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59
한자 田漢老
영어공식명칭 Jeon Hanro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고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454년 - 전한로 복호되고 진무부위우군사용 제수
추모 시기/일시 1782년 - 전한로 봉호사에 향사
출생지 삼산리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
묘소|단소 전한로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남성
본관 담양(潭陽)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효자.

[가계]

전한로(田漢老)[?~?]의 본관은 담양(潭陽)이다. 아버지는 선무랑으로 이인도승(利仁道丞)을 지낸 전화(田和)이고, 어머니는 중랑장 황보린(皇甫璘)의 딸 영천 황보씨(永川 皇甫氏)이다. 부인은 숙부(叔父)인 승의부위 김경수(金敬修)의 딸 광주 김씨이다. 자식으로는 아들 3명이 있다.

[활동 사항]

전한로는 조선 전기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에서 태어났다. 『단종실록(端宗實錄)』에 따르면, 전한로는 어려서부터 스승에게 글을 배웠는데 스승이 배[梨] 하나를 주었더니 먹지 않아 까닭을 물으니 “어머니가 병환을 앓고 계십니다”라고 대답하고 집에 돌아가 어머니에게 배를 드렸다고 한다. 또, 열네 살이 되었을 때 아버지가 사망하자 3년 동안 무덤을 지키며 시묘살이를 하였고, 어머니가 사망하자 다시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고 한다.

전한로는 1454년(단종 2) 복호(復戶)[조선 시대에, 충신·효자·군인 등 특정한 대상자에게 부역이나 조세를 면제하여 주던 일]되고 진무부위우군사용(進武副尉右軍司勇)에 제수되었다.

[묘소]

전한로의 묘소는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전한로는 사망한 뒤 효자로 정려되고 1782년(정조 6)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에 있던 봉호사(蓬湖詞)에 향사되었다. 전한로의 효자 정려는 본래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에 있었으나 홍수로 침수되어, 1987년에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의 전한로 묘소 아래로 이건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