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39
한자 扶餘 定林寺址
영어공식명칭 Jeongnimsa Temple Site, Buyeo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지도보기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홍보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42년 - 부여 정림사지 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9년~2010년 - 부여 정림사지 총 7차례 발굴 조사 실시
문화재 지정 일시 1983년 3월 26일연표보기 - 부여 정림사지 사적 제30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여 정림사지 사적으로 변경 지정
성격 절터
지정 면적 61,449㎡
관리자 부여군
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 시대의 절터.

[개설]

부여 정림사지(扶餘 定林寺址)는 1940년 충청남도 부여군의 도시 계획과 신궁 조성 계획 대상지에 포함되어 1942년에 발굴 조사가 처음 이루어졌다. 정림사가 창건될 당시의 사명은 고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아 알 수 없으나, 1943년에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태평무진팔년정림사대장당초(太平八年戊辰定林寺大藏當草)”라고 적힌 고려 시대의 명문 기와가 출토되어 ‘부여 정림사지’로 불리게 되었다.

1979년부터 2010년까지 모두 7차례에 걸쳐 사역 전체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 조사 결과, 부여 정림사지는 중문-목탑-금당-강당이 남북축선상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구조임이 확인되었다. 사역의 규모는 동승방지와 서승방지, 남회랑지의 외곽을 기준으로 동서 62m, 남북 120m이다. 2023년 현재 부여 정림사지에는 경내에는 국보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보물인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부여 정림사지는 1983년 3월 26일 사적 제30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사적으로 변경되었다. 지정 면적은 61,449㎡이다.

[형태]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 사비 시기에 창건되어 고려 시대까지 운영된 사찰로서 다양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정림사가 창건되기 이전 부여 정림사지에는 공방 관련 시설이 조성되어 있었는데, 원형 노지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부여 정림사지 일대를 성토하여 대지를 조성하고 정림사를 창건하였다. 대지 조성층에서는 세발토기와 중국의 청자연화문호 조각이 출토되었다. 청자연호문호 조각은 520년경의 중국 남조기의 것이며, 세발토기는 웅진기의 형식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 정림사의 창건이 사비 천도 이전에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백제 사비 시기의 정림사는 중문-탑-금단-강당이 남북 일직선상에 배치된 가람 구조라는 데에는 견해가 일치하나 금당과 강당 좌우 또는 뒤쪽의 건물지 성격에 대하여서는 연구자 사이에 견해가 다르다. 금당과 강당의 좌우에는 세장방형의 동·서 승방이 있고, 강당지 북쪽에는 북 승방지가 배치된 구조로 보는가 하면, 금당의 동쪽과 서쪽에 회랑으로 연결된 건물지는 동당과 서당, 강당의 동쪽과 서쪽에 동당 및 서당과 나란하게 배치된 별도 건물이 배치되고, 강당지 북편에 승방이 배치된 구조로 보기도 한다.

석탑지는 하부 기초부가 판축으로 성토되었는데, 석탑의 기단부 구축에는 보이지 않고 목탑의 기단부 조성 방식과 같아 창건 당시에는 목탑이 건립되었다가 7세기에 석탑으로 재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금당지는 백제 사비 시기의 것은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고려 시대에 백제 사비 시기의 대지 및 기단 성토층을 이용하여 조성하였다. 고려 시대의 금당지 기단은 이중 기단으로 축조되었고, 하층 기단 상면에서는 퇴칸 혹은 차양칸의 적심이 확인되었다. 금당지의 건물지 규모는 정면 7칸, 측면 5칸인데, 여기에는 퇴칸 혹은 차양칸이 각각 2칸과 3칸을 차지한다. 석탑 중심으로부터 57.6m 떨어진 강당지는 동서 39.1m, 남북 16.3m이며, 사방으로 와적 기단을 조성하였다. 강당지 북측 기단으로부터 북으로 약 7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승방지의 기단은 와적 기단으로 조성되었는데, 남·동 측면의 기단은 평기와를 쌓아 올린 평적식 와적 기단이다. 금당지와 강당지의 동측과 서측에서 확인된 건물지에서도 와적 기단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부속 건물지, 석축 배수로, 기와 구덩이, 집수 시설 등과 함께 고려 시대의 기와 가마터, 아궁이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서회랑지와 남회랑지가 접하는 지점의 기와 구덩이에서는 200여 점의 소조상 파편들이 출토되었다.

[특징]

부여 정림사지는 1탑 1금당식의 백제 불교 사찰 가람 배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목탑에서 석탑으로의 이행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사찰이다. 금당지와 강당지 서쪽의 동·서 회랑 북쪽의 건물지가 동·서 승방지인지, 별도의 독립된 건물인지에 대한 견해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백제 사비 시기의 사비도성 내부의 랜드마크임은 분명하다.

[의의와 평가]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 사비 시기를 대표할 뿐만 아니라 사비도성 내에 있는 가장 중요한 불교 사찰로서 정림사 창건 이후 사비도성 내부와 외곽에 건립된 불교 사찰의 모범이 되었다. 그리고 부여 정림사지의 가람 배치와 건축 구조는 중국 북위의 낙양의 영녕사 또는 남조 불교 사찰의 영향을 받았고, 이후 일본의 초기 가람에도 영향을 주었다. 부여 정림사지는 문화 교류를 통하여 수용한 후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고, 다시 주변에 전파한 백제의 수준 높은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기념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