인 7월 11일에 일본 대마도 유배지에서 문인 임병찬(林炳瓚)에게 구술한 「유소(遺疏)」는 의병 봉기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면암집』을 통해 최익현의 학문적 업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당대에 위정척사 사상의 한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