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128
한자 黑石洞
영어공식명칭 Heukseok-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현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시흥군 북면 흑석리로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36년 4월 1일 - 시흥군 북면 흑석리에서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흑석정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43년 6월 10일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흑석정에서 경성부 영등포구 흑석정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6년 10월 1일 - 서울시 영등포구 흑석정에서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흑석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흑석동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흑석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0년 4월 1일 - 서울특별시 관악구 흑석동에서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1.68㎢
가구수 14,349가구
인구[남/여] 32,737명[15,964명/16,773명]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흑석동(黑石洞)은 동작구의 중북부에 위치해 있다. 흑석동은 영등포와 강남을 이어주는 핵심 교통로에 입지해 있다.

[명칭 유래]

흑석동은 예전에 흑석1동사무소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검은돌마을이라 한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흑석동은 조선 시대에 경기도 과천현 하북면 흑석리에 속했다. 1914년 3월 1일 시행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시흥군 북면 흑석리로 개설되었다. 1936년 4월 1일에는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의해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흑석정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6월 10일에는 조선총독부령 제163호에 의해 구제도(區制度)가 실시되면서 경성부 영등포구 흑석정으로 개편되었다.

광복 후 1946년 10월 1일에는 일본식 명칭을 없애고 우리말로 동명을 고칠 때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흑석동으로 개편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대통령령 제6548호에 의해 관악구가 신설되면서 관악구 흑석동으로 개편되었다. 1980년 4월 1일에는 대통령령 제9630호에 의해 동작구가 신설되면서 동작구 흑석동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환경]

흑석동의 북쪽은 한강과 접하며 동쪽은 국립서울현충원이 위치한 구릉, 남쪽은 서달산으로 연결된다. 서쪽의 노량진1동 일대 역시 구릉지로 연결되어 있어 북쪽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낮은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다.

[현황]

흑석동은 동쪽으로 동작동, 남쪽으로 상도동, 서쪽으로 본동과 접해있다. 한강대교동작대교 사이에 주요 간선도로인 현충로올림픽대로, 노량대교가 지나고 있어 동서축의 교통이 발달해 있다. 지하철 9호선이 지나며 흑석역이 있다. 2020년 4월 30일을 기준으로 흑석동의 면적은 1.68㎢이며, 인구는 14,349가구, 32,737명이다.

주요 기관으로는 중앙대학교중앙대학교병원을 비롯하여 흑석체육센터, 원불교 소태산기념관, 서울은로초등학교, 서울흑석초등학교, 중대사대부속초등학교, 중대사대부속중학교 등이 있다. 또한 효사정조석견과완성군이귀정묘역[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7호] 등이 있다.

흑석동한강서달산이 어우러져 있어 자연환경이 양호하며 구릉지와 고지대 주거지역으로 주택이 많다. 한편, 뉴타운 사업 추진, 지하철 9호선 개통 등으로 발전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참고문헌]
  • 『동작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1994)
  • 동작구청(https://www.dongjak.go.kr)
  • 흑석동주민센터(http://www.dongjak.go.kr/dong/main/main.do?dongCd=0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