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18
한자 林川 艮谷書院
영어공식명칭 Gangok Seowon confucian academy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283번길 31-4[구교리 11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40년연표보기 - 임천 간곡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 - 임천 간곡서원 훼철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 임천 간곡서원 복원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9년 - 임천 간곡서원 묘문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1월 3일연표보기 - 임천 간곡서원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44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4년 - 임천 간곡서원 강당 개축
현 소재지 임천 간곡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283번길 31-4[구교리 114]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사우]|3칸[강당]
측면 칸수 2칸[사우]|2칸[강당]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44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임천 간곡서원(林川 艮谷書院)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노곡(老谷) 유동수(柳東秀)[1579~1654]를 배향한 서원이다. 1579년(선조 12) 서울 숭례방 흥덕동에서 태어난 유동수는 인조 때 제용감직장, 사옹원직장, 오위장 등을 역임하고 천안군수 재임 시 선정을 베풀었다. 특히 1646년(인조 24) 이산현감(尼山縣監) 재직 시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원종 1등에 통정대부에 제수되었다. 사후 호조판서로 추증되었고 『병술일기』, 『별록』, 『노곡공유적』 등의 저서를 남겼다. 간곡서원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건립된 이유는 유동수가 말년을 현재 부여군 세도면 수고리인 해촌에서 보냈고, 유동수의 묘가 부여군 세도면 화수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간은곡(艮隱谷)이라는 마을 이름을 따 간곡서원이라고 하였다. 1859년(철종 10) 예조의 관첩으로 향촉과 제품을 받들고 사액을 청하였으나 사액을 받지 못하였다. 2001년 1월 3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44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임천 간곡서원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283번길 31-4[구교리 114]에 있다. 임천중학교에서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변천]

임천 간곡서원은 1730년(영조 6) 양호 사림이 임천 간곡에 유동수를 제향하는 향현사(鄕賢祠)를 창건하면서 시작되었다. 1732년(영조 8) ‘향현사’를 ‘창의사(倡義祠)’로 고치고, 1740년(영조 16) 서원을 창건하여 ‘간곡서원’이라 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이 훼철되었으나 옛 법도에 따라 단을 놓고 간략히 제례를 지냈다. 1969년 원래 자리에 사우와 서원을 복원하였다. 1989년 묘문을 개축하였고, 2012년 노후된 강당을 철거하고 2014년 현재 모습으로 개축하였다.

[형태]

임천 간곡서원은 사우, 묘문, 강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효사(忠孝祠)’ 편액이 걸려 있는 사우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묘문은 3칸의 솟을삼문이고, 강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황]

임천 간곡서원에서는 『간곡서원지』, 『노곡유적』, 『모현계안』, 『복설록』, 『심원록』 등이 보관되어 있다. 매년 음력 2월 말정일(末丁日)에 춘향제를 지낸다.

[의의와 평가]

임천 간곡서원은 말년을 부여에서 지내고 사후에 부여에 잠든 유동수의 학문과 선정을 기리는 서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