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의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83
한자 保健 醫療
영어공식명칭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순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주민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제반 활동.

[개설]

부여군의 보건 의료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 부문은 보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공중 보건 및 보건 관련 사업이며, 민간 부문은 병의원, 한의원, 약국 등 사설 의료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서비스이다.

[변천]

부여군의 근대 의료 역사에 관한 기록은 1960년 전후로 시작된다. 공공 부문을 대표하는 부여군 보건소는 1959년 충남도립부여보건소로 시작하였으나 1963년 사업 주체가 변경되면서 부여군 보건소가 되었으며 부여읍 동남리 부여 공관으로 이전하였다. 1967년에는 15개의 보건지소가 면 단위에 1개소씩 설치되었으며, 1981년 21개의 보건진료소가 설치되었다. 1997년에는 보건소 공간을 증개축하여 농어촌 의료 서비스 개선 사업을 시작하였다. 1998년에는 천보리 보건진료소를 폐지하여 15개 보건지소, 20개 보건진료소 체계로 운영되었다. 2016년에는 농어촌 의료 서비스 개선 사업을 전담하는 건강재활센터가 준공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도 보건소의 직제 개편은 꾸준히 이루어졌다. 2005년 이후 7개 팀[보건행정, 재활보건, 예방의약, 건강증진, 방문보건, 모자보건, 진료]으로 유지되어 온 조직은 2017년 정신보건과 감염병관리팀이 추가되면서 9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19년에는 보건과와 건강증진과가 신설되면서 2개 과, 9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21년에는 북부보건진료소의 개소와 더불어 다시 한번 조직을 개편함으로써 3개 과, 12개 팀, 15개 보건지소, 21개 보건진료소 체제가 구축되었다.

민간 의료 기관도 변화를 보였다. 1960년 총 22개[병의원 12개, 치과 의원 1개, 한의원 9개]였던 민간 의료 기관은 1970년 23개[병의원 13개, 치과 의원 2개, 한의원 6개, 조산소 2개]로 1개소가 늘었다. 1980년에는 병의원 14개, 치과 의원 3개 조산소 2개 등 총 19개소로 감소하였으나 1990년에는 병의원 14개, 치과 의원 5개, 한의원 5개, 조산소 2개 등 총 26개로 증가하였다. 민간 의료 기관의 증가 추세는 계속되어 2010년에는 병의원 39개, 요양 병원 3개, 치과 의원 11개, 한의원 16개 등 총 69개소에 이르렀다.

[현황]

부여군 보건 의료의 비전은 ‘행복한 동행, 건강한 부여!’이다.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의 전략을 설정하였는데, 1) 보건 의료 접근성 강화로 건강 형평성 제고, 2) 지역 사회 중심 예방적·통합적 건강 관리, 3) 다분야 간 협력을 통한 건강 안전망 확보이다. 각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실천 사업도 수행되고 있다.

1) 보건 의료 접근성 강화로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하여서는 지역 인프라 보강으로 보건 의료 수준 향상, 재난·응급 의료 대응 체계 강화, 감염병 예방 및 신속 대응 체계 구축 등 3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지역 사회 중심 예방적·통합적 건강 관리를 위하여서는 모성과 아동의 건강 증진 도모, 지역 사회 중심 통합적 만성질환 예방 관리 체계 구축, 건강 생활 습관 실천 강화, 건강 친화적 환경 조성 등 4개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3) 다분야 간 협력을 통한 건강 안전망 확보를 위하여서는 맞춤형 보건 서비스 제공으로 취약 계층 건강 보호, 자살 예방 및 정신 건강 증진 체계 강화, 치매 예방·돌봄·관리 체계 강화 등 3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0년 현재 부여군의 공공 의료 자원과 민간 의료 자원을 종합하여 보면, 의료 기관은 병의원 32개, 요양 병원 3개, 치과 병원 16개, 한의원 15개, 보건소 1개, 보건지소 15개, 보건진료소 21개로 총 103개이며, 약국은 34개이다. 의료 자원의 읍면별 분포를 보면, 공공 부문인 보건지소는 15개 읍면에 각각 1개소가 있으며, 보건진료소는 은산면, 외산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등 5개 면에 2개가 있어 총 21개소이다.

민간 의료 기관은 부여읍에 49개소가 집중되어 있다. 이외 규암면에 2개, 은산면에 2개, 외산면에 1개, 홍산면에 7개, 임천면에 1개, 장암면에 1개, 석성면에 1개, 초촌면에 2개가 있다. 의료 인력은 의사 72명, 치과 의사 21명, 한의사 31명, 간호사 108명으로 총 232명이며, 가용한 병상 수는 총 1,106개가 있다

전반적으로 부여군의 의료 보건 인프라는 2차 진료 기관이 1개소뿐이며 3차 진료 기관은 없을 정도로 취약하다. 2차, 3차 진료 기관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여군은 건양대학교 부여병원과 협약을 맺어 외래 산부인과 및 응급실을 운영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2020년에는 부여읍 자왕리에 북부보건진료소를 개소하여 기존 보건소와 거리가 멀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을 겪던 부여군 북부 12개 지역 주민의 의료 접근성을 높였다. 응급 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지 않은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신속한 항공 이송 및 응급 처치가 가능하도록 관내 8개소에 인계점을 지정,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높은 고령화율에도 불구하고 치매 환자의 전문 치료 병원 및 공립 요양 병원이 없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2020년부터 민간 요양 병원을 치매 전문 요양 병원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는데, 지난 2년 동안 1억 2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여 1만 명 이상의 주민이 혜택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