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77
한자 德林丙舍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덕림로 367[점상리 산168-1]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8년 8월 30일연표보기 - 덕림병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5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덕림병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덕림병사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덕림병사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덕림로 367[점상리 산168-1]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홑처마 팔작지붕
정면 칸수 6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풍양 조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에 있는 고려 후기 문신 조신의 재실.

[개설]

덕림병사(德林丙舍)는 고려 말의 문신 조신(趙愼)에게 제사 지내는 재실이다. 조신은 고려 공민왕 때 회양부사를 지낸 관료이다. 1368년(공민왕 17) 형 조사공이 신돈을 살해하려는 모의를 하다 발각되어 죽임을 당하자 이름을 조사렴(趙思廉)에서 조신(趙愼)으로 바꾸고 부여 임천면(林川面)에 은거하였다. 재실 왼쪽에는 조신의묘가 조성되어 있는데, 태종이 무학선사에게 부탁하여 잡은 터라고 전한다. 조신의 위패는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동곡서원에 봉안되어 있다. 덕림병사는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덕림병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덕림로 367[점상리 산168-1] 성주산(聖住山) 자락에 자리한 덕림동(德林洞)에 있다. 충화면행정복지센터에서 동쪽의 임천 방면으로 향하는 길에 북쪽으로 빠지는 작은 도로가 나오는데, 길을 따라 북쪽으로 더 가면 덕림고개가 나온다. 덕림고개 못 미쳐 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산 서북쪽 사면에 동남향으로 덕림병사가 있다. 덕림병사의 옆에는 조신의묘[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변천]

덕림병사의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전한다. 덕림병사가 있는 덕림동에는 덕림사(德林寺)라는 사찰이 있었다. 덕림병사는 본래 덕림사의 사찰 건물이었으나, 1920년 무렵 중수하면서 조신(趙愼)의 재실로 사용되고 있다.

[형태]

덕림병사의 배치 구성은 일자형의 재실인 덕림병사와 재실 뒤편에 독립되어 있는 일자형 주방 건물, 나중에 지은 재실 왼편의 전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관리사로 구성된다. 평면 구성은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사찰을 활용한 재실 건물인 만큼 규모가 큰 편이다. 오른쪽 4칸은 양쪽에 툇마루를 설치한 온돌방을 둔 법당이며, 왼쪽의 2칸은 앞쪽에 누다락을 두고 뒤쪽에 부엌을 배치하였다. 모든 기둥은 원형기둥을 올렸으며,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다.

[현황]

덕림병사의 현재 소유자는 풍양 조씨 종중이다.

[의의와 평가]

덕림병사는 부여 지역에 은거한 조신을 제향하는 재실로 조신의묘와 함께 조성되어 있다. 사찰 건물을 재실로 이용하여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