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95
한자 扶餘無量寺地藏菩薩-十王像一括
영어공식명칭 Ksitigarbba Bodhisattva Triad and Ten Kings Statues at Myeongbujeon Hall of Muryangsa Temple, Buyeo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만수리 11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소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세기 전기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4월 10일연표보기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복장물 조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현 소장처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만수리 116]지도보기
복장 유물 소장처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만수리 116]
성격 불상
재질 나무
크기(높이) 높이 112.8㎝[지장보살상]|높이 140㎝[도명존자입상]|높이 125.5㎝[무독귀왕입상]
소유자 무량사
관리자 무량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있는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의 조선 후기 불교 조각군.

[개설]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扶餘無量寺地藏菩薩및十王像一括)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 명부전 중앙 불단 위의 나무로 만든 지장보살좌상과 좌우의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가 삼존상을 이루며, 삼존상 좌우에 각각 5명의 시왕(十王)과 판관·녹사·사자(使者) 등 3구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문 입구 좌우에 장군으로 불리는 인왕(仁王)이 서 있다. 2023년 현재 다른 곳에 봉안된 두 구의 동자까지 포함하여 모두 23구다. 2015년에 지장보살 삼존상과 일부 시왕상의 복장물이 조사되었는데, 상의 양식과 지장보살 삼존상 등에서 발견된 복장물을 통하여 17세기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은 2023년 현재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지장보살상은 민머리의 승려 형상으로, 몸이 길며 짧은 목을 앞으로 수그리고 있어 움츠린 느낌을 준다. 왼쪽의 도명존자는 민머리에 두 손을 합장하였으며, 오른쪽 무독귀왕은 봉황이 조각된 원유관을 쓰고 두 손을 가슴에 가지런히 모았는데 옷에 가려 있다. 문관(文官)의 옷을 입은 시왕과 기타 인물들은 복식과 지물을 통하여 각 상의 특징을 살렸다. 다양한 안료로 채색하고, 장식적인 문양을 그려 넣어 전체적으로 매우 화려하다.

지장보살상은 높이 112.8㎝, 도명존자입상은 높이 140㎝, 무독귀왕입상은 높이 125.5㎝이다.

[특징]

좌상의 지장과 입상의 도명존자 및 무독귀왕의 조합, 의자에 앉은 시왕과 입상의 판관 등의 권속은 조선 후기 17세기부터 유행하는 형식이다. 명부전 조각의 얼굴 표현을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어, 2인 이상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의의와 평가]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은 명부전에 필요한 모든 존상을 잘 갖추고 구체적인 발원문까지 발견되어, 조선 후기 명부 신앙의 양상 및 존상의 제작 관련 사항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